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신빈 김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신빈 김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빈 김씨
まききん
조선 세종의 후궁
신상정보
출생일 1406년
사망일 1464년 10월 13일 (양력)
부친 김원(金元かねもと)
모친 삭녕 고씨
배우자 세종
자녀 6남 2녀
계양군, 의창군, 밀성군, 익현군
영해군, 담양군, 조졸 옹주 2명
묘소 신빈 김씨 묘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신빈 김씨(まききん, 1406년 ~ 1464년 10월 13일(음력 9월 4일))는 조선의 제4대 세종후궁이다. 본관은 청주이다.

생애

[편집]

본관은 청주이며, 아버지는 김원이고 어머니는 삭녕 고씨이다[1]. 원래 내자시의 여종이었으나, 1418년(세종 즉위년) 13세의 나이로 원경왕후에게 발탁되어 소헌왕후의 궁인이 되었다.[2] 훗날 세종의 승은을 입고 후궁이 되었고, 1427년(세종 9년) 장남 계양군을 출산하였다. 그 후 정2품 소의를 거쳐 1439년(세종 21년) 종1품 귀인에 진봉되었다. 당시 세종이 도승지 김돈에게 "김씨의 출신이 천하지만 13세부터 궁중에 들어와 행실이 바르기에 빈이나 귀인으로 삼고자 하는데 어떠하냐" 고 묻자 김돈이 신개 등과 의논해 귀인으로 승격시켰다.[2] 이후 정1품 신빈(まき嬪)에 책봉되었다.

그녀는 천성이 부드럽고 매사에 조심스러워 소헌왕후에게도 사랑을 받았으며, 소헌왕후는 그녀에게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기기도 하였다.[2] 또한 그녀는 평소에 불교를 신봉했었는데, 세종이 죽고나서는 아예 여승이 되어 살았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사망한 막내아들 담양군을 위한 경문 인쇄 비용으로 조정에서 쌀 500석을 하사받았으며,[3] 1452년(단종 즉위년)에는 단종이 그녀의 아들 의창군의 청원에 의해 그녀에게 머리를 기르도록 명령하였지만 이를 거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4]

1464년(세조 10년) 음력 9월 4일 59세를 일기로 죽었으며, 세조는 쌀, 콩등 모두 70석(いし)을 부의로 내렸다. 그녀의 묘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에 있다. 묘 주위에는 세조 11년(1465)에 세운 묘갈(はか碣:무덤 앞에 별다른 장식없이 세우는 작은 비석)과 묘비, 불을 밝히기 위한 장명등(長明ちょうめいとう), 문인석 1쌍, 제물을 올리고 제사를 올리기 위한 상석(ゆかせき)이 있으며 묘 주위는 돌담으로 둘러 싸여 있다. 1994년 경기도의 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었다.

가족 관계

[편집]
  • 아버지 : 김원(金元かねもと)
  • 어머니 : 삭녕 고씨
  • 남편 : 제4대 세종대왕(むね大王だいおう, 1397년 ~ 1450년, 재위 1418년 ~ 1450년)
    • 장남 : 계양군(かつらようくん 璔, 1427년 ~ 1464년 8월 16일)
    • 자부 : 정선군부인 청주 한씨(旌善ぐん夫人ふじん 淸州きよす かん[5], 1426년 4월 12일 ~ 1480년 7월 27일)
      • 장손 : 영원군 예(やすしはらくん 澧)
      • 손자부 : 현부인 청송 심씨(けん夫人ふじん あおまつ 沈氏) - 심선의 딸
        • 양증손 : 도안부정(みちやすふくせい) - 셋째 손자인 부림군의 차남
      • 차손 : 강양군 숙(こうようくん 潚)[6]
      • 손자 : 부림군 식(とみりんくん 湜)
      • 손자부 : 현부인 안동 김씨(けん夫人ふじん 安東あんどう きん)
        • 증손 : 회안부정 식(淮安ふくせい 軾)
        • 증손 : 도안부정(みちやすふくせい)[7]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김맹손(きむはじめまご)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채윤권(蔡胤けん)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신상(さる鏛)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안계송(やすつぎそう)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정경조(ていたかし)와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한금(かん嶔)과 혼인
    • 자부(첩) : 미상
      • 서장손 : 방산수 란(ほう山守やまもり 瀾)
      • 서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정종선(ていしたがえぜん)과 혼인
    • 차남 : 의창군(義昌よしまさくん 玒, 1428년 ~ 1460년 2월 27일)
    • 자부 : 양원군부인 연안 김씨(りょうはじめぐん夫人ふじん のべやすきん, 1429년 ~ 1482년)
      • 손자 : 사산군 호(蛇山へびやまくん 灝)
      • 자부 : 현부인 고성 이씨(けん夫人ふじん かたじょう )
        • 증손 : 동성군 순(東城とうじょうくん 詢)
        • 증손 : 화산군 해(花山はなやまくん 諧)[8]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윤구손(いんひさしまご)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조수충(ちょうまもるただし)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조원효(ちょうもとこう)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심광정(沈光にわ)와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신우정(さる禹鼎)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신종호(さるしたがえ濩)와 혼인
    • 삼남 : 밀성군(みつじょうくん 琛, 1430년 ~ 1479년 1월 1일)
    • 자부 :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豊德ほうとくぐん夫人ふじん 驪興閔氏)
      • 손자 : 운산군 계(雲山くもやまくん 誡)
      • 손자부 : 현부인 현풍 곽씨(けん夫人ふじん げんふう かく)
      • 손자부 : 현부인 영일 정씨(けん夫人ふじん むかえ てい)
        • 증손 : 철성군 갱(鐡城くん 鏗)
        • 증손 : 고성군 강(かたじょうくん こう)[9]
        • 증손 : 광성부정 전(ただしじょうふくせい 銓)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윤탕로(いんろう)와 혼인
      • 손자 : 춘성군 당(春城しゅんじょうくん 譡)[10]
        • 양증손 : 고성군 강(かたじょうくん こう)
      • 손자 : 수안정 상(とげ安正やすまさ げん+しょう)[11]
      • 손자 : 석양정 남(いしせい 諵)
    • 사남 : 익현군(つばさ峴君 璭, 1431년 ~ 1463년 5월 4일)
    • 자부 : 김제군부인 평양 조씨(きむつつみぐん夫人ふじん 平壤ぴょんやんちょう)
      • 손자 : 괴산군 궤(さいかちさんくん づけ, ?~1467년 6월 10일)
      • 손자부 : 현부인 한산 이씨(けん夫人ふじん かんさん )
        • 양증손 : 화산군 해(花山はなやまくん 諧)[12]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여종경(りょそうたかし)과 혼인
    • 오남 : 영해군(やすしうみくん 瑭, 1435년 ~ 1477년)
    • 자부 :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はやしかわぐん夫人ふじん 平山ひらやま さる)
      • 손자 : 영춘군 인(えいはるくん じん)
      • 손자부 : 현부인 진주 유씨(けん夫人ふじん すすむしゅう やなぎ)
        • 증손 : 완천군 희(かんかわくん 禧)
        • 증손 : 강녕부정 기(こうやすしふくせい 祺)
        • 증손 : 순성부정 정(蓴城ふくせい ただし)
        • 증손 : 덕녕부정 위(とくやすしふくせい 褘)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윤회충(いんふところちゅう)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윤개(いん漑)와 혼인
      • 손자 : 길안도정 의(吉安きちやすせい )
      • 손자부 : 신부인 여산 송씨(まき夫人ふじん 礪山 そう)
        • 증손 : 시산부정 정숙(やまふくせい せい叔)
        • 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신준양(さる遵羙)과 혼인
      • 손자부 : 신부인 청주 한씨(まき夫人ふじん 淸州きよす かん, 한명회의 서녀)
        • 증손 : 청화수 창숙(きよしまもり あきら叔)
        • 증손 : 송계군 중숙(まつけいくん なか叔)
        • 증손 : 은계군 말숙(ぎんけいくん まつ叔)
        • 증손 : 벽계도정 종숙(あおけいせい おわり叔)
        • 증손 : 옥계군 필숙(たまけいくん 畢叔)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이삼(蔘)과 혼인
        • 서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이효원(たかしもと)과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박승약(ほおうけたまわ爚)과 혼인
    • 육남 : 담양군(潭陽くん 璖) - 요절
    • 정혼녀 : 의령 남씨(むべやすし みなみ)[13]
      • 양손자 : 강양군 숙(こうようくん 潚)[14]
      • 양손자부 : 현부인 양주 허씨(けん夫人ふじん しゅう もと)
      • 양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영평정 보(すずひらたせい 輔)
        • 서증손 : 희안군 집(喜安きやすくん 輯)
        • 서증손 : 예안정 헌(れい安正やすまさ のき)
      • 양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양평부수 홍(陽平ようへいふくもり しゃ+ひろし)
        • 서증손 : 함창부수 함(咸昌ふくもり 轞)
        • 서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신귀정(からしさだ)과 혼인
      • 양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정소종(てい紹宗)과 혼인
        • 서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김내문(きむ乃文)과 혼인
        • 서증손녀 : 전주 이씨(ぜんしゅう ) - 박승준(ほおうけたまわしゅん)과 혼인

신빈 김씨가 등장하는 작품

[편집]

참고 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황인규, 논문 《조선전기 후궁의 비구니 출가와 불교신행》, 2011, 2016-11-29 확인
  2. 《조선왕조실록》 세종 84권, 세종21(1439) 1월 27일 2번째 기사
  3. 《조선왕조실록》 문종 1권, 문종 즉위년(1450) 3월 16일 2번째 기사
  4. 《조선왕조실록》 단종 3권, 단종 즉위년(1452) 9월 12일 1번째 기사
  5. 한확의 차녀이자 인수대비의 언니
  6. 담양군 거(潭陽くん 璖, 신빈 김씨의 6남)에게 출계
  7. 영원군 예(やすしはらくん 澧)에게 출계
  8. 괴산군 궤(さいかちさんくん つぶせ, 익현군의 장남)에게 출계
  9. 춘성군 당(春城しゅんじょうくん 譡)에게 출계
  10. 의안대군 방석(むべやす大君おおきみ よしせき)에게 출계
  11. 수춘군 현(ことぶきはるくん 玹)에게 출계
  12. 사산군(의창군의 장남)의 아들
  13. 혼인 직전에 담양군이 죽어 혼인이 취소 되었음
  14. 장남 계양군의 차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