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리(眞理しんり, 영어: truth)이란, 현실이나 사실에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것, 또는 보편적·불변적으로 알맞은 것을 뜻한다. , 진실 등으로도 불린다. 진리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여 철학, 논리학, 수학에서 다양한 개념으로 쓰인다. 논리학에서는 명제가 정해진 사유의 법칙에 맞아 오류(거짓)가 없는 정당한 명제를 일컫는다.

철학[편집]

진리는 철학, 특히 서양 철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왔다. 고대 그리스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하며, 진리의 상대주의 주장하였다. 프로타고라스에 대항하여 플라톤은 현상은 현상 밖에 있는 불변하는 이데아를 본으로 한다는 이데아론을 주창하기에 이른다. 특히, 회의주의에 대항하여 의심할 수 없는 명제를 찾기 위하여, 데카르트는 분명하지 아니한 것들을 소거하여 가장 확실한 진리를 찾아 나서려고 하였고, 결국 ‘사고하는 나’ 가 가장 확실하다고 하여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말을 남겼다. 진화론의 등장으로 불변하는 진리에 대한 회의가 만연하게 되었으며, 미국에서는 고정된 진리는 없으며 유용한 것이 진리라는 실용주의가 발흥하였고, 독일의 철학자 니체는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기에 이른다.

진리론[편집]

논리학이나 형이상학에서 진리란 논리적 공리, 추론법칙, 구조 따위에 어긋나지 않는 정당한 사고를 말한다. 진리가 무엇인가,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는 이론을 진리론(theory of truth)이라 하며 수학, 철학, 언어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논의가 있다. 수리 논리학에서, 구문론적으로는 정해진 추론규칙에 따라 올바르게 증명한 명제를 참이라고 하며, 의미론적으로는 정해진 논리적 구조 안에서 충족가능한(이치에 맞는) 명제를 참이라 한다. 괴델의 완전성 정리술어 논리에서는 이러한 양측의 진리론이 서로 일치한다는 내용의 정리이다.

  • 대응론(Correspondence theory): 대응설은 참인 신념과 진술이 실제 상황에 대응된다고 이해하는 진리론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 기원을 둔 전통적 가설로, 진리란 "객관적 현실"을 그대로 생각, 언어, 기호로 옮겨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현대 논리학에서는 알프레트 타르스키의미론적 진리론으로서 형식화시켰다.
  • 정합론(Coherence theory): 정합설은 진술이 그것이 속하는 체계 내에서 정합성을 가지는지에 집중한다. 진리를 형식 체계 내에서 성립하는 속성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 실용주의: 실용주의 철학에 입각한 진리론으로, 진리는 개념을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을 때 그 결과의 실용성에 따라서 확인되는 것이라고 본다. 철학적 회의주의와도 연관된다.
  •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는 진리가 사회적 구성물이며 역사나 문화에 고유하고 부분적으로 공동체 내의 권력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특히 합의론(consensus theory)은 진리를 "합의된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
  • 축소주의: 진리가 문장이나 명제의 실제 속성과 무관하다는 접근이다. 그 중 잉여론은 논리학의 발전에서 진리 술어에 관한 문제의 응답으로서 나온 것으로, 예컨대 "'2+2=4'는 참이다"라는 것이 "2+2=4"와 논리적으로 동일하므로 "참이다"라는 진리 술어가 불필요하다는 관찰이다. 한편 수행론은 "'A'가 참이다"라는 말은 동의의 의미로 고개를 끄덕이듯이 "A"라는 주장에 찬성하는 발화 행위(speech act)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 다원주의: 신념이나 진술을 참으로 만드는 요인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윤리적 명제는 일관성 덕에 참일 수 있으며, 물리적 세계에 대한 명제는 대상이나 속성과의 대응에 의해 참일 수 있다는 것이다.

불교[편집]

불교에서 진리는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 (たい)라고 하는데 진실한 도리(道理どうり) 또는 결코 변하지 않는 사실(事實じじつ)을 뜻하며,[1][2]대승광오온론》 등에 따르면 고제 · 집제 · 멸제 · 도제4성제(四聖しせいたい)를 말한다.[3][4][5][6]

또한, 연기법과 중도(中道ちゅうどう), 일체유심(一切いっさい唯心ゆいしん) 같은 것을 말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운허, "たい(제)". 2013년 2월 16일에 확인
    "たい(제): 【범】 satya 【팔】 sacca 진실한 도리. 변하지 않는 진리. 여(如)와 여(如)한 진상(眞相しんそう) 등의 여러 가지 뜻으로 해석."
  2. 星雲せいうん, "たい". 2013년 2월 16일에 확인
    "たい: 梵語ぼんご satya,ともえとし sacca。しんじつきょゆび真實しんじつあやま永遠えいえん不變ふへん事實じじつそく真理しんりぞう一阿含經卷十七載,如來にょらい所說しょせつ理法りほう真實しんじつきょしょうためたい。 "
  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8c21 - T31n1612_p0848c22. 신(しん)
    "うんなん為信ためのぶいい於業はてしょたいたからちゅうごくせいじゅんこころきよしためせい。"
  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618, T.1612, p. 3 / 12. 신(しん)
    "어떤 것이 신(しん)인가. 업(ぎょう)과 과(はて), 모든 진리[たい]와 보배[たから] 등에 대해 지극히 바르게 부합하여 마음이 청정함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
  5.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신(しん)
    "うんなんしんいい於業はてしょたいたからとうふかせいじゅんこころきよしためせい。於業しゃいいぶくぶく不動ふどうぎょう。於果しゃいい須陀洹。斯陀含。おもね含。阿羅漢あらかんはて。於諦しゃいいしゅうめつどうたい。於寶しゃいい佛法僧ぶっぽうそうたから。於如ぎょうはてとうきょくしょうじゅんまためい清淨せいじょう。及希求ききゅうあずかよくしょためぎょう。"
  6.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7 / 24. 신(しん)
    "무엇을 믿음[しん]이라고 하는가?
    업 · 과보 · 모든 진리[たい· 보배 등에 대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청정함을 성질로 삼는다. 업에 대하여 복(ぶく· 복이 아님(ぶく· 부동업(不動ふどうぎょう)을 말한다. 과보에 대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아나함(おもね含) · 아라한(阿羅漢あらかん)의 과보를 말한다. 진리에 대하여 괴로움의 진리[たい· 집착의 진리[しゅうたい· 집착을 없애는 진리[めつたい·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みちたい]이다. 보배에 대하여 불보(ふつたから· 법보(ほうたから· 승보(そうたから)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업 · 과보 등에 대하여 지극히 맞게 따르는 것을 청정(淸淨せいじょう)이라고 한다. 간절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