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남 일 아닌… 日 65세 이상 20명 중 1명 고독사 | 서울신문

남 일 아닌… 65세 이상 20명 중 1명 고독사

남 일 아닌… 65세 이상 20명 중 1명 고독사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4-05-14 23:21
업데이트 2024-05-14 2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6만 8000명 전망… 13년 새 2.5배
にち 정부, 생전에 관리 대책 등 고심

이미지 확대
일본에서 가족과 이웃도 모른 채 홀로 세상을 떠나는 65세 이상 사망자가 올 한 해에만 6만 8000명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3년 전보다 2.5배 증가한 수치인데, 일본 정부가 ‘쓸쓸한 죽음’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지난 1월부터 3월 사이 경찰 신고 등을 토대로 집계한 고독사 사례는 2만 1716명이었고,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1만 7034명으로 80%에 육박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4일 보도했다. 85세 이상 고독사는 4922명으로 고령자 고독사의 약 30%를 차지했다. 이어 75~79세가 3480명, 80~84세 3348명, 70~74세 3204명, 65~69세 2080명 순이었다.

일본 총무성이 내놓은 ‘2024 일본 통계’를 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사망자 수는 143만 9600명이다. 사망자 규모가 유지된다고 봤을 때 고령자 20명 중 한 명은 고독사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2011년 일본 민간 연구소인 닛세이기초연구소가 내놓은 보고서에 65세 이상 연간 고독사 추산치가 2만 6821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여년 사이 2.5배가 늘었다.

일본은 2006년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고 현재 인구 10명 중 3명이 65세 이상 고령자일 정도로 고령화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고령자 1인가구의 수도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원의 추계 결과 2050년 65세 이상 1인가구는 1083만명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0년 대비 47% 늘어난 규모다.

일본 정부는 고독사 문제를 심각하게 판단하고 2023년부터 실태를 파악해 왔다. 그 결과 이번에 경찰청이 처음 총계를 집계했는데, 이 가운데 고령자뿐만 아니라 20~24세 83명, 15~19세 19명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사 사례가 꾸준히 늘면서 일본 사회에서도 경제적 어려움과 고립감에 시달리며 쓸쓸하게 죽음을 맞는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다케미 게이조 후생노동상은 전날 중의원(하원) 회의에 출석해 “고독사 확률은 앞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다”면서 “확실히 대처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의지할 곳이 없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행정 업무 대행이나 사후 장례, 유품 정리 등의 문제를 지원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을 계획하고 있다. 생전 관련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배치하고 국가 보조금을 받아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2024-05-15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