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美 "랜섬 웨어 '워너크라이' 사태 배후는 北정권" - Save Internet 뉴데일리
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171225062434/http://www.newdaily.co.kr:80/news/article.html?no=364152&imp=whot

"랜섬 웨어 '워너크라이' 사태 배후는 きた정권"

6개월 넘게 조사한 결과 김정은 정권이 배후…えい정부도 동의

전경웅 기자 프로필 보기 | 최종편집 2017.12.20 10:34:08
  • 메일
  • 프린트
  • 작게
  • 크게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구글플러스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 네이버블로그 공유
  • 전경웅 기자
  • enoch2051@hanmail.net
  • 뉴데일리 통일·외교부장입니다. 통일부,외교부,북한,국제 분야를 담당합니다.

    저의 주된 관심은 '국익보호'입니다. 국익보호와 관련된 이슈는 국제관계에서만 발생하지 않습니다. 국내의 어두운 세력들이 더 큰 위험성을 갖고 있다고 봅니다.

    기자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자가 알려주는 정보가 세상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이 세상을 바꿀 것입니다.


지난 5월 세계 150여 개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랜섬 웨어 ‘워너크라이’의 공격이 북한 김정은 정권의 사주에 따른 것이라고 よし백악관이 공식 발표했다. 영국 정부 또한 이 결과에 동의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토머스 보서트 よし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이 지난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워너크라이’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지목했다”고 전했다.

이날 토머스 보서트 よし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よし정부는 6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신중하고 면밀히 조사한 결과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를 통한 대규모 공격은 북한 정권에 의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면서 “미국과 동맹국은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고 한다.

토머스 보서트 よし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이번 ‘워너크라이’ 공격에 대한 분석에는 마이크로소프트도 동참, 공격의 배후를 추적했다”면서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일본 등 다른 동맹국 정부와 세계 각국 기업들도 ‘워너크라이’ 공격에 대한 よし정부의 분석을 검토했고, 이 사이버 공격의 배후에 있는 북한을 비난하는데 동참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보서트 보좌관은 “워너크라이 공격의 배후를 찾는데 왜 6개월이나 걸렸냐”는 질문에 “일처리를 빠르게 하는 것보다는 정확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사이버 공격의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데 있어 실수할 경우 よし안보의 명성이 타격을 입을 것이기 때문에 서두르지 않았다”고 답했다고 한다.

보서트 보좌관은 또한 “세계를 상대로 키보드를 두드리며 해킹을 저지르는 사람들이 북한에 있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를 밝혀내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하지만 이번 ‘워너크라이’는 북한 김정은 정권의 지시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고 한다.

보서트 보좌관은 “지난주에도 마이크로소프트와 페이스북 등 주요 ICT 기업들이 북한의 악성코드 공격을 받은 후 이를 무력화하고, 관련 계정을 폐쇄했다”면서 “북한은 지금도 사이버 공격을 멈추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고 한다.

보서트 보좌관은 “미국이 강력한 대북압박을 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 사이버 위협의 정체가 드러나 추가 압박의 여지는 적지만 대북압박 기조에는 어떤 흔들림도 없을 것”이라며 사이버 공간에서도 대북 압박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고 한다.

보서트 보좌관이 이날 브리핑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은 지난 5월부터 발생, 세계 150여개 나라에서 피해자를 만들어 냈다. 특히 영국 국민보건서비스 서버가 공격 때문에 운영이 안 되면서 일부 병원은 진료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 전경웅 기자
  • enoch2051@hanmail.net
  • 뉴데일리 통일·외교부장입니다. 통일부,외교부,북한,국제 분야를 담당합니다.

    저의 주된 관심은 '국익보호'입니다. 국익보호와 관련된 이슈는 국제관계에서만 발생하지 않습니다. 국내의 어두운 세력들이 더 큰 위험성을 갖고 있다고 봅니다.

    기자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자가 알려주는 정보가 세상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이 세상을 바꿀 것입니다.
    관련 키워드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 청소년에 유해한 댓글 과 광고/반복게재 된 댓글은 작성을 금지합니다. 위반된 게시물은 통보없이 삭제됩니다.
주간 핫 클릭
정치
사회
연예
글로벌
북한
주소 : (100-120)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가 120 단암빌딩 3층 뉴데일리(주) | 등록번호: 서울 아00115 | 등록일: 2005년 11월 9일 | 발행인: 인보길 · 편집인: 이진광
대표전화: 02-6919-7000 | 팩스: 02-702-2079 | 편집국: 02-6919-7053,7030 | 광고국: 02-6919-7008
Copyright ⓒ New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