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건국실천원양성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건국실천원양성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건국실천원양성소(建國けんこく實踐じっせんいん養成ようせいしょ)는 백범 김구가 국가재건의 인재양성을 위해 1947년 3월 20일 설립한 단체이다. 설립 당시의 명예소장은 이승만, 소장은 김구, 이사장은 장형이었다. 당시 본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의 원효사였으며, 김구 암살 후인 1949년 8월 23일 건국실천원양성소는 해체되었고 1949년 9월 홍익대학교가 원효사를 인수하였다.[1]

활동

[편집]
건국실천원양성소 1기 수업식 기념사진
서울 용산구 원효로 원효사(1947년 3월 9일)

독립운동 과정 중 복국의 단계에서 광복군(ひかりふくぐん)이 필요했던 것처럼, 건국의 단계에서는 건국의 동량이 필요했고, 이 필요에 의하여 1947년 3월 양성소가 설립되었다.

명예소장에 이승만, 소장에 김구, 이사장에는 장형으로 출발한 이 양성소는 전국 각지의 우수한 애국청년들을 선발하여 건국운동의 중견 일꾼으로 양성하고자 교육을 시켰다. 이러한 인재 양성의 발상은 청년들이 국가를 건설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김구 개인의 신념에서 나왔다.

당시 교육계에 투신하고 있었던 장형김구과 각별한 관계로 김구의 통일정부수립 노선을 지지하고 있었던 차에 김구가 건국실천원양성소를 설립하자 이사장으로 재정적 지원을 하며, 소장 김구와 함께 운영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양성소의 매기 교육 인원은 100명 내외였다. 교육기간은 제1기가 2개월이었고, 제2기부터 마지막 교육을 받은 제9기까지는 1개월이었다. 교육내용은 독립운동사·정치·경제·법률·헌법·역사·선전·민족문화·국민운동·철학·약소민족문제·농촌문제·협동조합·사회학·공산주의 비판·여성문제 등과 특별강의였다.

강사는 조소앙(ちょう昻)·조완구(ちょう琬九)·신익희(さるつばさ熙)·지청천(いけ靑天せいてん)·나재하(ざいなつ)·김성주(金成かねなりばしら)·김경수(きむたかし洙)·최호진(ちぇとら鎭)·김정실(きむ正實まさみ)·양주동(りょうはしらひがし)·민영규(閔泳珪)·엄상섭(いむしょう燮)·엄항섭(いむひさし燮)·김학규(きむまなぶ奎)·설의식(薛義うえ)·김기석(金基錫きむきしゃく)·이상조(しょうじょ)·주석균(しゅせきひとし)·홍병선(ひろし秉璇)·김하선(きむ昰善)·김석길(きむすずきち안재홍(安在あんざいひろし정인보(ていとらひろし)·황기성(もとなり)·이인(ひとし)·김활란(きむかつらん)·김법린(かねほう麟)·박순천(ぼくじゅんてん이은상(いんしょう) 등 각계의 인사들이었다.

한편 1946년신익희는 미소공동위원회에 참가할 것을 한국독립당 중앙당에 건의하기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46년 6월 23일, 신익희한국독립당 서울시 지구당 위원장 직을 사퇴하고 탈당하였다. 1947년 7월 이후에는 임시정부 측과 노선을 달리하였으며, 임시정부를 이탈, 이승만을 총재로 하는 독립촉성국민회로 갔다. 그리고 1947년 7월 신익희는 독립촉성국민회 부총재가 되었다.

즉, 신익희임시정부한국독립당을 떠나 이승만측과 연합하자, 이를 임시정부김구에 대한 '배신'이라 여겼던 장형신익희와는 더 이상 임시정부의 정신을 함께 이을 수 있는 동지가 아니라고 생각하였다.[2]

구성 및 해체

[편집]

건국실천원양성소는 1947년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었던 김구(きむきゅう)가 귀국한 뒤 국가 건설에 따른 인재의 필요성을 느껴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에 있던 원효사를 본부로 설립하였다.

이 단체는 김구의 자주정부 수립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임시정부1940년 9월 충칭(重慶たーちん)에서 제정, 공포한 <대한민국건국강령>을 기초로 하였다.

건국강령은 제1장 총칙, 제2장 복국(ふくこく), 제3장 건국으로 구성되었고, 그 내용은 정치·경제·교육의 균등한 발전을 통하여 복국(ふくこく), 건국(建國けんこく), 치국(治國ちこく), 더 나아가서는 구세(救世きゅうせい)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 삼균주의(さんひとし主義しゅぎ)를 바탕으로 하였다.

당시 장형국민대학의 이사장까지 겸임하고 있었는데, 이사장 직함을 내던지고 신익희와 결별을 선언하였다. 결국 장형임시정부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을 별도로 설립키로 했다. 당시 박기홍(ぼくはじめおおとり, 장훈보통학교(ちょうかおる普通ふつう學校がっこう) 전 이사장)의 미망인였던 조희재 여사가 이에 적극 찬동하고, 80만평의 토지를 기증하였다. 장형은 이를 기반으로 대학설립을 추진, 1947년 11월 1일 정식 설립인가를 받고 단국대학을 설립하였다.

이러던 차에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やす熙)에게 권총으로 살해된 김구암살사건(かねきゅう暗殺あんさつ事件じけん)이 발생하여 김구가 암살된 후, 1949년 8월 23일 건국실천원양성소는 해체되고 건물 원효사는 1949년 9월 홍익대학교에 인수됐다.[3][4][5]

역사성

[편집]

건국실천원양성소는 1946년 12월 8일 대중신문(동아일보)에서 '김구 선생이 진두에 서서 건국실천원양성소를 기성'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발행하였는데 건국실천원양성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었던 김구 선생이 귀국한 이후 국가 건설에 따른 인재의 필요성을 느껴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준비를 착수해 1947년 3월 20일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에 있던 원효사를 본부로 정식으로 설립한 인재양성단체였다.[6][7]

같이 보기

[편집]

출처

[편집]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건국실천원양성소〉항목
  2. 대한독립촉성국민회(독촉국민회)는 1946년 2월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독촉협의회)와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의 통합으로 이뤄진 단체지만 완전한 이승만의 사조직으로 자리 잡게 되는데 '조직의 달인' 신익희가 김구 쪽에서 이승만 쪽으로 줄을 바꾼 것이 큰 작용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에 신익희가 이승만과 결별하며 유림측에 합작을 청했을 때 유림측에서 "자네는 이승만 앞에서 기생첩 노릇을 했던 사람이 아닌가!" 호통을 들은 일이나(1946년 8월 4일 일기) 신익희가 자유신문 사장이 되어 김구를 고문으로 내세운 것을 김구가 정면 반박한 일이(1946년 11월 23일 일기) 모두 이 '변절' 때문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해방일기, 김기협, 너머북스 439p 참조)
  3. たてみのる(건실)」解散かいさん(해산), 1949.08.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建國けんこく實踐じっせんいん(건국실천원) 養成ようせいしょ解散かいさん(양성소해산), 1949.08.25, 동아일보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4. 建國けんこく實踐じっせんいん養成ようせいしょ(건국실천원양성소) ひろえきだい財團ざいだん(홍익대재단)서 經營けいえい(경영), 1949.09.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5. 서울대 법대 학장 지낸 민법학자 진승록 대한변협신문 기사(2015.02.09) 참조
  6. ぶん대통령 "1919년 건국" 발언에...김구·여운형 과거 기사 확산”. 2017년 8월 16일. 2018년 4월 10일에 확인함. 
  7. ““닫혔던 목소리도 암도 ‘백범의 기상’으로 이겨냈지요””. 2017년 6월 22일. 2018년 4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