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구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신(, 산스크리트어: padakāy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구신(, 산스크리트어: padakāya)의 (, pada)는 제행무상(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 제행은 무상하다) 또는 제법무아(諸法しょほう無我むが: 제법은 무아이다)와 같은 문장[あきら, 산스크리트어: vākya] 또는 명제를 뜻하는데,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완전히 표현한 것을 말한다. (, 산스크리트어: kāya)은 복수형 접미사로 집합 혹은 그룹을 뜻한다. 따라서, 구신()은 문장들의 집합 또는 명제들의 집합을 뜻한다.[1]

()는 제행, 무상, 제법, 무아 등과 같은 명사적인 단어 또는 명사를 뜻하는 (, nāma)이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의 집합 또는 그룹을 명신(めい, 산스크리트어: nāmakāya)이라 한다.[1]

다시, ()은 산스크리트어의 경우 a, ā, i, ī, ka, kha 등과 같은 단음절의 (, 산스크리트어: varna, aksara, 字音じおん, letter; 자음(子音しいん, consonant)이 아님)가 모여서 이루어지는데, ()와 (ぶん, 산스크리트어: vyañjana)은 동의어이다. () 또는 (ぶん)의 집합 또는 그룹을 문신(文身いれずみ, 산스크리트어: vyañjanakāya)이라 한다.[1][2]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구신()이란 '자만(滿みつる: 가 충분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4] 즉, 표현하고자 하는 뜻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을만큼 ()가 충분히 모인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 문장, 명제)는 하나의 의미체계를 완전하게 표현한 것으로, (: 문장, 명제)를 통해 해당 (: 문장, 명제)를 이루는 (, nāma: 명사, 명사적 단어)들이 가리키는 들의 동작[ぎょう, kriya], 성질[とく, guṇa], 시제[, kala] 등의 관계(상응과 차별)가 이해된다.[1] 예를 들어, 제행무상(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 제행은 무상하다) 또는 제법무아(諸法しょほう無我むが: 제법은 무아이다)와 같은 (: 문장, 명제)를 통해 제행무상의 관계, 제법무아의 관계가 이해된다.

한편,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구신()에 대해 정의하기를, '갖가지 법의 차별상에 대한 증언[於諸ほ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들 즉 차별증언(差別さべつぞうげん)들의 집합을 가립(假立かりだち: 실체가 없는 것을 가설적으로 하나의 실체로 보는 것)하여 구신()이라고 한다'고 말하고 있다. 즉 관계(상응과 차별) 중에서 차별만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의 예로 '제행무상(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과 '모든 유정은 반드시 언젠가는 죽게 된다(一切いっさい有情うじょうとう)'는 것을 들고 있는데, '제행무상'이라는 문장(こう: 유위법)과 무상(無常むじょう)이라는 증언(ぞうごと: 명사, 개념)[5]을 사용하여 의 특정한 차별상을 드러내는 문장이다. 즉 에는 무상이라는 특정한 상태 또는 양태가 존재한다는 것을 드러내는 문장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유정은 반드시 언젠가는 죽게 된다'는 문장유정(有情うじょう)과 죽음[]이라는 증언(ぞうごと: 명사, 개념)을 사용하여 유정의 일생에는 죽음이라는 특정한 상태 또는 양태, 즉 차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드러내는 문장이다.[6][7][8][9]

정의

편집

부파불교대승불교의 논서들에서의 구신(: 문장, 명제)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편집

학자들은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들이 세 단계의 발전 단계를 거친 것으로 보는데, 주요 논서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0][11][12]

아래 단락들은 이러한 아비달마 논서들의 발전 순서에 의거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해당 아비달마 논서에서 나타나는 구신(: 문장, 명제)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아비달마품류족론

편집

아비달마구사론

편집

아비달마순정리론

편집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편집

현대의 학자들에 따르면 인도불교유식학의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뉘는데, 제1기는 미륵(彌勒みろく)과 무착(ちゃく)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おや)의 유식학이고, 제3기는 호법(護法ごほう)과 안혜(あんとし) 등의 10대 논사유식학이다.[13]

아래 단락들은 이러한 구분에 의거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해당 유식학 논서에서 나타나는 구신(: 문장, 명제)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유가사지론

편집

현양성교론

편집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편집

대승오온론·광오온론

편집

대승백법명문론·해

편집

성유식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권오민 1991, 18쪽.
  2. 星雲せいうん, "ぶん". 2012년 12월 5일에 확인
    "ぶん: 梵語ぼんご vyañjana。音譯おんやく便びんぜん為心いしん不相應ふそうおう行法ぎょうほういちななじゅうほういちひゃくほういちそくためめいあずかこれしょよりどころ俱舍ろんまき、俱舍ろんひかりまきぶんため(梵 aksara,音譯おんやくあく剎羅)同義どうぎ具有ぐゆうのうあきらあらわよしあるあらわめいあるあらわそく[袌-つつみ+](a)、おもね(ā)、いち(i)、(ī)とうしょうためぶん,其體かいひょうただしためめいしゃしょ於不相應そうおうぎょうあずか我國わがくに書法しょほう文字もじ不同ふどう。乃為あきらあきら本有ほんゆう[袌-つつみ+]、おもねとう製作せいさく上書うわがきぶんためあきらあきら上書うわがきぶん文字もじ製作せいさくしょしょためしょぶん
     ぶんゆうさんしゅせついちしょうためぶん」,せつしょうため文身いれずみ」,せつさんあるよんそくしょう文身いれずみ」。小乘しょうじょうせつ一切有部主張文別有自體,けい唯識ゆいしきそくみとめためぶん僅為めいこれしょはなれごえそくべつ自體じたい,而視其為ぶん假立かりだちほう。〔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じゅうよん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大乘だいじょう義章よしあきまき〕(まいり閱「めい」)"
  3.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4a19 - T26n1542_p0694a29.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とくうんなにいいとく諸法しょほう想定そうていうんなにいいやめはなれへんきよししみはなれじょうしみ出離しゅつり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めつめつていうんなにいいやめはなれ所有しょゆうしょしみとめいきそう作意さくいためさき心心こころごころしょめつ無想むそうごとうんなにいいせい無想むそう有情うじょうてん中心ちゅうしんしんしょめついのちうんなにいい三界さんがいことぶき。眾同ぶんうんなにいい有情うじょう同類どうるいせいうんなにいいとくしょしょごととくうんなにいいとくしょ蘊。ところとくうんなにいいとく內外しょなまうんなにいいれいしょ蘊起。ろううんなにいいれいしょ蘊熟。じゅううんなにいいれいやめなま諸行しょぎょう不壞ふえ無常むじょううんなにいいれいやめなま諸行しょぎょうめつ壞。めいうんなにいいぞううんなにいい滿まん文身いれずみうんなにいい眾。"
  4.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p. 11-12 / 448. 심불상응행(こころ不相應ふそうおうぎょう)
    "득(とく)이란 무엇인가? 모든 법을 얻는 것[とく]이다.
    무상정(想定そうてい)이란 무엇인가? 이미 변정천(あたりきよしてん)의 번뇌[しみ]는 여의었으나, 아직 그 윗세계의 번뇌를 여의지 못하고서 벗어났다는 생각[出離しゅつりそう]을 마음으로 내는 것을 우선으로 여기는 심·심소가 소멸한 것이다.
    멸정(めつじょう)이란 무엇인가? 이미 무소유처천(所有しょゆうしょてん)의 번뇌[しみ]를 여의고 멈추어 쉰다는 생각[とめいきそう]으로 마음을 내는 것을 우선으로 여기는 심·심소가 소멸한 것이다.
    무상사(無想むそうごと)란 무엇인가? 무상유정천(無想むそう有情うじょうてん)에 나서 심·심소가 소멸한 것이다.
    명근(いのち)이란 무엇인가? 3계(さかい)의 수명(壽命じゅみょう)을 말하는 것이다.
    중동분(しゅうどうぶん)이란 무엇인가? 유정으로서 같은 종류가 되는 성품[同類どうるいせい]을 말하는 것이다.
    의득()이란 무엇인가? 의뢰할 대상[ところ]이 되는 처소를 얻는 것이다.
    사득(こととく)이란 무엇인가? 모든 온(蘊)을 얻는 것이다.
    처득(しょとく)이란 무엇인가? 내외처(內外しょ)를 얻는 것이다.
    생(せい)이란 무엇인가? 모든 온(蘊)으로 하여금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노(ろう)란 무엇인가? 모든 온으로 하여금 익게 하는 것[じゅく]이다.
    주(じゅう)란 무엇인가? 이미 생긴 모든 행(くだり)으로 하여금 파괴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무상(無常むじょう)이란 무엇인가? 이미 생긴 모든 행으로 하여금 소멸하고 파괴되게 하는 것이다.
    명신(めい)이란 무엇인가? 증어(ぞう)이다.
    구신()이란 무엇인가? 글자가 원만한 것[滿まん]이다.
    문신(文身いれずみ)이란 무엇인가? 글자가 모여 있는 것[しゅ]이다."
  5. 星雲せいうん, "ぞうさわ". 2012년 12월 5일에 확인. 증어(ぞう)와 증언(ぞうげん)
    "ぞうさわ: ためゆうたいさわ對稱たいしょうゆびあずかだい六意識相應之意觸。さわ乃緣ぶつ」而予以分べつしょうぞうさわぞうゆうぞうじょう,乃無かいひょうこえ,其聲殊勝しゅしょうしゃいいしょう此名ためぞうえん此增所緣しょえん而稱ためぞうさわ。〔俱舍ろんまきじゅう〕"
  6.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7 - T31n1605_p0665c21. 명신(めい)·구신()·문신(文身いれずみ)
    "何等なんらめいいい於諸ほう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めい何等なんらいい於諸ほ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何等なんら文身いれずみいい於彼しょしょ假立かりだち文身いれずみ。此言文者もんじゃのうあきらかれゆえ。此又めいあらわのうあらわかれゆえ。此復名字みょうじてん。"
  7.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명신(めい)·구신()·문신(文身いれずみ)
    "어떠한 것이 명신 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자체적인 성품에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명신이라 한다.
    어떠한 것이 구신 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차별에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임시로 세워서 구신이라 한다.
    어떠한 것이 문신 불상응행법입니까? 두 가지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를 임시로 세워서 문신이라 한다. 이 문이란 그 두 가지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또 현(あらわ)이라고도 이름하니 능히 그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또 명자(名字みょうじ)라고도 하니, 그 의미가 이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8.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2권. p. T31n1606_p0700c02 - T31n1606_p0700c15. 명신(めい)·구신()·문신(文身いれずみ)
    "めいしゃいい於諸ほう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めい自性じしょうぞうげんしゃいいせつ天人てんにんみみとうごとしゃいい於諸ほ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假立かりだち差別さべつぞうげんしゃいいせつ諸行無常しょぎょうむじょう一切有情當死等義。文身いれずみしゃいい於彼しょしょ假立かりだち文身いれずみかれ二所依諸字者謂。自性じしょう差別さべつぞうげんしょしょ如[褒-+]いち鄔等。また自性じしょう差別さべつ及此二言にごんそう一切いっさい如是にょぜ一切由此三種之所詮表。建立こんりゅうさんため名句めいく文身いれずみ。此言文者もんじゃのうあきらかれゆえ。此又めい顯能あきよしあきらよし。此復名字みょうじてんゆえ所以ゆえんしゃなに。如眼めいこと。此名がいさらゆうあきらりょうしるべとう異名いみょうあらためてんゆかりかれどうあらわ此想ゆえ[褒-+]いちとうはなれ[褒-+]いちとう差別さべつがいさらゆう差別さべつのうあらわ此。てんせつめいためことてんしゃいい不流ふりゅうへん。"
  9.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2권. pp. 36-37 / 388. 명신(めい)·구신()·문신(文身いれずみ)
    "어떠한 것이 ‘명신(めい)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자체적인 성품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가립하여 명신이라 한다.
    [しゃく] ‘자체적인 성품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난다는 것’이란 천상과 인간의 눈ㆍ귀 따위의 일을 가리키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구신()불상응행법’입니까? 제법의 차별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을 가립하여 구신이라 한다.
    [しゃく] ‘차별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난다는 것’이란 제행이 무상하기에 일체의 유정은 반드시 죽게 된다는 이치를 말하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문신(文身いれずみ)불상응행법’입니까?
    그 두 가지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를 가립하여 문신이라 한다. 이 같은 ‘문’이란 그 두 가지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또 나타내 드러낸다[あらわ]고도 이름하나니 능히 그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또 명자(名字みょうじ)라고도 하니, 그 의미가 이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しゃく] ‘그 두 가지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란 자체적인 성품이나 차별에 처해서 그 언설이 늘어나는 것에 의지하는 각종 문자 즉 아(:a) ㆍ일(いち:i)ㆍ오(鄔:u) 따위이다. 또 자체적인 성품과 차별에 어우러진 이 두 가지의 언설이 일체를 모두 수렴하는 것이니, 이와 같은 일체가 이 세 가지에 연유해서 그 뜻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 세 가지를 건립하여 명신ㆍ구신ㆍ문신으로 삼는 것이다. 여기서 ‘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능히 그 두 가지를 표출하기 때문이다. 이는 또 ‘나타내 드러낸다’고도 이름하니 능히 이치를 내부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명자라고도 하니 그 의미가 이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째서입니까? 눈의 경우처럼 그 ‘눈’이란 명칭은 달라질 수 있으니, 이 같은 이름 외에 다시 유조(ゆうあきら)와 요도(りょうしるべ) 따위의 다른 이름으로 바꿔 부를 수 있으므로, 저것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상(そう)을 동일하게 표출하기 때문이다. 아( )ㆍ일(いち) 따위의 글자가 아ㆍ일 따위의 차별 이외의 것으로 벗어나지 않고 이 차별에 머물러 있어야만 이러한 뜻을 표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글자로 인해 다른 것으로 이전되지 않는 것을 명자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しゃく] ‘글자 때문에 이전되지 않는 것’이란 변하여 달라지지 않는 것이다."
  10. 권오민 2003, 29–42쪽.
  11.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1-12 / 57.
  12. 임기영 (1998). 《『아비달마집이문족론』의 법수체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사학위 논문. pp 1-2.
    "일반적으로 설일체유부의 문헌을 3단계에 걸쳐서 발전되었다고 보고 있다. 즉 초기의 논서로는 《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もんあしろん》과 《おもね達磨だるまほう蘊足ろん》을 들고, 중기의 논서로는 《施設しせつあし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識身あし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かいあし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ひんるいあし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はつさとし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だい毘婆すなろん·おもね毘曇甘露かんろあじろん·いれおもね達磨だるまろん》등을 들고, 후기의 논서로는 《おもね毘曇しんろん·おもね毘曇しんろんけい·ざつおもね毘曇しん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俱舍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じゅんせい理論りろん·おもね達磨だるまぞうあらわ宗論しゅうろん》등을 들고 있다.1)
    이렇게 볼 때 《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もんあしろん》(이하 《しゅうもんあしろん》으로 약칭)과 《おもね達磨だるまほう蘊足ろん》은 유부 문헌의 3단계 발전 과정중 초기논서에 해당되는 셈이다. 그 근거로 두 논서가 아함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들고 있다. 즉 《しゅうもんあしろん》은 《ながおもね含經》에 속하는 けい의 하나인 〈しゅうしゅうけい〉(동본이역으로는 《だいしゅう法門ほうもんけい》이 있음)의 내용을 부연 · 해석한 것이라 하고, 《おもね達磨だるまほう蘊足ろん》은 특정한 한 경에 대해 주석하는 형태가 아니라 21가지 주요한 교설을 선정하여 설명을 하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또한 《しゅうもんあしろん》과 《おもね達磨だるまほう蘊足ろん》은 ろんはは(mātṛkā)를 제시하고 이를 주석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1) 후치타 코타츠 そと, 권오민 わけ, 《초기 · 부파불교의 역사》, 민족사, 1992. pp.246-252 참조. 塚本つかもとあきらさち · 松長まつながゆうけい · 磯田いそだ熙文 編著へんちょ, 《梵語ぼんご佛典ぶってん硏究けんきゅう》Ⅲ ろんしょへん, 平樂へいらくてら書店しょてん, 1990, 《いれおもね達磨だるまろん》은 후기 논서로 파악되고 있어 앞의 책과 차이가 난다. 또한 《なりろん》도 후기 논서로서 언급된다.(pp.58-104 참조). 유부 7론은 다시 세단계의 발전과정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초기 논서로는 《おもね達磨だるましゅうもんあしろん》과 《おもね達磨だるまほう蘊足ろん》과 《おもね達磨だるま施設しせつあしろん》을 들고, 중기 논서로는 《おもね達磨だるま識身あしろん》과 《おもね達磨だるまかいあしろん》을 들고, 후기 논서로는 《おもね達磨だるまひんるいあしろん》과 《おもね達磨だるまはつさとしろん》을 들고 있다. (水野みずのひろしもと ちょ, 김현 わけ, 《原始げんし佛敎ぶっきょう》, 벽호, 1993. p.23)"
  13. 황욱 1999, 16–17쪽
    "유식학에서는 그 학설의 내용에 따라 인도의 유식학을 3기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을 말하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을 말하며, 제3기는 護法ごほう[Dharmapāla]과 あんとし[Sthitamati] 등 じゅうだいろん들의 유식학을 의미한다. 한편 제1기와 제2기를 합쳐서 初期しょき唯識ゆいしきがく이라고도 부른다.45)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처음으로 유식학의 이론적 체계를 세운 무착이 유식학에 끼친 공헌은 실로 대단한 것이다. 그것은 미륵이 실존인물인지 아니면 무착 자신인가에 대한 논란과는 별개로 그가 유식학의 주창자로 자리매김 되어도 조금도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식사상은 신앙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미륵이 始祖しそ이지만, 실제적이고 역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무착이 시조라 해도 틀림이 없는 것이다.
    45) とおる, 「初期しょき唯識ゆいしきこころ意識いしき思想しそうはち思想しそう 硏究けんきゅう」, 《唯識ゆいしきこころ思想しそう 硏究けんきゅう》(서울: 佛敎ぶっきょう思想しそうしゃ, 1989), pp.14~15 참조. 이에 의하면 “제1기의 유식학은 초창기의 유식학으로서 후세의 발달된 유식학에 비하여 원시적인 학설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유식학을 原始げんし唯識ゆいしき라고도 하며 이때의 주요 논서는 《유가사지론》과 《섭대승론》·《현양성교론》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 제2기의 유식학은 세친논사가 무착과 미륵의 유식학을 잘 정리하고 조직화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의 유식학을 組織そしき唯識ゆいしきがく이라고도 한다. 이 組織そしき唯識ゆいしきがく의 대표적인 논서는 《대승백법명문론》과 《유식삼십론송》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 제3기의 유식학은 세친논사 이후에 호법과 안혜 등 십대논사들이 세친의 《唯識ゆいしきさんじゅうろん》을 훌륭한 이론으로 주석하여 유식학을 크게 발달시킨 시기로 이때의 유식학을 發達はったつ唯識ゆいしき라고 한다. 이때의 대표적인 저술로 《유식삼십론송》을 주석한 《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을 들 수 있으며, 《성유식론》은 중국에서 번역되어 法相ほうしょうむねそうまなぶ에 크게 이바지한 논서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