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일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5월)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Ykhwong님이 토론:색등급도 문서를 토론: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위키백과:이동 요청/2022년 4월
검토가 필요한 변경된 출처에 대한 안내) #IABot (v2.0.9.5
 
19번째 줄: 19번째 줄:
::궁극적으로, 저는 (a) 둘 다 어떤 학회 용어집에 수록된 용어이고, (b) "도표"를 띄어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러워 보이기에 현재 제목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으로 옮겼습니다. 기존의 제목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띄어쓰기) 또한 반대하지 않습니다.
::궁극적으로, 저는 (a) 둘 다 어떤 학회 용어집에 수록된 용어이고, (b) "도표"를 띄어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러워 보이기에 현재 제목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으로 옮겼습니다. 기존의 제목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띄어쓰기) 또한 반대하지 않습니다.
::일종의 선례로, "[[리 군]]"(Lie group) 및 "[[리 대수]]"(Lie algebra)은 대한수학회 용어집에 "리군"/"리대수"로 수록돼 있었지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의견이 모아져 띄어쓰기를 한 현재의 제목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사용자:Osteologia|Osteologia]] ([[사용자토론:Osteologia|토론]]) 2014년 7월 8일 (화) 17:10 (KST)
::일종의 선례로, "[[리 군]]"(Lie group) 및 "[[리 대수]]"(Lie algebra)은 대한수학회 용어집에 "리군"/"리대수"로 수록돼 있었지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의견이 모아져 띄어쓰기를 한 현재의 제목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사용자:Osteologia|Osteologia]] ([[사용자토론:Osteologia|토론]]) 2014년 7월 8일 (화) 17:10 (KST)

==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5월) ==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https://ko.wikipedia.org/w/index.php?diff=prev&oldid=37071828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m:InternetArchiveBot/FAQ|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https://web.archive.org/web/20210515064629/http://www.portaltotheuniverse.org/blogs/posts/view/29476/ 보존 링크를 http://www.portaltotheuniverse.org/blogs/posts/view/29476/ 링크에 추가함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en:User:InternetArchiveBot|'''<span style="color:darkgrey;font-family:monospace">InternetArchiveBot</span>''']] <span style="color:green;font-family:Rockwell">([[:en:User talk:InternetArchiveBot|버그를 제보하기]])</span> 2024년 5월 14일 (화) 09:57 (KST)

2024년 5월 14일 (화) 09:57 기준 최신판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편집]

[1]를 살펴보면 H-R도는 헤르츠스프룽은 1911년, 러셀은 1913년에 각각 독자적으로 만든 도표입니다. 간혹 다른 정보가 있으시다면 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114.201.124.134 (토론) 2010년 2월 22일 (월) 19:23 (KST)답변

띄어쓰기 및 표기[편집]

한국천문학회 용어집에는 (띄어쓰기 없이) "헤르츠스프룽-러셀도표"로, 한국물리학회 용어집에는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으로 수록돼 있습니다.

이 문서는 원래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 있었는데, 사용자:Salamander724님께서 "헤르츠스프룽-러셀도표"로 옮기셨습니다.

이 문서는 천체물리학에서 등장하는 내용이므로, 천문학회와 물리학회 용어집 둘 다 적용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띄어쓰기가 있는 용어가 좀 더 자연스러운 것 같아, 한국물리학회 용어집을 따라 옮겼습니다만, 이의가 있으시면 여기에 글을 남겨 주세요. Osteologia (토론) 2014년 7월 3일 (목) 15:43 (KST)답변

HR도표는 물리학보다는 천문학에서 훨씬 빈번히 사용되는 개념 아닌가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7월 3일 (목) 19:48 (KST)답변
음, 그건 천문학과 물리학의 경계가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에 따르게 됩니다. 보통 이런 내용은 "천체물리학"에 속하게 된다고 하는데, 이건 사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천문학적 대상에 물리학적 기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물리학은 보통 사용하는 기법(대체로 수학적/역학적인 경우)으로 정의되지만 천문학(또는 생물학 등)은 다루는 대상에 따라 정의되기 때문에, 천체물리학이나 생물리학, 물리화학, 경제물리학(!) 등이 존재하게 됩니다.
굳이 따지자면, 보통 H-R 도표를 처음 접하게 되는 건 천문학부에 속한 과목이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만약 물리학/천문학이 서로 다른 학부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스탠퍼드 같은 경우 천문학을 물리학부에서 다룹니다.).
궁극적으로, 저는 (a) 둘 다 어떤 학회 용어집에 수록된 용어이고, (b) "도표"를 띄어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러워 보이기에 현재 제목 (헤르츠스프룽-러셀 다이어그램)으로 옮겼습니다. 기존의 제목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띄어쓰기) 또한 반대하지 않습니다.
일종의 선례로, "리 군"(Lie group) 및 "리 대수"(Lie algebra)은 대한수학회 용어집에 "리군"/"리대수"로 수록돼 있었지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의견이 모아져 띄어쓰기를 한 현재의 제목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Osteologia (토론) 2014년 7월 8일 (화) 17:10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5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4년 5월 14일 (화) 09:5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