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왕
동양식 등작 |
---|
황제 / 천황 / 천자 / 천왕 / 태왕 무상가한 / 천가한 / 가한 / 선우 |
국왕 / 친왕 / 군왕 / 한 |
국공 / 군공 / 현공 / 콩타이지 |
열후 / 관내후 / 방백 |
태왕(
고구려
[편집]《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와 중국의 사서에서는 아무래도 후대나 타국의 입장에서 쓰인 사서에서는 일반적인 예에 맞춰서 왕과 대왕이 혼용되어 기술되는 경향이 있는 편이고[1] 광개토왕릉비(414년), 호우총 출토 광개토왕호우(415년),[2] 모두루 묘지명(5세기 초), 중원고구려비(5세기), 태왕릉 출토 벽돌명[3]과 청동방울(5세기), 서봉총 출토 은합우(451년)[4] 등 주로 5~7세기 고구려인들이 남긴 고고학 자료에서 태왕 칭호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모두루 묘지명은
이로 보아 태왕은 왕보다 높은 호칭으로 보인다.[8] 태왕이 처음 쓰인 시기는 저마다 의견이 다른데 미천왕, 고국원왕,[9] 고국양왕[10], 광개토왕 등이 있다.
일각에서는
신라
[편집]오직 6세기 법흥왕[18]과 진흥왕[19] 대의 금석문에만 용례가 있으며 이때 역시 왕과 대왕을 혼용하였다.[20]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삼국사기》25권 백제본기 제3 개로왕 21년
- ↑
國岡 上 廣 開 土地 好 太 王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 - ↑
願 太 王 陵 安 如山固 如岳(원태왕릉안여산고여악) - ↑
太 王 敎 造 合 杅用三 斤 六 兩 (태왕교조합우용삼근육량) - ↑ 〈모두루 묘지명〉
- ↑ 〈중원고구려비〉
- ↑ 조법종, 〈중국 집안박물관 호태왕명문 방울〉, 《한국고대사연구》vol.33, 한국고대사학회, 2004
- ↑ 미야자키 이치사다(
宮 﨑市定 ), 〈天皇 なる稱號 の由來 について〉, 《思想 》646, 1978. 하마다 고사쿠(濱田 耕 策 ), 〈朝鮮 古代 の『太 王 』と『大王 』〉, 《呴沫集 》5, 1987 - ↑ 모두루 묘지명에서 보이지 않는 다른 글자를
國 罡上聖 太 王 (국강상성태왕)으로 판독한 경우 - ↑ 고국원왕의 성태왕을 추존호로 본 경우
- ↑ 여호규, 〈고구려태왕호의 제정과 국강형 왕릉입지의 성립〉, 《역사문화연구》vol.35,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 ↑ 시노하라 히로카타(
篠原 啓 方 ), 〈고구려의 태왕호와 태왕가인식의 확립〉, 《한국사연구》Vol.125, 한국사연구회, 2004 - ↑ 《삼국사기》17권 고구려본기 제5 봉상왕 9년
- ↑ 박성봉, 〈‘광개토호태왕’ 왕호와 세계관〉, 《고구려발해연구》vol.2, 고구려발해학회, 1996
- ↑ 명치호왕(
明治 好 王 ) 《삼국사기》19권 고구려본기 제7 문자왕 1년 - ↑ 양강상호왕(
陽 崗上好 王 ) 《삼국사기》19권 고구려본기 제7 양원왕 1년 - ↑ 평강상호왕(
平 崗上好 王 ) 《삼국사기》19권 고구려본기 제7 평원왕 1년 - ↑ 〈울주 천전리각석 추명〉(539년) 另即
知 太 王妃 夫 乞支妃 (영즉지태왕비부걸지비) - ↑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6세기)
眞 興 太 王 及衆臣 等 巡 狩 (진흥태왕급중신등순수) - ↑ 〈울주천전리각석 을묘명〉(5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