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혈당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혈당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ddbot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3월 11일 (월) 14:46 판 (봇: 인터위키 링크 29 개가 위키데이터d:q273924 항목으로 옮겨짐)

혈당지수(영어: Glycemic index; GI)란 일정한 양의 시료식품 탄수화물을 섭취한 후의 혈당 상승 정도를 같은 양의 표준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 후의 혈당 상승 정도와 비교한 값을 말하며, 이에 따라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과 낮은 식품으로 분류한다.[1]

혈당지수의 결정요인

혈당지수는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 정도 및 인슐린 반응과 관련이 깊으므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영향을 받는다. 즉, 장의 운동, 소화 흡수, 전분의 종류, 조리방법, 분자크기, 식품이나 식사에 포함된 지방, 단백질, 섬유소 성분 등이 모두 혈당지수의 결정요인이 된다.[1]

종류

전통적인 전분 식품, 파스타, 전곡류, 쌀, 두류 등에 포함된 당은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에 속하고, 설탕, 단당류 등은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에 속한다.[1]

영양적 측면

낮은 혈당지수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은 당뇨병과 심장순환계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을 선택할 것을 권장한다.[1]

한계점

식품의 혈당지수 값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많아서 실제로 광범위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1]

주석

  1. 김화영 외 6명, 《임상영양학》, 신광출판사, 2001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