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이백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이백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완령군 원윤 이백온
かんやすしくん もといん はくぬる
원윤(もといん)
후(ほう)
군(きみ)
이름
이백온
はくぬる
별호 호(ごう)는 귀봉(かめみね)
시호(諡號しごう)는 소사(あきらおもえ)
신상정보
출생일 ?
출생지 고려 함경도 화령
사망일 1419년
사망지 조선 한성부
부친 완풍대군 이원계
모친 남평 문씨 부인
배우자 삼한국대부인 춘양 김씨
자녀 여강군 이영석(아들)
기타 친인척 완원부원군 이양우(이복 형)
완산부원군 이천우(이복 형)
완남평부원군 이조(이복 형)
환조 이자춘(친조부)
후궁 한산 이씨(친조모)
의혜왕후 영흥 최씨(친적조모)
정안옹주 김씨(친서조모)
영성대군 이천계(동복 숙부)
조선 태조 이성계(이복 숙부)
의안대군 이화(이복 숙부)
대흥군 이연계(7촌 재종숙부)
강성군 문익점(외조부)
강성군 계배 정씨 부인(외조모)
종교 불교유교(성리학)

이백온(はくあつし, ? ~ 1419년)는 고려(高麗こうらい) 말기의 선비 출신 하위 관료이며 조선(朝鮮ちょうせん) 시대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おうぞく 宗室そうしつ)이자 무신(武臣ぶしん)이다. 본관은 전주(ぜんしゅう)이다. 호(ごう)는 귀봉(かめみね), 시호(諡號しごう)는 소사(あきらおもえ)이다.

생애[편집]

그는 완풍대군(かんゆたか大君おおきみ)으로 추증(追贈ついぞう)된 이원계(もとかつら)의 아들이자 이양우(りょうゆう)와 이천우(天祐てんゆう)와 이조(ちょう)의 아우이며 조선 태조 이성계(朝鮮ちょうせん たい 成桂せいけい)의 이복 조카이다.

고려(高麗こうらい) 말기 시절 동북면(함경도) 화령의 이름없는 무인(武人ぶじん)이요 촌부(むらおっと)이자 선비로 지내던 중 1386년 우왕 치세 말기에 음서로써 하급 관료 등용되어 고려 문관 신료 변안렬의 보좌역 호위 무관 직위를 지내었고 2년 후 1388년 고려국 관료 직위에서 퇴임하였다. 그러나 그 후 1392년 이복 숙부 이성계(成桂せいけい)가 고려(高麗こうらい)를 멸하고 조선(朝鮮ちょうせん)을 창건 개국하여 초대 군주로 등극하자 조선국 왕족 종실 지위로써 완산원윤(かん山元やまもといん)에 책봉되었으며 이듬해 1393년완령후 원윤(かんやすしこう もといん)으로 진봉되었고 태종 시절이던 1405년 완령군 원윤(かんやすしくん もといん)에 진책되었으며 그에 아울러 조선국 무관 관료 겸 장군(朝鮮ちょうせんこく 武官ぶかん 官僚かんりょう けん 將軍しょうぐん)으로도 활약하였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