(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방울: 두 판 사이의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방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cd822 (토론 | 기여)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9.2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종 (악기)||악기}}
{{다른 뜻 넘어옴|빗방울|영화|빗방울 (영화)}}
{{다른 뜻 넘어옴|물방울|영화|물방울 (영화)}}
[[파일:Bouncing droplets compact size.gif|thumb섬네일|물방울이 수면 위에서 춤을 추고 있다.]]
'''방울'''은 [[대기압]]을 뺀 압력을 받지 않은 조그만 [[액체]] 부피의 모임이다. [[표면장력]]으로 형태가 결정된다.
 
줄 7 ⟶ 9:
물방울이 생기는 이유는 액체가 [[표면 장력]]을 보이기 때문이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o8MdoOd6pOcC&pg=PA196&dq=Liquids+form+droplets+because+of+surface+tension&hl=en&sa=X&ved=0ahUKEwjkxavy2N_UAhUJxGMKHUHzAPgQ6AEIHDAA#v=onepage&q=Liquids%20form%20droplets%20because%20of%20surface%20tension&f=false|title=The American Desk Encyclopedia|last=Luck|first=Steve|date=1998-10-22|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USA|isbn=9780195214659|language=en}}</ref>
 
[[File파일:HalfOfBubble1.png|왼쪽]]
 
왼쪽 그림에서 표면장력을 T라고 하고 물방울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를 p, 물방울 직경을 d라고 한다면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의 잘라진 면의 원주에 작용하는 합력과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이들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ref>{{서적 인용|저자1=임진근|저자2=김지호|저자3=박영진 |제목=토목기사 과년도 - 수리수문학 |날짜=2015 |출판사=성안당 |isbn=9788931568097 |쪽=25}}</ref>
줄 21 ⟶ 23:
| first = Andrea
| authorlink = Andrea Prosperetti
| author2 = Oguz, Hasan N.
| year = 1993
| title = The impact of drops on liquid surfaces and the underwater noise of rain
줄 31 ⟶ 33:
| format = PDF
| accessdate = 2006-12-09
| bibcode = 1993AnRFM..25..577P
| archive-date = 2009-01-09
|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090109161613/http://arjournals.annualreviews.org/doi/abs/10.1146/annurev.fl.25.010193.003045
| url-status =
}}</ref><ref>{{웹 인용 |url=http://ffden-2.phys.uaf.edu/311_fall2004.web.dir/Ryan_Rankin/bubble%20resonance.htm |title=Bubble Resonance |accessdate=2006-12-09 |last=Rankin |first=Ryan C. |date=June 2005 |work=The Physics of Bubbles, Antibubbles, and all That}}</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