冏
최근 수정 시각:
冏 빛날 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冂, 5획 | 총 획수 | 7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キョウ, ケイ | ||||||
일본어 훈독 | あき-らか | ||||||
- | |||||||
표준 중국어 | jiǒng | ||||||
|
갑골문 | 금문 | 소전 |
지금은 벽자지만 갑골문에도 나올 만큼 역사가 오래된 한자다. 창문으로 밝은 빛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낸 상형자이다. 다른 한자와 결합할 때에는 冏 외에 이체자인 囧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아래의 밝을 명.
朙의 소전 |
밝을 명(明 )의 경우도 갑골문을 보면 日 과 月 이 결합한 明 의 꼴과 囧과 月 이 결합한 朙의 꼴 두 가지가 모두 쓰였다. 따라서 明 의 소전체도 두 가지다. 설문해자에 朙만 나와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창문에 달이 환하게 비치는 것'(朙)과 '해와 달이 같이 있어 밝은 것'(明 ) 둘 다 올바른 풀이이다. 어느 한 쪽이 틀린 것이 아님에 주의해야 하다.
송곳질 할 율(矞)자를 보면 창 모 아래에 빛날 경 자가 깔려 있다.[1] 제일 유명한 부건은商 의 아랫부분.
베트남어에서는 quýnh, 광동어에서는 gwing2으로 읽는다.
유니코드에서는 U+56E7, 창힐수입법에서는 WCB(田 金月 )으로 적는다.
송곳질 할 율(矞)자를 보면 창 모 아래에 빛날 경 자가 깔려 있다.[1] 제일 유명한 부건은
베트남어에서는 quýnh, 광동어에서는 gwing2으로 읽는다.
유니코드에서는 U+56E7, 창힐수입법에서는 WCB(
- 사마경(
司馬 冏)
이게 무슨 글자게?[2] |
왠지 황당한 표정을 짓고 있는 사람 얼굴처럼 생겨서 대만 웹에서 이모티콘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 후 홍콩 웹을 거쳐 전 중화권으로 퍼졌다.
한국의 '-ㅁ-;;' 정도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변형으로 囧rz 등이 있다.
과거 PC통신이나 초기 외계어가 유행하던 시기에는 플로피디스크를 나타내는 용도로 아주 가끔 사용되기도 했다. 그 용도로는 한국에서 그림 도(
중국 만화 등에 아주 많이 나오므로 눈을 사시로 깔고 네모로 입을 벌리고 있다면 100% 이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IME에서는 완성형의 한자만을 사용하도록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IME 설정에 가서 확장 한자 입력에 체크해 주면 입력할 수 있다.[3]
- XP 운영체제에서 입력하고 싶은 경우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 → 언어 탭 → 자세히 → 설정 → 한국어 키보드 속성에 들어가서 확장한자 입력하기 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그 후에 경 → 한자 → page down 11 번 누르고 6번을 선택하면 된다.
- 또한 아래아 한글에서 '경'을 입력하여 변환해도 가능하다. 이미 한컴 2바이트 코드를 사용한 구버전부터 입력이 가능했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