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판매기
자동 판매기(
많은 국가에서 볼 수 있으며, 일본자동판매기공업회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국내의 자동 판매기 대수가 2002년 말을 기준으로 552만대일 정도로 자동 판매기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판매 상품도 다양하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역사
[편집]최초의 자동 판매기로 알려져 있는 것은 기원전 215년 고대 이집트의 신전에 있던 성수 자판기이다.[1]
동전을 넣으면 레버가 있는 접시에 떨어지며 밸브를 열면서 물이 흐르게 되어 있던 구조이다.
현대적인 동전 투입식 자동 판매기의 역사는 1880년대 영국과 일본에서 각각 등장한 엽서 자판기와 담배 자판기가 그 시초이다.
대한민국은 1977년, 롯데산업이 일본 샤프로부터 커피 자판기를 도입한 것이 최초이다.[2]
결제 방법
[편집]음료 같은 소액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의 경우 대부분 동전이나 지폐를 같이 넣을 수 있지만, 구형 기기의 경우 동전만 투입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최근에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또는 교통카드로 물품의 결제가 가능한 자동 판매기, 또는 '모바일 자동 판매기'(Mobile Vendor)라고 하여 휴대전화에서 통화하는 것만으로도 상품을 살 수 있는 자판기도 있다.
술이나 담배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의 경우, 미성년자의 구매 제한을 위한 성인인증 보안 시스템이 작동되므로, 주민등록증 등 적절한 신분증을 요구하기도 한다.
판매 상품
[편집]흔히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음료 (물, 탄산음료, 이온 음료, 커피, 우유)
- 담배
- 라면
- 과자
- 아이스크림
- 샐러드
- 과일
- 피자
- 맥주
- 어묵
- 성 관련 제품(콘돔, 생리대, 속옷, 여성용 팬티, 스타킹 등)
- 책
- 즉석식품
- 마스크
- 복권
이처럼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은 보존이 쉬운 것들이 대부분이다. 무인 편의점 역할을 자동 판매기가 어느 정도 대신한다고 볼 수 있다. 병원에 구비된 자판기도 미니 편의점 역할을 하는 사례가 있다.
이 외에도 미성년자들의 이용이 완전히 금지되어 있는 복권, 담배, 맥주 등도 물론 자동판매기에 비치가 가능한 상품으로 분류된다.
문제점
[편집]- 자판기는 항상 24시간 작동하며, 그로 인한 전기 소모량이 많다.
-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좁은 길에 설치할 경우 보행자가 불편해할 수도 있다.
- 야외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는 훼손, 절도범들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고, 라면이나 커피 자판기의 경우,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미성년자들이 출입하는 지역에서 담배 및 주류 관련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미성년자들이 담배 및 주류 자판기를 임의로 이용하게 되면서 말썽을 일으킬 있다.[3]
자동판매기 전문지
[편집]- 2020년 1월 7일, 인터넷 기반의 자동판매기 분야 전문 언론기관 자동판매기네트워크신문사가 등장했다.
TV 프로그램
[편집]- 자판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자기 인생의 판도를 바꾸는 기도해답'이라는 뜻으로, 브라이언 박 목사님과 함께 기도, 신앙에 대한 질문을 직접 나누며 신앙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CTS기독교TV의 프로그램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이경달 (2009년 1월 8일). “세계 최초 자판기와 역사”. 매일신문. 2016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8일에 확인함.
- ↑ 김대홍 (2007년 11월 29일). “1977년 커피자판기가 국내 최초”. 경향신문. 2018년 9월 3일에 확인함.
- ↑ 청소년보호법에 위반하는 행동으로 취급한다.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자동 판매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