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태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태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왕(ふとしおう)은 고구려에서 주로 쓰인 한반도의 독자적인 군주호이다. 중국 북조의 경우 황제라는 뜻인 천왕(天王てんのう)이라는 칭호를 썼는데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

[편집]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와 중국의 사서에서는 아무래도 후대나 타국의 입장에서 쓰인 사서에서는 일반적인 예에 맞춰서 왕과 대왕이 혼용되어 기술되는 경향이 있는 편이고[1] 광개토왕릉비(414년), 호우총 출토 광개토왕호우(415년),[2] 모두루 묘지명(5세기 초), 중원고구려비(5세기), 태왕릉 출토 벽돌명[3]과 청동방울(5세기), 서봉총 출토 은합우(451년)[4] 등 주로 5~7세기 고구려인들이 남긴 고고학 자료에서 태왕 칭호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모두루 묘지명은 國岡くにおかのぼる大開おおひらき土地とちこうふとし聖王せいおう(국강상대개토지호태성왕)이라 하여 성왕(聖王せいおう)이란 용어도 나타난다. 또한 모두루 묘지명에서 다른 글자도 발견됐는데 くに罡上ひじりふとしおう(국강상성태왕)이라고 쓰여 있고 이것은 미천왕 또는 고국원왕을 가르키는 것으로 보인다.[5] 중원고구려비는 마모가 심하여 저마다 판독이 다른데 주로 くにうららふとおう(고려태왕)으로 판독한다.[6] 태왕릉 출토 청동방울은 からしねんこう大王だいおう(신묘년호대왕)이라고 적혀 있다.[7] 7세기 고구려 유민인 고을덕 묘지명에서도 영류왕을 건무태왕이라 지칭한 용례가 있다.

이로 보아 태왕은 왕보다 높은 호칭으로 보인다.[8] 태왕이 처음 쓰인 시기는 저마다 의견이 다른데 미천왕, 고국원왕,[9] 고국양왕[10], 광개토왕 등이 있다.

일각에서는 大王だいおう(대왕)을 일괄적으로 たいおう(태왕)으로 판독하여 고구려 독자적인 칭호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1] 광개토왕까지는 미칭 혹은 존칭으로 쓰다가 장수왕대부터 비로소 군주의 칭호로서 정착되었다고도 한다.[12] 더 나아가 こうふとしおう(호태왕)의 こう는 미천왕(美川みかわおう)을 호양왕(こう壤王)이라고도 했다는[13] 점을 들어 よし와 같이 태왕을 꾸미는 말로 보고,[14] 호왕이라 불렸던 문자명왕[15], 양원왕[16], 평원왕[17]도 호태왕을 칭했는데 기록하는 과정에서 ふとし가 탈락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신라

[편집]

오직 6세기 법흥왕[18]진흥왕[19] 대의 금석문에만 용례가 있으며 이때 역시 왕과 대왕을 혼용하였다.[2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삼국사기》25권 백제본기 제3 개로왕 21년
  2. 國岡くにおかのぼるこうひらき土地とちこうふとしおう(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
  3. ねがいたいおうりょうやす如山かた如岳(원태왕릉안여산고여악)
  4. ふとしおうきょうづくりごう杅用さんきんろくりょう(태왕교조합우용삼근육량)
  5. 〈모두루 묘지명〉
  6. 〈중원고구려비〉
  7. 조법종, 〈중국 집안박물관 호태왕명문 방울〉, 《한국고대사연구》vol.33, 한국고대사학회, 2004
  8. 미야자키 이치사다(みや﨑市じょう), 〈 天皇てんのうなる稱號しょうごう由來ゆらいについて〉, 《思想しそう》646, 1978. 하마다 고사쿠(濱田はまだこうさく), 〈朝鮮ちょうせん古代こだいの『ふとしおう』と『大王だいおう』〉, 《呴沫しゅう》5, 1987
  9. 모두루 묘지명에서 보이지 않는 다른 글자를 くに罡上ひじりふとしおう(국강상성태왕)으로 판독한 경우
  10. 고국원왕의 성태왕을 추존호로 본 경우
  11. 여호규, 〈고구려태왕호의 제정과 국강형 왕릉입지의 성립〉, 《역사문화연구》vol.35,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12. 시노하라 히로카타(篠原しのはらあきらかた), 〈고구려의 태왕호와 태왕가인식의 확립〉, 《한국사연구》Vol.125, 한국사연구회, 2004
  13. 《삼국사기》17권 고구려본기 제5 봉상왕 9년
  14. 박성봉, 〈‘광개토호태왕’ 왕호와 세계관〉, 《고구려발해연구》vol.2, 고구려발해학회, 1996
  15. 명치호왕(明治めいじこうおう) 《삼국사기》19권 고구려본기 제7 문자왕 1년
  16. 양강상호왕(崗上こうおう) 《삼국사기》19권 고구려본기 제7 양원왕 1년
  17. 평강상호왕(ひら崗上こうおう) 《삼국사기》19권 고구려본기 제7 평원왕 1년
  18. 울주 천전리각석 추명〉(539년) 另即ふとし王妃おうひおっと乞支(영즉지태왕비부걸지비)
  19.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6세기) きょうたいおう及衆しんとうじゅんかり(진흥태왕급중신등순수)
  20. 〈울주천전리각석 을묘명〉(535년)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