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유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계 유씨
杞溪兪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시조유삼재(兪三おさむ)
중시조유의신(兪義しん)
집성촌함경북도 부령군
경기도 안성시
충청남도 부여군
주요 인물유효통, 유응부, 유홍, 유계, 유척기, 유언호, 유신환, 유길준, 유기환, 유만겸, 유각경, 유진오, 유학성, 유병언, 유홍준, 유한식, 유흥식, 유기준, 유경준, 유승희, 유은혜, 유의동
인구(2015년)139,073명
비고기계유씨 대종회

기계 유씨(杞溪兪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편집]

기계 유씨(杞溪 兪氏)의 시조 유삼재(兪三おさむ)는 신라의 아찬(おもね飡)을 역임하였다고 한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미현리에 시조의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후손 유의신(兪義しん)이 신라가 멸망 후 고려 왕조에 불복하자 고려 태조(ふとし) 왕건에 의해 기계현(杞溪けん) 호장(戶長こちょう)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역사[편집]

고려시대에는 은둔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0명, 상신 3명, 판서 12명을 배출하였다.

유응부(兪應まこと)가 무과에 급제하여 동지중추원사(どう中樞ちゅうすういんごと)로 있을 때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가 처형된 후 사육신(ろくしん)으로 추앙받았다.

유의신의 10세손 유효통(兪孝どおり)은 세종 때 대사성을 거쳐 집현전직제학을 역임하였고, 『향약집성방(鄕藥集成しゅうせいかた)』을 저술하였다.

유의신의 12세손 유여림(兪汝霖)은 중종 때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유여림의 아들 유강(兪絳)은 호조판서에 이르렀다.

유여림의 손자 유홍(兪泓)은 정여립의 난을 평정하여 평난공신(たいらなん功臣こうしん)으로 기성부원군(杞城府じょうふいんくん)에 봉해졌고, 1594년(선조 27년) 좌의정에 올랐다. 유홍의 손자 유백증(兪伯曾)은 인조반정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やすししゃ功臣こうしん)으로 기평군(杞平くん)에 봉해졌고, 증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유강(兪絳)의 증손자 유성증(兪省曾)은 예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유성증의 증손자 유척기(兪拓もと)는 영조 때 노론(ろうろん)의 원로로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유척기의 사촌형 유최기(兪最もと)는 우참찬을 역임했다. 유척기의 조카 유언호(兪彦鎬)는 1795년(정조 19년) 좌의정에 이르렀고, 정조묘(せい祖廟そびょう)에 배향되었다.[1]

개화기 선구자 유길준(兪吉濬)은 김홍집(きむひろししゅう) 내각의 내부대신을 지냈다.

본관[편집]

기계(杞溪)는 경상북도 포항시(浦項ほこう) 기계면 일대의 지명이다. 신라의 의창군(義昌よしまさぐん)의 모혜현(芼兮けん)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기계현(杞溪けん)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경주부(慶州けいしゅう) 기계현(杞溪けん)이 되었다. 1415년(조선 태종 15년) 경주군(慶州けいしゅうぐん) 기계현이 되었다. 1906년 흥해군(おきかいぐん)에 편입되었고, 1914년 영일군으로 통합되었다. 1995년 경상북도 포항시에 통합되면서 북구 기계면이 되었다.

분파[편집]

유의신(兪義しん) 계통은 증손인 유여해(兪汝諧)[2]로부터 13파로 갈라졌고, 유승추(兪承くるる) 계통의 월성군파(つきじょうくん), 유진적(兪晋すすむ) 계통의 장사랑공파(はたつかまつろうおおやけ) 등 16개 파가 세계를 잇는다.

  • 동정공파(どうせいおおやけ) - 유형무
  • 전서공파(てんしょおおやけ) - 유천경
  • 군기사사공파(ぐんてらごとおおやけ) - 유성리(兪成)
  • 부정공파(ふくせいおおやけ) - 유성보
  • 통덕랑공파(つう德郞よしおおおやけ) - 유숙
  • 신계공파(あたらしけいおおやけ) - 유순
  • 단성공파(じょうおおやけ) - 유호
  • 충목공파(ただしきよしおおやけ) - 유홍
  • 진사공파(進士しんしこう) - 유함
  • 자산공파(慈山おおやけ) - 유영
  • 학생공파(學生がくせいおおやけ) - 유준
  • 부제학공파(ふくつつみこう) - 유진
  • 주부공파(おも簿おおやけ) - 유득주
  • 월성군파(つきじょうくん) - 유승추
  • 장사랑공파(將士しょうしろうおおやけ) - 유진적
  • 석청공파(いしきよしおおやけ) - 유여매

항렬자[편집]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치(致)くち 진(鎭)くち くち준(濬) くち겸(けん)
くち목(きよし)
くち근()
くち식(うえ)
병(炳)くち
(火)변 외자
くち재()
くち재(ざい)
재(ざい)くち
くち선(ぜん)
くち조(あさ)
くち호(鎬)
くち연(ふち)
くち수(洙)
くち모(かたぎ)
くち표(しゃく)
くち섭(燮)
くち찬(燦)
くち균(ひとし)
くち배(つちかえ)
くち종(かね)
くち현(鉉)
원(みなもと)くち
태(やすし)くち
くち동(ひがし)
くち영(さかえ)
형(炯)くち
현(炫)くち
くち규(けい)
くち곤(ひつじさる)
석(すず)くち
용(鏞)くち
홍(ひろし)くち
순(あつし)くち
상(そう)くち
송(まつ)くち

인물[편집]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편집]

집성촌[편집]

인구[편집]

  • 2000년 113,430명
  • 2015년 139,073명

각주[편집]

  1.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73> 기계유씨(杞溪兪氏)”. 세계일보. 2014년 5월 6일. 
  2. 기계 유씨 중 고려사에 최초로 기록된 인물로서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최항(ちぇ沆)을 기롱한 시를 지었다 하여 해도(海島うみしま)로 유배되었다.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