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UEFA 유로 2008 예선: 두 판 사이의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UEFA 유로 2008 예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0)
12번째 줄: 12번째 줄:


UEFA 유로 2008 예선 조 추첨은 [[2006년]] [[1월 27일]]에 [[스위스]]의 [[몽트뢰]]에서 있었다.<ref>{{웹 인용
UEFA 유로 2008 예선 조 추첨은 [[2006년]] [[1월 27일]]에 [[스위스]]의 [[몽트뢰]]에서 있었다.<ref>{{웹 인용
|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49&article_id=0000024131&section_id=107&menu_id=107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49&article_id=0000024131&section_id=107&menu_id=107
| 제목 = 유로2008, 오는 28일 예선 조추첨
|제목 = 유로2008, 오는 28일 예선 조추첨
|날짜= 2006-01-26
|날짜 = 2006-01-26
| 저자 = iMBCsports
|저자 = iMBCsports
|언어= 한국어
|언어 = 한국어
|확인날짜 = 2007-08-08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날짜 = 2004-10-15
|깨진링크 = 예
}}</ref><ref>{{웹 인용
}}</ref><ref>{{웹 인용
|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09&article_id=0000025615&section_id=107&menu_id=107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09&article_id=0000025615&section_id=107&menu_id=107
| 제목 = 프랑스-이탈리아-우크라이나, 유로 2008 예선 '죽음의 조'
|제목 = 프랑스-이탈리아-우크라이나, 유로 2008 예선 '죽음의 조'
|날짜= 2006-01-27
|날짜 = 2006-01-27
| 저자 = OSEN
|저자 = OSEN
|언어= 한국어
|언어 = 한국어
|확인날짜 = 2007-08-10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날짜 = 2004-10-15
|깨진링크 = 예
}}</ref>
}}</ref>


859번째 줄: 867번째 줄:


(*) 덴마크와 스웨덴 간의 경기 중단 사태에 대해 [[UEFA]]는 해당 경기를 덴마크의 0:3 몰수패로 처리했다.<ref>{{웹 인용
(*) 덴마크와 스웨덴 간의 경기 중단 사태에 대해 [[UEFA]]는 해당 경기를 덴마크의 0:3 몰수패로 처리했다.<ref>{{웹 인용
|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654890&section_id=107&menu_id=107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654890&section_id=107&menu_id=107
| 제목 = 덴마크, 유로2008 예선 관중폭력으로 몰수패 위기
|제목 = 덴마크, 유로2008 예선 관중폭력으로 몰수패 위기
|날짜= 2007-06-03
|날짜 = 2007-06-03
| 저자 = 연합뉴스
|저자 = 연합뉴스
|언어= 한국어
|언어 = 한국어
|확인날짜 = 2007-08-10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날짜 = 2004-10-15
|깨진링크 = 예
}}</ref><ref>{{웹 인용
}}</ref><ref>{{웹 인용
|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49&article_id=0000033768&section_id=107&menu_id=107
|url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49&article_id=0000033768&section_id=107&menu_id=107
| 제목 = UEFA, 축구팬 난입한 덴마크에 몰수패
|제목 = UEFA, 축구팬 난입한 덴마크에 몰수패
|날짜= 2007-06-09
|날짜 = 2007-06-09
| 저자 = iMBCsports
|저자 = iMBCsports
|언어= 한국어
|언어 = 한국어
|확인날짜 = 2007-08-10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
|보존날짜 = 2004-10-15
|깨진링크 = 예
}}</ref>
}}</ref>


1,069번째 줄: 1,085번째 줄:
* 또한, 잉글랜드가 마지막 경기에서 패해 탈락하던 날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북아일랜드]] 역시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의 뒤를 이어 탈락하여 [[영국]]의 4개 팀은 모두 예선 탈락되었다.
* 또한, 잉글랜드가 마지막 경기에서 패해 탈락하던 날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북아일랜드]] 역시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의 뒤를 이어 탈락하여 [[영국]]의 4개 팀은 모두 예선 탈락되었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이 이번 예선에서 가장 많은 득점(35골)을 했다. 산마리노를 상대로 무려 13-0의 대승을 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번째로 많은 득점을 기록한 팀은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33골)인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이 이번 예선에서 가장 많은 득점(35골)을 했다. 산마리노를 상대로 무려 13-0의 대승을 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번째로 많은 득점을 기록한 팀은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33골)인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 [[FIFA 월드컵|월드컵]]에는 여러번 진출했으나,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대회]] 진출에는 번번이 실패했던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가 사상 최초로 유로 대회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폴란드는 [[UEFA 유로 2012|유로 2012]](폴란드-우크라이나 공동 개최)도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게 되어 2연속 본선 진출도 동시에 이루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kr.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801/index.html |제목=폴란드, 사상 첫 '유로 본선' 진출 |확인날짜=2008-02-12 |형식= |웹사이트= }}</ref>
* [[FIFA 월드컵|월드컵]]에는 여러번 진출했으나,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대회]] 진출에는 번번이 실패했던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가 사상 최초로 유로 대회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폴란드는 [[UEFA 유로 2012|유로 2012]](폴란드-우크라이나 공동 개최)도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게 되어 2연속 본선 진출도 동시에 이루게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kr.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801/index.html |제목=폴란드, 사상 첫 '유로 본선' 진출 |확인날짜=2008-02-12 |형식= |웹사이트=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4032604/http://kr.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801/index.html# |보존날짜=2007-10-14 |깨진링크=예 }}</ref>
*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룩셈부르크]]는 [[2007년]] [[10월 13일]]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함으로써, 12년간의 무승 기록을 깼다.<ref>{{웹 인용 |url=http://kr.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693/index.html |제목=룩셈부르크의 12년 만의 승리 |확인날짜=2008-02-12 |형식= |웹사이트= }}</ref>
*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룩셈부르크]]는 [[2007년]] [[10월 13일]]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함으로써, 12년간의 무승 기록을 깼다.<ref>{{웹 인용 |url=http://kr.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693/index.html |제목=룩셈부르크의 12년 만의 승리 |확인날짜=2008-02-12 |형식= |웹사이트=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14212618/http://kr.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693/index.html# |보존날짜=2007-10-14 |깨진링크=예 }}</ref>
* 독일은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을 13-0으로 꺾었는데, 이 경기는 [[1983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과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몰타]] 간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몰타를 12-1로 꺾은 기존의 유로 예선 최다 득점차 기록을 깼다.<ref>{{웹 인용 |url=http://www.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623/report=index.html |제목=Records tumble as Germany soar |확인날짜=2008-02-12 |언어=영어 }}</ref>
* 독일은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을 13-0으로 꺾었는데, 이 경기는 [[1983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과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몰타]] 간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몰타를 12-1로 꺾은 기존의 유로 예선 최다 득점차 기록을 깼다.<ref>{{웹 인용 |url=http://www.uefa.com/competitions/euro/fixturesresults/round=2241/match=83623/report=index.html |제목=Records tumble as Germany soar |확인날짜=2008-02-12 |언어=영어 }}</ref>


1,088번째 줄: 1,104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위키공용분류}}
* [http://kr.uefa.com/competitions/euro/qualifying/index.html UEFA 공식 홈페이지의 유로 2008 예선 페이지]
* [https://web.archive.org/web/20070824091113/http://kr.uefa.com/competitions/euro/qualifying/index.html UEFA 공식 홈페이지의 유로 2008 예선 페이지]


{{UEFA 유로 2008 예선}}
{{UEFA 유로 2008 예선}}

2018년 11월 12일 (월) 15:50 판

  본선 진출
  예선 탈락
  불참
  UEFA 비회원국

UEFA 유로 2008 예선2006년 1월 27일 시드 배정 뒤 조 추첨을 시작으로 2006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경기에 돌입했고, 2007년 11월 21일에 마무리되었다.

시드 배정

UEFAUEFA 유로 2004 예선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획득한 경기당 평균 승점을 기준으로 팀별로 계수를 매겨서 공동 개최국인 오스트리아스위스를 제외한 총 50개국을 7개 그룹으로 구분했다.

  • 그리스는 UEFA 유로 2004 우승 팀으로서 자동으로 1그룹에 배정되었다.
  • 포르투갈은 UEFA 유로 2004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여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성적만을 기준으로 경기당 평균 승점을 계산했다.
  • 독일2006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여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UEFA 유로 2004 예선 성적만을 기준으로 경기당 평균 승점을 계산했다.
  • 카자흐스탄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경기를 치러본 적이 전혀 없는 관계로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성적만이 반영되었다. 이 팀이 마지막으로 예선을 치른 대륙별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이었지만 이 성적은 경기당 평균 승점에 반영되지 않았다.
  • 세르비아는 2006년에 해체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승계받은 팀이 되었다. 몬테네그로는 UEFA 유로 2008 예선 시작 당시에 UEFAFIFA에 가입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참가하지 않았다.

UEFA 유로 2008 예선 조 추첨은 2006년 1월 27일스위스몽트뢰에서 있었다.[1][2]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포트 6 포트 7

순위 결정 방식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2개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1. 동률 팀 간의 승점
  2. 동률 팀 간의 골득실
  3. 동률 팀 간의 다득점
  4. 동률 팀 간의 원정 다득점
  5. 동률 팀 간의 승점, 골득실, 다득점, 원정 다득점이 같은 경우에는 1)에서 4)의 순서를 반복한다. 이후에도 순위가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6.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 대하여:
    1. 골득실
    2. 다득점
    3. 원정 다득점
    4. 페어 플레이 점수
  7. 추첨

경기 결과

본 대회의 예선전은 2006년 8월에 시작되었다. 오스트리아스위스는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티켓을 이미 획득하였다.

예선 방식은 조별 리그 방식에 홈 앤 어웨이 방식을 더한 형태로 치러지는데, 이전 대회와 다른 점은 예선 형식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본선 진출 팀이 15개 팀에서 14개 팀으로 줄면서(16개국에서 공동 개최국 2장을 빼야한다) 일어난 현상인데, 이로 인해 종전 대회의 예선에서 벌어지던 조별 예선 종료 후 별도의 플레이오프전은 더 이상 치러지지 않는다. 각 조의 7개 혹은 8개 팀은 무조건 조 2위 안에 들어야 본선 티켓을 거머쥘 수 있다.

한편 세르비아는 이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됨에 따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분배된 그 자리를 우선적으로 이어받았다. 한편, 몬테네그로2007년 1월UEFA 회원의 자격을 얻기는 하였으나, 유로 2008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밑의 표들은 조별 리그전의 최종 결과이다.

  • 예선 통과를 확정지은 팀은 초록색()으로 표시하였다.
  • 예선 탈락이 확정된 팀은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다.

A조

승점 경기
폴란드 28 14 8 4 2 24 12 +12
포르투갈 27 14 7 6 1 24 10 +14
세르비아 24 14 6 6 2 22 11 +11
핀란드 24 14 6 6 2 13 7 +6
벨기에 18 14 5 3 6 14 16 -2
카자흐스탄 10 14 2 4 8 11 21 -10
아르메니아 9 12* 2 3 7 4 13 -9
아제르바이잔 5 12* 1 2 9 6 28 -22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벨기에 핀란드 카자흐스탄 폴란드 포르투갈 세르비아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취소 0-1 0-0 0-1 1-0 1-1 0-0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취소 0-1 1-0 1-1 1-3 0-2 1-6
벨기에 3-0 3-0 0-0 0-0 0-1 1-2 3-2
핀란드 1-0 2-1 2-0 2-1 0-0 1-1 0-2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1-2 1-1 2-2 0-2 0-1 1-2 2-1
폴란드 1-0 5-0 2-0 1-3 3-1 2-1 1-1
포르투갈 포르투갈 1-0 3-0 4-0 0-0 3-0 2-2 1-1
세르비아 세르비아 3-0 1-0 1-0 0-0 1-0 2-2 1-1

(*)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두 나라 간에 2007년 9월 8일9월 12일에 열릴 그들의 홈 앤 어웨이 경기를 취소하기로 한 UEFA의 결정에 따라 다른 팀들과 달리 별도의 승점 없이 12경기만 치르게 되었다.[3]

  • 세르비아와 핀란드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2-0으로 앞선 세르비아가 3위, 핀란드가 4위를 기록하였다.

B조

승점 경기
이탈리아 29 12 9 2 1 22 9 +13
프랑스 26 12 8 2 2 25 5 +20
스코틀랜드 24 12 8 0 4 21 12 +9
우크라이나 17 12 5 2 5 18 16 +2
리투아니아 16 12 5 1 6 11 13 -2
조지아 10 12 3 1 8 16 19 -3
페로 제도 0 12 0 0 12 4 43 -39
  페로 제도 프랑스 조지아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스코틀랜드 우크라이나
페로 제도 페로 제도 0-6 0-6 1-2 0-1 0-2 0-2
프랑스 5-0 1-0 3-1 2-0 0-1 2-0
조지아 조지아 3-1 0-3 1-3 0-2 2-0 1-1
이탈리아 3-1 0-0 2-0 1-1 2-0 2-0
리투아니아 2-1 0-1 1-0 0-2 1-2 2-0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6-0 1-0 2-1 1-2 3-1 3-1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5-0 2-2 3-2 1-2 1-0 2-0

C조

승점 경기
그리스 31 12 10 1 1 25 10 +15
튀르키예 24 12 7 3 2 25 11 +14
노르웨이 23 12 7 2 3 27 11 +1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3 12 4 1 7 16 22 -6
몰도바 12 12 3 3 6 12 19 -7
헝가리 12 12 4 0 8 11 22 -11
몰타 5 12 1 2 9 10 31 -2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리스 헝가리 몰타 몰도바 노르웨이 튀르키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0-4 1-3 1-0 0-1 0-2 3-2
그리스 3-2 2-0 5-0 2-1 1-0 1-4
헝가리 1-0 1-2 2-0 2-0 1-4 0-1
몰타 몰타 2-5 0-1 2-1 2-3 1-4 2-2
몰도바 몰도바 2-2 0-1 3-0 1-1 0-1 1-1
노르웨이 1-2 2-2 4-0 4-0 2-0 1-2
튀르키예 튀르키예 1-0 0-1 3-0 2-0 5-0 2-2
  • 몰도바와 헝가리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3-2로 앞선 몰도바가 5위, 헝가리가 6위를 기록하였다.

D조

승점 경기
체코 29 12 9 2 1 27 5 +22
독일 27 12 8 3 1 35 7 +28
아일랜드 17 12 4 5 3 17 14 +3
슬로바키아 16 12 5 1 6 33 23 +10
웨일스 15 12 4 3 5 18 19 -1
키프로스 14 12 4 2 6 17 24 -7
산마리노 0 12 0 0 12 2 57 -55
  키프로스 체코 독일 아일랜드 산마리노 슬로바키아 웨일스
키프로스 키프로스 0-2 1-1 5-2 3-0 1-3 3-1
체코 체코 1-0 1-2 1-0 7-0 3-1 2-1
독일 4-0 0-3 1-0 6-0 2-1 0-0
아일랜드 아일랜드 1-1 1-1 0-0 5-0 1-0 1-0
산마리노 산마리노 0-1 0-3 0-13 1-2 0-5 1-2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6-1 0-3 1-4 2-2 7-0 2-5
웨일스 웨일스 3-1 0-0 0-2 2-2 3-0 1-5

E조

승점 경기
크로아티아 29 12 9 2 1 28 8 +20
러시아 24 12 7 3 2 18 7 +11
잉글랜드 23 12 7 2 3 24 7 +17
이스라엘 23 12 7 2 3 20 12 +8
북마케도니아 14 12 4 2 6 12 12 0
에스토니아 7 12 2 1 9 5 21 -16
안도라 0 12 0 0 12 2 42 -40
  안도라 크로아티아 잉글랜드 에스토니아 북마케도니아 이스라엘 러시아
안도라 안도라 0-6 0-3 0-2 0-3 0-2 0-1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7-0 2-0 2-0 2-1 1-0 0-0
잉글랜드 잉글랜드 5-0 2-3 3-0 0-0 3-0 3-0
에스토니아 2-1 0-1 0-3 0-1 0-1 0-2
북마케도니아 북마케도니아 3-0 2-0 0-1 1-1 1-2 0-2
이스라엘 이스라엘 4-1 3-4 0-0 4-0 1-0 2-1
러시아 4-0 0-0 2-1 2-0 3-0 1-1
  • 잉글랜드와 이스라엘은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3-0으로 앞선 잉글랜드가 3위, 이스라엘이 4위를 기록하였다.

F조

승점 경기
스페인 28 12 9 1 2 23 8 +15
스웨덴 26 12 8 2 2 23 9 +14
북아일랜드 20 12 6 2 4 17 14 +3
덴마크 20 12 6 2 4 21 11 +10
라트비아 12 12 4 0 8 15 17 -2
아이슬란드 8 12 2 2 8 10 27 -17
리히텐슈타인 7 12 2 1 9 9 32 -23
  덴마크 아이슬란드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북아일랜드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3-0 3-1 4-0 0-0 1-3 0-3*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 0-2 2-4 1-1 2-1 1-1 1-2
라트비아 0-2 4-0 4-1 1-0 0-2 0-1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 0-4 3-0 1-0 1-4 0-2 0-3
북아일랜드 북아일랜드 2-1 0-3 1-0 3-1 3-2 2-1
스페인 스페인 2-1 1-0 2-0 4-0 1-0 3-0
스웨덴 0-0 5-0 2-1 3-1 1-1 2-0

(*) 덴마크와 스웨덴 간의 경기 중단 사태에 대해 UEFA는 해당 경기를 덴마크의 0:3 몰수패로 처리했다.[4][5]

  • 북아일랜드와 덴마크는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2-1로 앞선 북아일랜드가 3위, 덴마크가 4위를 기록하였다.

G조

승점 경기
루마니아 29 12 9 2 1 26 7 +19
네덜란드 26 12 8 2 2 15 5 +10
불가리아 25 12 7 4 1 18 7 +11
벨라루스 13 12 4 1 7 17 23 -6
알바니아 11 12 2 5 5 12 18 -6
슬로베니아 11 12 3 2 7 9 16 -7
룩셈부르크 3 12 1 0 11 2 23 -21
  알바니아 벨라루스 불가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알바니아 알바니아 2-4 1-1 2-0 0-1 0-2 0-0
벨라루스 벨라루스 2-2 0-2 0-1 2-1 1-3 4-2
불가리아 0-0 2-1 3-0 1-1 1-0 3-0
룩셈부르크 0-3 1-2 0-1 0-1 0-2 0-3
네덜란드 2-1 3-0 2-0 1-0 0-0 2-0
루마니아 6-1 3-1 2-2 3-0 1-0 2-0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0-0 1-0 0-2 2-0 0-1 1-2
  • 알바니아와 슬로베니아는 승점, 상대 전적(2무, 합계 0-0), 원정 다득점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어 전체 골득실 차로 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알바니아가 5위, 슬로베니아가 6위를 기록하였다.

최고 득점자

이름
데이비드 힐리 13 북아일랜드
에두아르두 다 시우바 10 크로아티아
에우제비우시 스몰라레크 9 폴란드
루카스 포돌스키 7 독일
욘 달 토마손 7 덴마크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7 포르투갈
스테펜 이베르센 7 노르웨이
믈라덴 페트리치 7 크로아티아
니콜라 지기치 7 세르비아
다비드 비야 7 스페인

본선 진출

본선에 진출한 팀은 다음과 같다.

트리비아

  • 잉글랜드는 1번 시드 팀 중 유일하게 본선 진출에 실패한 팀이다. 반면에, 러시아는 3번 시드 팀 중 유일하게 본선 진출에 성공한 팀이다.
  • 또한, 잉글랜드가 마지막 경기에서 패해 탈락하던 날 북아일랜드 역시 웨일스스코틀랜드의 뒤를 이어 탈락하여 영국의 4개 팀은 모두 예선 탈락되었다.
  • 독일이 이번 예선에서 가장 많은 득점(35골)을 했다. 산마리노를 상대로 무려 13-0의 대승을 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번째로 많은 득점을 기록한 팀은 슬로바키아(33골)인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 월드컵에는 여러번 진출했으나, 유로 대회 진출에는 번번이 실패했던 폴란드가 사상 최초로 유로 대회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폴란드는 유로 2012(폴란드-우크라이나 공동 개최)도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게 되어 2연속 본선 진출도 동시에 이루게 되었다.[6]
  • 룩셈부르크2007년 10월 13일 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함으로써, 12년간의 무승 기록을 깼다.[7]
  • 독일은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을 13-0으로 꺾었는데, 이 경기는 1983년 스페인몰타 간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몰타를 12-1로 꺾은 기존의 유로 예선 최다 득점차 기록을 깼다.[8]

이변

이 대회의 예선에서 이변을 일으킨 팀 가장 대표적인 팀은 북아일랜드팀으로, 6시드를 받아서 사실상 예선 통과가 어려울 것이라 예상되었다. 하지만 계속된 이변을 일으키며 한때 조 2위를 차지, 예선 통과 가능성이 높은 팀으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유로 2008 예선이 시작될 당시인 2006년 8월에 이 팀의 FIFA 랭킹은 72위에 그쳤으나, 1년이 지난 뒤인 2007년 8월에는 27위를 기록하는 급격한 성장을 이루어냈다.[9] 이 이변의 주역으로 데이비드 힐리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팀 내에서는 물론 전체 예선에서 마지막까지 득점 선두를 달렸다. 그러나 이 이변은 오래 가지 못했다. 약체 라트비아아이슬란드에 잇달아 덜미를 잡혀 본선 진출 가능성이 다시 낮아지고, 두 경기를 남겨 둔 시점에서 덴마크를 이김으로써 본선 진출의 실낱같은 희망을 이어갔으나 스페인에게 패해 끝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또 다른 이변은 4시드를 받은 스코틀랜드가 두 번의 프랑스와의 대결에서 모두 프랑스를 격파하며 잠시나마 조 선두를 차지한 일이다. 이 조 역시 보통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본선에 진출하리라 예상되었다. 하지만 2007년 10월 18일 경기에서 약체 조지아에게 덜미를 잡혀 본선 진출은 이루지 못했다. 이 또한 북아일랜드 팀에 못지 않는 이변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잉글랜드마저도 크로아티아러시아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미국에서 개최된 1994년 FIFA 월드컵 이후 14년 만에 국제대회에서 영국 4개 팀이 모두 본선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

그 밖에도 최약체 카자흐스탄이 예상을 깨고 세르비아를 꺾은 경기나 터키가 약체 보스니아에게 패한 경기, 아일랜드가 최약체 산마리노를 상대로 동점골까지 허용했다 막판 역전골로 체면치레한 경기 등 예상 외의 결과가 나온 경기가 많다. [출처 필요]

각주

  1. iMBCsports (2006년 1월 26일). “유로2008, 오는 28일 예선 조추첨”.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8일에 확인함. 
  2. OSEN (2006년 1월 27일). “프랑스-이탈리아-우크라이나, 유로 2008 예선 '죽음의 조'.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10일에 확인함. 
  3. FOOTBALL 2.0 (2007년 6월 26일).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경기 취소”. 
  4. 연합뉴스 (2007년 6월 3일). “덴마크, 유로2008 예선 관중폭력으로 몰수패 위기”.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10일에 확인함. 
  5. iMBCsports (2007년 6월 9일). “UEFA, 축구팬 난입한 덴마크에 몰수패”.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10일에 확인함. 
  6. “폴란드, 사상 첫 '유로 본선' 진출”. 2007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2일에 확인함. 
  7. “룩셈부르크의 12년 만의 승리”. 2007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12일에 확인함. 
  8. “Records tumble as Germany soar” (영어). 2008년 2월 12일에 확인함. 
  9. 북아일랜드 피파 랭킹의 과거와 현재 - FIFA.com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