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행주 기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행주 기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행주 기씨
さいわいしゅう
관향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시조기우성(ともまこと)
중시조기순우(じゅんゆう)
집성촌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연리
황해도 금천군 좌면 암사리
주요 인물기탁성, 기홍수, 기윤숙, 기자오, 기철, 기황후, 숙의 기씨, 기건, 기준, 기대항, 기대승, 기자헌, 기정진, 기삼연, 기산도, 기세훈, 기세춘, 기찬수, 기형도, 기모란
인구(2015년)27,379명
비고행주기씨 대종중

행주 기씨(さいわいしゅう)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마한 원왕(もとおう)의 3남 우성(ともまこと)이며, 고려 인종(ひとしむね) 때 문하평장사(もん下平しもだいらあきらごと)를 지낸 기순우(じゅんゆう)를 1세조로 한다.

기원

[편집]

행주 기씨 족보에서 기자()의 48대손인 기우성(ともまこと)을 시조로 한다. 《행주기씨보(さいわいしゅう)》 및 《청주한씨세보(淸州きよすかん》에 의하면 마한 8대 원왕(もとおう) 한훈(かんいさお)의 아들로 우평(友平ともへい), 우량(ともりょう), 우성(ともまこと)이 있었는데, 우평은 태원 선우씨, 우량은 청주 한씨, 우성(ともまこと)은 행주 기씨가 되었다고 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기록에는 마한의 유민(のこみん)이 온조왕에 의하여 한산(かんさん)의 북쪽, 즉 행주(さいわいしゅう)로 옮겨졌다고 하고 있다.

역사

[편집]

기우성의 65세손인 기문유(ぶん儒)의 아들로 고려 인종 때 문하평장사(もん下平しもだいらあきらごと)를 지낸 기순우(じゅんゆう)를 1세조로 한다.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기자헌(けんじ)의 동생 기윤헌(まことけんじ) 집에 선계의 기록이 있었는데, 이괄의 난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1688년(조선 숙종 14) 족보를 개편할 때 이곡(こく)이 지은 기황후(皇后こうごう)의 아버지 영안왕(さかえ安王やすおう) 기자오(敖)의 행장(行狀ぎょうじょう)을 근거로 영안왕의 5대조인 기순우를 1세로 기록하였다.

인물

[편집]

고려

[편집]
  • 기탁성(たくまこと, ? ~ 1179) :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여 판병부사(はん兵部ひょうぶごと), 문하시랑 평장사(門下もんかさむらいろうたいらあきらごと)·판이부사(はん吏部ごと)가 되었다.
  • 기홍수(ひろしことぶき, 1148 ~ 1209) : 1194년(명종 24) 추밀원부사(樞密院すうみついん副使ふくし), 1197년 참지정사 판병부사(まいり政事せいじばん兵部ひょうぶごと), 수사도 중서시랑 평장사감수국사 판병부사 태자태부(守司もりじ中書ちゅうしょさむらいろうたいらあきらごと監修かんしゅう國史こくしばん兵部ひょうぶごと太子たいしふとしでん), 1199년(신종 2) 수태위 문하시랑 평장사(まもりふとしじょう門下もんかさむらいろうたいらあきらごと), 1200년 수태사 주국(まもりたいはしらこく), 1201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 평장사(門下もんかさむらいろう同中どうちゅうしょもん下平しもだいらあきらごと)를 거쳐 1203년 벽상삼한삼중대광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かべじょう三韓三重大匡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가 되었다.
  • 기윤숙(まこと肅, ? ~ 1257) : 문하시랑평장사
  • 기철(わだち, ? ~ 1356) : 고려 후기 권문세족
  • 기황후 (? ~ 1370) : 원나라의 마지막 황후, 기철의 여동생
  • 기중평(仲平なかひら) : 고려 후기 권문세족이며, 기면(よせつとむ)의 부친

조선

[편집]
  • 기면(つとむ. ?~?): 공조전서를 지냈으며, 조선조 정종대왕의 후궁 숙의 기씨의 부친이다. 고려조 권문 세족인 기중평(仲平なかひら)의 아들이다. 외조모는 고려조 태자태사를 지낸 진위 이씨 이중육(なかいく)의 딸이다.
  • 기건(?~1460) : 조선의 문신이다. 전라도관찰사 겸 전주부윤, 호조참판, 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 하였다.
  • 기준(遵, 1492~1521) : 1514년(중종 9년) 호는 복재이다.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1519년 응교를 지내다가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교살 되었다. 1545년(인종 1)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민(ぶん愍).
  • 기대항(だいつね, 1519~1564) : 1546년(명종 1) 복재 기준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이조참판을 거쳐 1564년 공조참판·한성부윤에 올랐다. 시호는 정견(さだけん).
  • 기대승(だいます, 1527~1572) : 155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때 성균관 대사성, 대사간,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헌(ぶんけん)
  • 기효간(こう諫. 1530~1593) : 호 금강(錦江きんこう). 하서 김인후(きむ麟厚))의 문인으로 호남의 은덕군자(かくれとく君子くんし)이다. 서태수·변이중·변성온(卞成あつし)·변성진 등과 교유 하였으며, 죽은 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공으로 선무원종공신에 책봉 되고, 호조참의에 추증 되었다. 장성 추산서원 배향
  • 기효증(こう曾. 1550~1616) : 문헌공 기대승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복현감으로 의병장에 추대 되어 군사와 군량을 의주까지 수송하였다.
  • 기자헌(けんじ, 1562~1624) : 한성부윤 기대항의 손자로, 1590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14년 영의정에 올랐다. 1620년 덕평부원군(德平とくひらいんくん)에 봉해졌다.
  • 기윤헌(まことけんじ. 1575~1624) : 영의정 기자헌의 동생으로 1605년(선조 38)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세자시강원문학, 장령, 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
  • 기준격(しゅんかく. 1594~1624) : 영의정 기자헌의 아들로 정언, 병조좌랑, 예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내응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사형 당하였다.
  • 기정익(ていつばさ. 1627~1690) : 호는 송암(まついわお). 금강 기효간의 현손, 우암 송시열 문인, 제릉참봉에 제수 되고, 뒤이어 효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후학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장성 추산서원 배향
  • 기언관(彦觀. 1706~?) : 기대승의 6세손, 헌납,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 기언정(彦鼎. 1716~1797) : 사간 기언관의 동생으로 대사간, 대사헌,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기학경(がくけい. 1741~1809] : 기대승의 7세손이며, 사간 기언관의 삼남이다. 사간원 정언, 무장현감, 홍문관 수찬을 역임하였다.
  • 기정진(せい鎭. 1798~1879) :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다. 시호는 문간(ぶん簡)이다. 진원 고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기양연(衍. 1827~1895) :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사헌부 장령, 부교리, 부수찬을 역임하였다.
  • 기우만(宇萬. 1846~1916) : 유학자, 항일의병장
  • 기삼연(さん衍. 1851~1908) : 항일의병장
  • 기동준(ひがしじゅん. 1860~1918) : 기대승의 후예로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귀향하여 학문에 정진하며 후학 양성에 매진하엿다. 기대승의 문집을 발간하였다.
  • 기산도(やま. 1878~1928) : 독립운동가

근 · 현대

[편집]
  • 기세훈(くん. 1914~2015) : 고봉 기대승의 후손, 서울고등법원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
  • 기동민(ひがしみん, 1966~) : 제20, 21대 국회의원
  • 기경량(かのえりょう, 1978~) : 역사학자

과거 급제자

[편집]

행주 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 무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1]

무과

기경복(けいぶく) 기경우(けいぐう) 기경헌(けいけんじ) 기계건(戒建) 기대경(だい勍) 기대권(大權たいけん) 기두환(斗煥どふぁん) 기명후(いのち垕) 기붕(おおとり) 기상진(尙珍) 기성후(せい垕) 기송일(松一しょういち) 기시관(かんむり) 기윤호(まこと琥) 기익헌(えきけんじ) 기자홍(ひろし) 기전(恮) 기정우(廷遇) 기준(しゅん) 기홍립(ひろりつ) 기효열(こうせつ) 기훈(かおる)

문과

기경현(けい鉉) 기관현(奇觀きかん鉉) 기대승(だいます) 기대항(だいつね) 기령(苓) 기만헌(ばんけんじ) 기문현(ぶん鉉) 기수발(しゅうはつ) 기양연(衍) 기언관(彦觀) 기언정(彦鼎) 기윤헌(まことけんじ) 기자헌(けんじ) 기저(褚) 기준(遵) 기준격(しゅんかく) 기진흥(ふるえきょう) 기찬(襸) 기침(琛) 기학경(がくけい) 기협(きょう) 기형(逈)

생원시

기경례(敬禮けいれい) 기경인(けいじん) 기관연(奇觀きかん衍) 기기진(麒鎭) 기대승(だいます) 기동교(ひがしきょう) 기동순(あずまじゅん) 기동준(ひがしじゅん) 기령(苓) 기만헌(ばんけんじ) 기봉진(おおとり鎭) 기상풍(ぞうゆたか) 기윤섭(まこと燮) 기윤진(まこと鎭) 기율(慄) 기익진(えき鎭) 기자헌(けんじ) 기재규(ざい奎) 기재선(ざいぜん) 기저(こうぞ) 기정진(せい鎭) 기준(遵) 기진구(ふるえかめ) 기진량(ふるえりょう) 기태검(たい儉) 기태온(たいゆたか) 기태원(たいげん) 기형(逈) 기호진(祜鎭)

진사시

기계상(つぎしょう) 기대승(だいます) 기대항(だいつね) 기동팔(ひがしはち) 기란(らん) 기무곤(しげひつじさる) 기세후(あつし) 기수발(しゅうはつ) 기양연(あきら衍) 기우만(宇萬) 기윤헌(まことけんじ) 기인(𡐔) 기자헌(けんじ) 기재린(ざい麟) 기저(こうぞ) 기정만(ていまん) 기정현(ていけん) 기준(遵) 기준격(しゅんかく) 기진(すすむ) 기진연(すすむ衍) 기진탁(ふるえ鐸) 기진흥(ふるえきょう) 기학경(がくけい) 기형(逈) 기황(愰) 기효증(こう曾)

항렬자

[편집]
90세 91세 92세 93세 94세 95세
우(宇) 도() 노(ろう) 서(舒) 호(ひろし) 간(みき)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편집]

인구

[편집]
  • 1985년 5,244가구, 21,756명
  • 2000년 6,660가구, 21,536명
  • 2015년 27,379명

이성 동본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