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김삼근 (조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김삼근 (조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삼근(かねさんきん, 1390년 ~ 1465년)은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호는 사은(しゃかくれ)이며 본관은 (신)안동이다.

그의 현조(げん)는 승사랑(ますつかまつろう) 위위주부(まもるじょうぬし簿) 동정(どうせい) 김희(きむ熙)이고, 고조(高祖こうそ)는 도첨의사(議事ぎじ) 김자(きむ)이며, 증조(曾祖そうそ)는 정의대부 판예빈시사(はんれいまろうどてらごと) 김근중(きむきんじゅう), 조부는 중현대부 전농정(てんのうせい) 김득우(きむとく)이다. 아버지는 예조정랑 봉예랑 김혁(きむかわ)과 어머니 안동권씨(安東あんどうけん,감찰규정 권희정의 딸)사이 3남(さんきん さんえき 三友さんゆう)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생애[편집]

김삼근은 1419년(세종1년) 사마시(司馬しばためし)에 합격함으로서 (しん)안동김씨 초유의 생원(なまいん) 합격자가 되었다. 그리고 비록 고관은 아니지만 조지소 별좌(みやつこしょ べつすわ), 함열현감(咸悅けんかん), 봉화현감(たてまつけんかん), 비안현감(やすけんかん) 등의 관직을 역임하여 しん안동김씨 가문 내에서는 비안공(やすおおやけ)으로 불리고 있다.

슬하(膝下ひざもと)에 2남3녀를 두었는데, 1남은 한성부 판관(かん城府じょうふ 判官ほうがん) 김계권(かねがかりけん)이고, 2남은 도승지(うけたまわむね) 대사헌(だいつかさけん) 증이조판서(おく吏曹ばんしょ) 양관(りょうかん) 대제학(だいひさげがく) 김계행(かねがかりぎょう)이다. 1녀는 어모장군(禦侮將軍しょうぐん) 신시생(さるはじめせい)으로 아주인(鵝州じん)이고, 2녀는 손득노(まごとく魯)이며, 3녀는 반여생(はんりょせい)이다. 1465년(세조11년) 8월 사망하였다. 배위(はい)는 의인(むべひと) 상락김씨(上洛じょうらくきん=구안동김씨)로 생년(生年せいねん)은 미상(しょう)이며, 1488년(성종19년) 12월에 사망하였다. 아버지는 삭령감무(さくやすしかんつとむ) 김전(きむ腆)이다.

묘소(墓所はかしょ)는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직산동 간좌(うしとらすわ)에 있고, 묘표(墓表ぼひょう)는 후손(こうまご) 공조참판(こう曹參ばん) 곡운 김수증(きむひさしぞう)이 찬(せん)하고 병서(なみしょ)하였다. 배위(はい) 묘소(墓所はかしょ)는 부군조전(くんちょうまえ) 일장지(いちたけ)에 있고, 묘표(墓表ぼひょう)는 후손(こうまご) 이조판서(吏曹ばんしょ) 김이양(きむくつ)이 찬(せん)하였다.

가문의 성장과정[편집]

김삼근이 안동부 풍산현 불정촌(풍산읍 하리리)에서 풍산현 소산리(금산촌)로 이주한 시기는 대략 1430년(세종12년) 전후로 짐작된다. 이주와 동시에 제택(だいたく:살림집과 정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건립하여 정착의 토대를 다지는 한편 자질(자식과조카)들의 교육에도 각별한 정성을 보였다. 이런기반 위에서 (신)안동김씨는 무려 550년 만에 비로소 문과 합격자를 배출하게 된다. 김삼근에게는 김계권(かねがかりけん) 김계행(かねがかりぎょう) 두 아들이 있었는데, 바로 차남 김계행(かねがかりぎょう,1431~1517)이 1447년(세종29년) 17살로 진사시(進士しんしためし)에 급제하고 1480년(성종11년) 50세의 고령으로 문과(文科ぶんか)에 급제한 것이다. 김계행은 성균관 대사성, 사간원 대사간, 도승지, 사헌부 대사헌까지 올랐으며 청백(淸白すずしろ)을 <傳家でんか至寶しほう>로 삼아 향리에서는 보백선생(たからしろ先生せんせい)으로 칭송되었다. 말년에는 안동부(安東あんどう) 길안(吉安きちやす) 묵계(ぼくけい)로 이주(첫째부인 이천서씨를 23세에 사별한후 24세때 의령남씨 사헌부장령 남상치의 차녀와 재혼하였다. 쌍청공 남상치는 1453년 계유정난으로 단종이 폐위되자 길안 묵계로 낙향하여 쌍청헌을 짓고 은일의 삶을 살았다. 장인의 묵계 쌍청헌 정자를 보백당이 71세때 중수하고 '늦께 얻은 휴식' 만휴정이라 불렀다. 쌍청이란 '맑은것 두가지' 즉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의미한다)하였는데, 후학들이 그의 학덕을 추모하여 이 곳에 묵계서원(ぼくけい書院しょいん)을 건립하였다. 그의 가계는 안동김씨 중에서도 보백당파(たからはくどう또는 ていけんじおおやけ)로 불리고 있으며, 후손 중 현달(あらわたち)한 인물로는 월천(つきがわ) 조목(ちょうきよし)의 고제(高弟こうてい:학식과품행이 뛰어난 제자)로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지낸 구전 김중청(きむちゅうしん,1567~1629:김계행의5대손)을 들 수 있다.

김계행의 문과(대과)급제는 신안동김씨로서는 실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아버지 김삼근이 득성 이래 최초의 사마시(司馬しばためし) 합격자였다면, 그는 최초의 문과(文科ぶんか)합격자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안동김씨는 김계행을 통해 과거의 문턱을 넘음으로서 향반(鄕班)에서 점차 도반(みちはん) 국반(くにはん)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러나 김계행은 어디까지나 장동김씨(김삼근-김계권 계행-김영수-영 김번 순-김생해-대효 원효 김극효-상용 상준 상관 김상헌 상복-김광찬-수증 수흥 김수항-김창집 창협 창흡-김제겸-김달행-김이중-김조순-김좌근-병기)의 직계조상은 아니었다. 장동김씨(たけしほらきん)의 선대가 과거를 통해 출사하기까지는 이로부터 2대(김영 김번형제의 문과급제)를 더 기다려야 했다. 청음(김상헌)의 5대조 김계권(1410~1458)은 과거 출신이 아닌 관계로 벼슬이 한성부판관(종5품)에 그쳤지만 그는 예천권씨(醴泉けん) 권맹손(けんはじめまご)의 사위가 됨으로써 자식들에게 출세의 길을 마련해 줄 수 있었다. 권맹손(けんはじめまご,1390~1456)은 1408년(태종8년) 문과에 급제하고, 1429년(세종11년)에는 문과중시(文科ぶんかじゅうためし:승진시험)에도 급제한 수재였다. 특히 그는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으로서 세종조의 문병(ぶんがら:がくぶん文治ぶんじ상의권리)을 좌우 하였으며, 태재(たいとき) 유방선(やなぎかたぜん,1388~1443)과 같은 문사와의 교유도 깊었다.

가족관계[편집]

  • 조부:전농정 김득우(きむとく) - 서운정 유개(やなぎひらく, 유성룡의7대조부)의 사위이며, 창평현령 유난옥(やなぎらんだま, 유성룡의8대조부)의 손녀사위
  • 부: 예조정랑 봉례랑 김혁(きむかわ) - 감찰규정 권희정(けんまれせい)의 사위로 우의정 권진(けん軫)과 처남매부간
  • 첫째아들:한성부판관 김계권(かねがかりけん) - 이조판서 예문관대제학 제평공 권맹손의 사위
  • 둘째아들:도승지 사헌부대사헌 증이조판서 대제학 보백당 김계행(かねがかりぎょう)
    • (맏손자)세조~연산군 국사(國師こくし) 등곡,황악산인 학조(がく) 김영형(きむひさし衡)
    • (둘째손자)사헌부감찰 합천군수 김영전(きむひさし銓)
    • (세째손자)진사 봉사 김영균(きむえいひとし)
    • (네째손자)합천군수 수원부사 김영추(きむひさしおもり)
    • (다섯째손자)영천군수 사헌부장령 김영수(きむひさし銖)
    • (손자) 영릉참봉 김극인(きむ克仁かつひと)
    • (손자) 진사 김극의(きむ克義かつよし)
    • (손자) 생원 김극례(きむ克禮よしのり)
    • (손자) 1490년 21세때요절 김극지(きむかつさとし)
    • (손자) 무과 문천군수 김극신(きむ克信かつのぶ)
      • 증손자:동부승지 강원도관찰사 삼당 김영(きむあきら)
      • 증손자:시강원문학 평양서윤 증이판 김번(きむ璠) - 남양홍씨(한성부윤 홍심(ひろしふかし)의 증손녀와 혼인) 판관 홍걸(ひろしすぐる)의 사위
      • 증손자:찰방 형조좌랑 수군절도사 김순(きむ珣)
        • 현손:신천군수 증좌찬성 김생해(金生きんせいかい) - 성종의 아들 경명군 이침의 사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