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끈 장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끈 장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끈 장론(영어: string field theory)이란 끈 이론에서 양자장론의 도구로 다루는 이론이다. 대개 끈 이론은 일차양자화를 거쳐, 어떤 주어진 산란행렬의 원소를 계산하려면 필요한 세계면을 가정하고 그 위에 등각장론을 이용하여 산란진폭을 계산한다. 그 반면 끈 장론은 이를 이차양자화하여 세계면 자체를 일종의 장으로 다룬다.

열린 보손 끈 장론

[편집]

끈을 BRST 양자화를 하면 유령수에 따라 차수 붙은 벡터 공간(graded vector space) 를 얻는다. 여기에는 자연스럽게 BRST 연산자

가 존재한다. 일차양자화 끈 이론에서는

와 같은 BRST 코호몰로지 구속을 가한다. 끈 장론에서는 대신 게이지 대칭으로, 운동방정식으로 본다. 은 유령수가 1인 상태다. (유령수가 1이 아닌 경우 작용은 0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이지 불변 운동항을 쓸 수 있다.

이는 앙드레 느뵈(프랑스어: André Neveu), 헤르만 니콜라이(독일어: Hermann Nicolai), 피터 웨스트(영어: Peter C. West)가 1986년에 밝혔다.[1]

여기에 상호작용하는 끈을 다루려면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항을 추가하여야 한다.

,

는 임의의 결합상수로, 장을 재정의하여 로 놓을 수 있다. 은 세겹선형식으로, 총 유령수가 3인 세 끈 장을 받아 하나의 수로 바꾸는 함수다. 이는 에드워드 위튼이 1986년에 도입하였다.[2]

다음과 같이 기호를 정의하자.

,

그렇다면 작용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이 기호들은 다음과 같이 공리화할 수 있다.

  • 무제곱성
(의 유령수)
  • 차수가 붙은 교환법칙
  • 결합법칙

이 공리로부터, 작용이 게이지 변환 에 대하여 불변임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운동방정식을 얻는다.

.

이면 기존의 끈 이론에서의 코호몰로지 조건인

을 얻는다.

이는 준위절단(level truncation)[3]을 통하여 수치적으로 풀 수도 있고,[4][5] 해석적으로 풀 수도 있다.[6]

이를 양자화하려면 바탈린-빌코비스키 양자화를 써서 무한한 수의 유령을 도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수의 열린 끈의 산란진폭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일차양자화) 끈 이론으로 계산한 값과 같다.[7][8]

닫힌 끈과 초끈 장론

[편집]

닫힌 끈의 장론은 바르톤 츠비바흐(스페인어: Barton Zwiebach Cantor)가 도입하였다.[9][10]

초끈의 장론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11][1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ndré Neveu, Hermann Nicolai, Peter C. West (1986년 2월). “New Symmetries And Ghost Structure Of Covariant String Theories”. 《Physics Letters B》 167 (3): 307–314. doi:10.1016/0370-2693(86)90351-5. 
  2. Witten, Edward (1986년 5월). “Non-commutative Geometry and String Field Theory”. 《Nuclear Physics B》 268 (2): 253–294. doi:10.1016/0550-3213(86)90155-0. 
  3. Kostelecky, V.; S. Samuel (1989). “Spontaneous breaking of Lorentz symmetry in string theory”. 《Physical Review D》 (영어) 39: 683. 
  4. Zwiebach, B. (2001). “Is the string field big enough?”. 《Fortsch. Phys.》 (영어) 49: 387. 
  5. W. Taylor and B. Zwiebach, "D-branes, tachyons, and string field theory." Boulder 2001, Strings, branes and extra dimensions 641.
  6. Schnabl, M. (2006). “Analytic solution for tachyon condensation in open string field theory”. 《Advances in 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0: 433. arXiv:hep-th/0511286. Bibcode:2005hep.th...11286S. 
  7. Giddings, S.; E. Martinec, E. Witten (1986). “Modular Invariance in String Field Theory”. 《Physics Letters B》 (영어) 176: 362. 
  8. Zwiebach, B. (1991). “A Proof that Witten's open string theory gives a single cover of moduli space”.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42: 193. 
  9. Zwiebach, B. (1993). “Closed string field theory: Quantum action and the B-V master equation”. 《Nuclear Physics B》 (영어) 390: 33. arXiv:hep-th/9206084. 
  10. Zwiebach, Barton (1998년 8월). “Oriented open-closed string theory revisited”. 《Annals of Physics》 (영어) 267 (2): 193–248. arXiv:hep-th/9705241. doi:10.1006/aphy.1998.5803. 
  11. Berkovits, N. (2001). “Review of open superstring field theory”. arXiv:hep-th/0105230. 
  12. Berkovits, N.; Y. Okawa, B. Zwiebach (2004). “WZW-like action for heterotic string field theory”. 《Journal of High-Energy Physics》 2004 (11): 38. arXiv:hep-th/0409018. doi:10.1088/1126-6708/2004/11/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