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실천원양성소
건국실천원양성소(
활동
[편집] 독립운동 과정 중 복국의 단계에서 광복군(
명예소장에 이승만, 소장에 김구, 이사장에는 장형으로 출발한 이 양성소는 전국 각지의 우수한 애국청년들을 선발하여 건국운동의 중견 일꾼으로 양성하고자 교육을 시켰다. 이러한 인재 양성의 발상은 청년들이 국가를 건설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김구 개인의 신념에서 나왔다.
당시 교육계에 투신하고 있었던 장형은 김구과 각별한 관계로 김구의 통일정부수립 노선을 지지하고 있었던 차에 김구가 건국실천원양성소를 설립하자 이사장으로 재정적 지원을 하며, 소장 김구와 함께 운영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양성소의 매기 교육 인원은 100명 내외였다. 교육기간은 제1기가 2개월이었고, 제2기부터 마지막 교육을 받은 제9기까지는 1개월이었다. 교육내용은 독립운동사·정치·경제·법률·헌법·역사·선전·민족문화·국민운동·철학·약소민족문제·농촌문제·협동조합·사회학·공산주의 비판·여성문제 등과 특별강의였다.
강사는 조소앙(
한편 1946년 초 신익희는 미소공동위원회에 참가할 것을 한국독립당 중앙당에 건의하기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46년 6월 23일, 신익희는 한국독립당 서울시 지구당 위원장 직을 사퇴하고 탈당하였다. 1947년 7월 이후에는 임시정부 측과 노선을 달리하였으며, 임시정부를 이탈, 이승만을 총재로 하는 독립촉성국민회로 갔다. 그리고 1947년 7월 신익희는 독립촉성국민회 부총재가 되었다.
즉, 신익희가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떠나 이승만측과 연합하자, 이를 임시정부와 김구에 대한 '배신'이라 여겼던 장형은 신익희와는 더 이상 임시정부의 정신을 함께 이을 수 있는 동지가 아니라고 생각하였다.[2]
구성 및 해체
[편집]건국실천원양성소는 1947년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었던 김구(
이 단체는 김구의 자주정부 수립을 위한 준비의 일환으로, 임시정부가 1940년 9월 충칭(
건국강령은 제1장 총칙, 제2장 복국(
당시 장형은 국민대학의 이사장까지 겸임하고 있었는데, 이사장 직함을 내던지고 신익희와 결별을 선언하였다. 결국 장형은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을 별도로 설립키로 했다. 당시 박기홍(
이러던 차에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
역사성
[편집]건국실천원양성소는 1946년 12월 8일 대중신문(동아일보)에서 '김구 선생이 진두에 서서 건국실천원양성소를 기성'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발행하였는데 건국실천원양성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었던 김구 선생이 귀국한 이후 국가 건설에 따른 인재의 필요성을 느껴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준비를 착수해 1947년 3월 20일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에 있던 원효사를 본부로 정식으로 설립한 인재양성단체였다.[6][7]
같이 보기
[편집]출처
[편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건국실천원양성소〉항목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독촉국민회)는 1946년 2월 8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독촉협의회)와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의 통합으로 이뤄진 단체지만 완전한 이승만의 사조직으로 자리 잡게 되는데 '조직의 달인' 신익희가 김구 쪽에서 이승만 쪽으로 줄을 바꾼 것이 큰 작용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에 신익희가 이승만과 결별하며 유림측에 합작을 청했을 때 유림측에서 "자네는 이승만 앞에서 기생첩 노릇을 했던 사람이 아닌가!" 호통을 들은 일이나(1946년 8월 4일 일기) 신익희가 자유신문 사장이 되어 김구를 고문으로 내세운 것을 김구가 정면 반박한 일이(1946년 11월 23일 일기) 모두 이 '변절' 때문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해방일기, 김기협, 너머북스 439p 참조)
- ↑ 「
建 實 (건실)」解散 (해산), 1949.08.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建國 實踐 員 (건국실천원)養成 所 解散 (양성소해산), 1949.08.25, 동아일보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 ↑
建國 實踐 員 養成 所 (건국실천원양성소)弘 益 大 財團 (홍익대재단)서經營 (경영), 1949.09.25, 경향신문2면 사회 기사(뉴스) 참조 - ↑ 서울대 법대 학장 지낸 민법학자 진승록 대한변협신문 기사(2015.02.09) 참조
- ↑ “
文 대통령 "1919년 건국" 발언에...김구·여운형 과거 기사 확산”. 2017년 8월 16일. 201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닫혔던 목소리도 암도 ‘백범의 기상’으로 이겨냈지요””. 2017년 6월 22일. 2018년 4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