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 장론
끈 장론(영어: string field theory)이란 끈 이론에서 끈을 양자장론의 도구로 다루는 이론이다. 대개 끈 이론은 일차양자화를 거쳐, 어떤 주어진 산란행렬의 원소를 계산하려면 필요한 세계면을 가정하고 그 위에 등각장론을 이용하여 산란진폭을 계산한다. 그 반면 끈 장론은 이를 이차양자화하여 세계면 자체를 일종의 장으로 다룬다.
열린 보손 끈 장론
[편집]끈을 BRST 양자화를 하면 유령수에 따라 차수 붙은 벡터 공간(graded vector space) 를 얻는다. 여기에는 자연스럽게 BRST 연산자
가 존재한다. 일차양자화 끈 이론에서는
와 같은 BRST 코호몰로지 구속을 가한다. 끈 장론에서는 대신 을 게이지 대칭으로, 을 운동방정식으로 본다. 은 유령수가 1인 상태다. (유령수가 1이 아닌 경우 작용은 0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이지 불변 운동항을 쓸 수 있다.
이는 앙드레 느뵈(프랑스어: André Neveu), 헤르만 니콜라이(독일어: Hermann Nicolai), 피터 웨스트(영어: Peter C. West)가 1986년에 밝혔다.[1]
여기에 상호작용하는 끈을 다루려면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항을 추가하여야 한다.
- ,
는 임의의 결합상수로, 장을 재정의하여 로 놓을 수 있다. 은 세겹선형식으로, 총 유령수가 3인 세 끈 장을 받아 하나의 수로 바꾸는 함수다. 이는 에드워드 위튼이 1986년에 도입하였다.[2]
다음과 같이 와 기호를 정의하자.
- ,
그렇다면 작용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이 기호들은 다음과 같이 공리화할 수 있다.
- 무제곱성
- (는 의 유령수)
- 차수가 붙은 교환법칙
- 결합법칙
이 공리로부터, 작용이 게이지 변환 에 대하여 불변임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운동방정식을 얻는다.
- .
즉 이면 기존의 끈 이론에서의 코호몰로지 조건인
을 얻는다.
이는 준위절단(level truncation)[3]을 통하여 수치적으로 풀 수도 있고,[4][5] 해석적으로 풀 수도 있다.[6]
이를 양자화하려면 바탈린-빌코비스키 양자화를 써서 무한한 수의 유령을 도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수의 열린 끈의 산란진폭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일차양자화) 끈 이론으로 계산한 값과 같다.[7][8]
닫힌 끈과 초끈 장론
[편집]닫힌 끈의 장론은 바르톤 츠비바흐(스페인어: Barton Zwiebach Cantor)가 도입하였다.[9][10]
초끈의 장론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11][1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André Neveu, Hermann Nicolai, Peter C. West (1986년 2월). “New Symmetries And Ghost Structure Of Covariant String Theories”. 《Physics Letters B》 167 (3): 307–314. doi:10.1016/0370-2693(86)90351-5.
- ↑ Witten, Edward (1986년 5월). “Non-commutative Geometry and String Field Theory”. 《Nuclear Physics B》 268 (2): 253–294. doi:10.1016/0550-3213(86)90155-0.
- ↑ Kostelecky, V.; S. Samuel (1989). “Spontaneous breaking of Lorentz symmetry in string theory”. 《Physical Review D》 (영어) 39: 683.
- ↑ Zwiebach, B. (2001). “Is the string field big enough?”. 《Fortsch. Phys.》 (영어) 49: 387.
- ↑ W. Taylor and B. Zwiebach, "D-branes, tachyons, and string field theory." Boulder 2001, Strings, branes and extra dimensions 641.
- ↑ Schnabl, M. (2006). “Analytic solution for tachyon condensation in open string field theory”. 《Advances in 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0: 433. arXiv:hep-th/0511286. Bibcode:2005hep.th...11286S.
- ↑ Giddings, S.; E. Martinec, E. Witten (1986). “Modular Invariance in String Field Theory”. 《Physics Letters B》 (영어) 176: 362.
- ↑ Zwiebach, B. (1991). “A Proof that Witten's open string theory gives a single cover of moduli space”.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42: 193.
- ↑ Zwiebach, B. (1993). “Closed string field theory: Quantum action and the B-V master equation”. 《Nuclear Physics B》 (영어) 390: 33. arXiv:hep-th/9206084.
- ↑ Zwiebach, Barton (1998년 8월). “Oriented open-closed string theory revisited”. 《Annals of Physics》 (영어) 267 (2): 193–248. arXiv:hep-th/9705241. doi:10.1006/aphy.1998.5803.
- ↑ Berkovits, N. (2001). “Review of open superstring field theory”. arXiv:hep-th/0105230.
- ↑ Berkovits, N.; Y. Okawa, B. Zwiebach (2004). “WZW-like action for heterotic string field theory”. 《Journal of High-Energy Physics》 2004 (11): 38. arXiv:hep-th/0409018. doi:10.1088/1126-6708/2004/11/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