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웅촌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웅촌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웅촌면
くまむらめん

로마자 표기Ungchon-myeon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울산광역시 울주군
행정 구역26, 85
법정리초천리, 석천리, 곡천리, 검단리, 은현리, 고연리, 대대리, 통천리, 대복리
관청 소재지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새초천길 12
지리
면적52.0km2
인문
인구7,701명(2022년 3월)
세대3,785세대
인구 밀도148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울주군 웅촌면 행정복지센터

웅촌면(くまむらめん)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이다.

역사[편집]

울산이라는 지명의 유래가된 우시산국(于尸山國やまぐに)의 중심지였던 지역이다.[1] 신라가 우시산국을 정복하고 이 지역에 우화현(于火けん)을 설치하였다. 757년에 우화현을 우풍현(おそれふうけん)으로 개칭하고 동안군(ひがしやすぐん, 현재의 서생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940년에 하곡현, 동진현과 함께 흥례부(きょうれい)로 통폐합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울주(蔚州)로 승격되었고, 1413년에 울산군(蔚山うるさんぐん)으로 개칭되었다. 웅촌면지역은 울산군 서면 웅촌리로 편제되었다가 숙종대에 방위면인 서면이 폐지되고 웅촌면으로 전환되었다.

  • 1894년 웅촌면을 웅상면, 웅하면으로 분면하였다.
  • 1906년 웅상면이 양산군에 편입되고 웅하면을 웅촌면으로 개칭하여 현재의 웅촌면이 되었다.
  • 1914년 4월 1일 신리동이 청량면에, 대양동 일부가 삼동면에 편입되고 9개리로 개편하였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개편 전 개편 후
곡천동(谷川たにがわほら) 곡천리(きょくいずみさと)
검단동(けんほら), 암곡동(岩谷いわたにほら) 검단리(けんさと)
은하동(かくれ下洞しもほら), 덕현동(とく峴洞), 덕곡동(とくたにほら), 용산동(用山もちやま) 은현리(かくれ峴里)
고야동(也洞), 연답동(れん畓洞), 와지동(むねほら), 갓동(かんむりほら), 반계동(盤溪ばんけいほら) 고연리(はちすさと)
상대동(上大かみおおほら), 중대동(中大ちゅうだいほら), 하대동(下大しもおおほら), 저리동(こうじさとほら) 대대리(大垈おおぬたさと)
초정동(はじかみほら), 내기동(內基ほら) 초천리(はじかみいずみさと)
통천동(とおりがわほら), 자천동(紫川むらさきがわほら), 자암동(むらさきいわほら) 통천리(つう川里かわさと)
석천동(石川いしかわほら), 석계동(いしけいほら) 석천리(石川いしかわさと)
대양동(だいほら), 오복동(ぼくほら) 대복리(大福だいふくさと)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웅촌면의원 11명이 선출되었다.
  • 1961년 9월 1일 웅촌면의회가 해산되었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웅촌면이 되었다.
  •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웅촌면이 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웅촌면이 되었다.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이 되었다.

행정 구역[편집]

웅촌면은 9개 법정리, 26개 행정리, 85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2011년 4월 30일 기준으로 3,751세대 8,685명이다. 면소재지는 곡천리이다.

웅촌면의 행정구역
법정리 한자 세대 인구
초천리 はじかみいずみさと 108 245
석천리 石川いしかわさと 121 318
곡천리 たにいずみさと 631 1,336
검단리 けんさと 315 683
은현리 ぎん峴里 331 742
고연리 はちすさと 293 585
대대리 大垈おおぬたさと 382 814
통천리 つう川里かわさと 19 58
대복리 大福だいふくさと 1,551 4,904
웅촌면 くまむらめん 3,751 8,685

교육 기관[편집]

교통 시설[편집]

도로[편집]

웅촌면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 제7호선이 주요 도로이다. 그 외 대복리에서 삼동면을 경유하여 양산시 하북면을 연결하는 도로와 대대리에서 온양읍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웅촌면의회[편집]

웅촌면의회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두의 표기법에 따르면 시(しかばね)는 ㄹ의 표기를 위해 사용했으므로 우+ㄹ+산이 된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