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대구부 (191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대구부 (191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면 (대구)에서 넘어옴)

대구군(大邱たいきゅうぐん, 1895년 - 1910년) 및 대구부(大邱たいきゅう, 1910년 - 1914년)는 조선시대일제강점기대구부(大邱たいきゅう, 1895년 - 1896년) 및 경상북도(けい北道ほくどう, 1896년 - )의 하부 행정구역이다. 일제는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조선의 지방제도의 대대적인 개편을 취한다. 는 조선시대의 대구부(大邱たいきゅう) 개념을 상속하는 개념으로 구획되었다. 대구부는 도시 지역의 대구면이 대구부로 승격하였고, 대구면을 제외한 면과 현풍군을 통합하여 농촌 지역의 달성군을 설치하여 개편되었다.

하부 행정구역[편집]

면(めん) 동(ほら)·리(さと) 1914년 개편
서상면(西上にしがみ) 전동(まえ), 후동(), 남일동(みなみいち), 신동(しん), 달성동(いたるじょう), 쇄환동(すりかえ), 서내동(西にし內), 북내동(きた內), 동산동(東山ひがしやま), 계산동(桂山かつらやま), 남산동(南山なんざん), 남하동(南下なんか), 남중동(南中なんちゅう), 남외동(南外なんがい) 대구부(大邱たいきゅう)[1]
동상면(東上とうじょう) 전동(まえ), 후동(), 남일동(みなみいち), 신동(しん), 사일동(いち), 사이동(), 남성리(南城なんじょう), 칠성리(七星ななえ), 신전리(たきぎ), 용덕리(りゅういさお), 신상동(しんうえ), 신천동(新川しんかわ), 신하동(しんした), 가암동(がん)
동중면(東中ひがしなか) 침산동(きぬたさん), 옥산동(玉山たまやま), 산격동(やまかく), 신기동(しんもと), 검단동(けん), 복현동(ふくけん) 성북면(城北しろきた)
동하면(東下ひがししも) 동변동(ひがし), 서변동(西にし), 이곡동(たに), 연경동(けんけい), 도덕동(道德どうとく)
해서촌면(かい西村にしむら) 상리동(上里うえさと), 덕산동(德山とくやま), 송정동(まつてい), 도성동(道成みちなり), 택리동(たくさと), 대거동(だいみぞ), 중리동(中里なかさと), 신천동(新川しんかわ), 용진동(りゅう), 지묘동(さとしみょう), 지산동(芝山しばやま), 연경동(けんけい) 공산면(おおやけさん)
해북촌면(かい北村きたむら) 내동(內), 옥정동(玉井たまい), 미대동(よしぬた), 구암동(きゅういわ), 국곡동(きょくだに), 신기동(しんもと), 무산동(武山たけやま), 백안동(ひゃくやす), 수대동(みずだい), 상충동(うえただし), 용천동(龍泉りゅうせん), 미곡동(米谷こめたに), 임전동(荏田えだ), 목과동(はて), 내학동(內鶴), 외학동(そとづる), 도장동(みちぞう), 진정동(ちん), 당동(とう), 인산동(仁山にやま), 능성동(のうじょう), 양방동(かた), 평리동(つぼさと), 북광동(きたひろ), 남광동(みなみひろ)
해서부면(かい西部せいぶ) 지저동(えだそこ), 도동(みち), 상향동(うえ), 하향동(した), 입석동(立石たていし), 도신동(道新どうしん), 불로동(不老ふろう), 현상동(けんじょう), 구성동(きゅうなり), 봉무동(おおとりまい), 단산동(さん), 독암동(どくがん), 외남동(そとみなみ) 해안면(かいがお)
해동촌면(かい東村あずまむら) 검사동(けんすな), 연천동(連川つれかわ), 둔산동(たむろさん), 대암동(たいがん), 칠동(柒), 상동(うえ), 방촌동(芳村よしむら), 격양동(かく), 부동(がま), 구명동(きゅうあかり), 월천동(つきがわ), 평리동(つぼさと), 신덕동(しんとく)
하수서면(したもり西にし) 금암동(きんがん), 대명동(大明だいめい), 덕산동(德山とくやま), 봉산동(おおとりさん) 수성면(ことぶきじょう)
수동면(まもりひがし) 두산동(斗山とさん), 지산동(池山いけやま), 범물동(凡勿)
수북면(まもりきた) 황청동(あお), 소지천동(しょうただがわ), 범어동(泛魚), 효목동(こうあつし), 검정동(けんなぎさ), 만촌동(晩村ばんそん), 각계동(さとしかい)
수현내면(まもりけん內) 상동(うえ), 중동(なか), 하동(した), 신동(しん)
상수서면(うえもり西にし) 파남동(ともえみなみ), 파북동(ともえきた), 용계동(龍溪りゅうけい), 음오동(かげ梧), 양오동(梧), 매계동(梅溪ばいけい), 대암동(大岩おおいわ), 정대동(ちんぬた) 가창면(よしみあきら)
하수남면(したもりみなみ) 흥덕동(きょうとく), 퇴계동(退すさけい), 신전동(たきぎ), 행정동(あんずてい), 창산동(あきらさん), 박곡동(朴谷ほうのきだに), 상원동(上院じょういん), 전평동(ぜにつぼ), 단산동(さん), 대일동(だいいっ), 상촌동(上村うえむら), 중촌동(中村なかむら), 대천동(大川おおかわ), 냉천동(冷泉れいせん)
상수남면(うえもりみなみ) 상백동(上白じょうはく), 하백동(しもしろ), 우록동(とも鹿しか), 녹문동(鹿しかもん), 금동(金)きん, 옥분동(たまぼん), 단양동(丹陽たんよう), 중주동(ちゅう蛛), 하주동(しも蛛), 내주동(內蛛)
서중면(西中にしちゅう) 원대동(いんぬた), 용천동(龍泉りゅうせん), 조야동(じょ也), 평리동(つぼさと), 내비동(內飛), 외비동(そと), 노곡동(魯谷), 전암동(でんいわ) 달서면(いたる西にし)
달서면(いたる西にし) 감삼동(あまさん), 성당동(聖堂せいどう), 내당동(內唐), 외당동(そととう), 상리동(上里うえさと), 괘이동(かけみみ), 중리동(中里なかさと), 신기동(しんもと), 이현동(なし峴)
하동면(河東かわとう) 이천동(伊川いがわ), 달천동(いたるがわ), 박곡동(朴谷ほうのきだに), 방천동(ぼうがわ), 서재동(すきとき), 내촌동(內村), 세천동(がわ) 다사면(斯)
하남면(河南かなん) 문산동(汶山), 문양동(汶陽), 서부곡동(西部せいぶだに), 부곡동(釜谷かまや), 매곡동(梅谷うめたに), 죽곡동(竹谷たけたに), 강정동(こうちん)
하서면(河西かさい) 감문동(あまぶん), 동곡동(桐谷きりたに), 우목동(ともあつし), 봉촌동(おおとりむら), 묘동(竗), 하산동(かすみさん), 적산동(赤山あかやま), 성곡동(しろだに) 하빈면(かわはま)
하북면(河北かわきた) 현내동(けん內), 금천동(きんがわ), 기곡동(もとだに), 성당동(聖堂せいどう), 무등동(たけひとし), 겸동(かまほら), 대평동(大坪おおつぼ), 지산동(池山いけやま), 두천동(まめがわ)
성서면(城西じょうさい) 파호동(ともえ), 파산동(ともえさん), 금회동(きんかい), 호림동(きつねりん), 신당동(しん塘), 이곡동(梨谷なしたに), 율제동(ぐりつつみ), 용상동(りゅうじょう), 용하동(りゅう), 죽전동(竹田たけだ) 성서면(城西じょうさい)
감물천면(あま勿川) 갈산동(葛山かつらやま), 장동(たけし), 망정동(もちてい), 장기동(ちょうはじめ), 본리동(ほんさと), 감천동(あまいずみ), 작촌동(かささぎむら), 송현동(まつ峴)
월배면(つき) 상인동(うえひとし), 채정동(蔡亭), 본리동(ほんさと), 도덕동(道德どうとく), 도원동(桃源とうげん), 오복동(五福ごふく), 진천동(たついずみ) 월배면(つき)
조암면(租岩) 상동(うえ), 하동(した), 대천동(大泉おおいずみ)
인흥면(ひとしきょう) 대곡동(大谷おおや), 송정동(まつてい), 본리동(ほんさと), 쌍학동(そうづる), 상리동(上里うえさと) 화원면(花園はなぞの)[2]
화현내면(はなけん內) 구라동(きゅう), 외촌동(外村とのむら), 부미동(富彌とみや), 천내동(かわ內), 신기동(しんもと), 현내동(けん內), 성산동(城山しろやま), 서촌동(ねずみむら), 명곡동(椧谷), 현기동(けんもと), 설화동(した)
옥포면(たまうら) 간경동(きょう), 본리동(ほんさと), 대방동(大坊だいぼう) 옥포면(たまうら)
법화면(法花ほうげ) 신당동(しん塘), 교항동(はしこう), 본리동(ほんさと), 강림동(こうりん), 시저동(とききね)
성평곡면(しょう平谷ひらや) 송촌동(松村まつむら), 김흥동(きむきょう), 만수동(ばんことぶき), 능전동(能田のうだ), 원전동(元田もとだ), 반송동(ばんまつ), 기산동(岐山きざん), 기세동()

1911년 11월 14일 서상면(西上にしがみ)과 동상면(東上とうじょう)을 통합해 대구면(大邱たいきゅう)을 설치하였다.

연결항목[편집]

이전의 행정구역 현재 문서 다음의 행정구역
8도제
경상도
23부제
대구부
13도제
경상북도
대구도호부 대구군 → 대구부 대구부
달성군
현풍현 현풍군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은 달성군 수성면에 신천동, 신암동으로 개편
  2. 송정동 일부, 부미동 일부는 달성군 월배면에 진천동, 유천동으로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