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다케우치노 스쿠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다케우치노 스쿠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con for infobox
다케우치노 스쿠네
武内たけうち宿禰すくね
(建内けんない宿禰すくね)
다케우치노 스쿠네 (기쿠치 요사이『젠켄코지츠』, 메이지 시대)
다케우치노 스쿠네 (기쿠치 요사이젠켄코지츠』, 메이지 시대)
공가 정보
시대 상고
출생 게이코 천황 14년[ちゅう 1]
사망 불명
관위 동량노신, 대신
주군 게이코 천황세이무 천황주아이 천황오진 천황닌토쿠 천황
부모 부친: 야누시오시오타케오고코로노 미코토 또는 히코후쓰오시노 마코토노 미코토
모친: 카게히메(야마시타 카게히메)
형제자매 다케우치노 스쿠네, 우마이우치노 스쿠네
자녀 羽田はた矢代やしろもとぜい小柄こがら蘇我そが石川いしかわ平群へぐり木菟みみずくかく久米くめのうがたなうりいかのうりょうり葛城かつらぎかさね彦、若子わかこ宿禰すくね
묘소 불명


다케우치노 스쿠네(일본어: 武内たけうち宿禰すくね たけしうちのすくね[*][1][2]/たけうちのすくね 타케우치노 스쿠네[*][3][ちゅう 2]/たけのうちのすくね 타케노우치노 스쿠네[*], 게이코 천황 14년[ちゅう 1] ~ 몰년 미상)는 기기에 전해지는 고대 일본의 인물이다.

일본서기』는「武内たけうち宿禰すくね」,『고사기』는「建内けんない宿禰すくね」, 다른 문헌에서는「다케우치노 아시니」(建内けんないあしあま) 라고도 표기된다.「스쿠네」는 존칭으로, 명칭은「용맹한, 내정의 스쿠네」의 뜻으로 여겨진다[4].

게이코세이무주아이오진닌토쿠의 5대(제12대에서 제16대)의 각 천황을 섬겼다는 전설상의 충신이다[2]. 기씨고세씨헤구리씨가쓰라기씨소가씨 등 중앙유력 호족의 시조라고도 한다.

각주[편집]

출처주[편집]

  1. 武内たけうち宿禰すくね国史こくし.
  2. 武内たけうち宿禰すくね古代こだい氏族しぞく) & 2010ねん.
  3. 新編しんぺん日本にっぽん古典こてん文学ぶんがく全集ぜんしゅう』の「古事記こじき」および「日本書紀にほんしょき」。
  4. 新編しんぺん日本にっぽん古典こてん文学ぶんがく全集ぜんしゅう 2 日本書紀にほんしょき (1)』小学館しょうがくかん、2002ねん(ジャパンナレッジばん)、p. 343。

내용주[편집]

  1. 生年せいねんけいぎょう天皇てんのう14ねんは、『日本書紀にほんしょきなりつとむ天皇てんのう3ねん正月しょうがつおのれ(7にちじょうなりつとむ天皇てんのう同日どうじつまれと記載きさいされることによる。
  2. みにかんしては、「タケシ(たけしし)」はク活用かつようであるため、「タケウチ」としかめないとする指摘してきがある。なお、おとうと甘美かんびない宿禰すくね(うましうちのすくね)の「ウマシ」はク活用かつよう・シク活用かつよう両用りょうようがあるため、「ウマシウチ」とみうる (『新編しんぺん日本にっぽん古典こてん文学ぶんがく全集ぜんしゅう 1 古事記こじき小学館しょうがくかん、2004ねん(ジャパンナレッジばん)、p. 173)。

참고 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