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고엽제 - 나무위키

고엽제

최근 수정 시각:
3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1군: 확실한 발암 물질 120개
2A군: 발암 가능성 있는 물질 75개
2B군: 발암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의심되는 물질 313개
3군: 발암여부가 정해지지 않은 물질 499개
4군: 암과 무관한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1개[4]
[1] 암의 종류에 따라 1군/2A군으로 나뉜다.
[2] GMO, 항생제 등 고기 잔류 물질이 문제가 아니다. IARC에서는 확실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고기의 성분 자체가 조리되면서 발암 물질을 필연적으로 함유하기 때문이라고 논평하였다. 청정우 같은 프리미엄육을 사 먹어도 발암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전세계의 육류업자들이 고기를 발암물질로 만들 셈이냐며 정식으로 항의하기도 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3] 단, 올바른 조리 과정을 거치면 먹어도 문제는 없다. 문서 참조.
[4] 카프로락탐. 2019년 1월 18일 IARC 서문 개정에 따라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삭제되었다.#
1. 개요2. 고엽제에 의한 피해와 증상
2.1. 대한민국

1. 개요[편집]

식물의 잎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약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잎을 제거함으로써 과실에 볕이 잘 들게 해서 빨리 익게 하거나 수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쓴다. 특히 베트남 전쟁 때에 미국이 밀림에 뿌린 2, 4-D 따위의 제초제를 가리킨다.

잎사귀를 말라 죽게 하는 제초제. 인체에 해로운 독극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군사적 용도로는 말레이시아의 공산 게릴라를 상대하던 영국군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었고, 이후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북베트남군베트콩 상대로 무차별적으로 살포하면서 유명해졌다.

미군과 태국군, 남베트남군하노이를 비롯해서 북베트남 주요 삼림지대와 산악지대에 고엽제를 무차별적으로 살포하였는데, 당시 사용된 고엽제로는 대표적으로 에이전트 오렌지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베트남 정글에 서식하는 모기를 박멸한다는 공중보건상의 목적을 내세웠으나, 사실은 밀림의 초목들을 고사시킴으로써 깊은 삼림이나 산중에 은신 및 매복하던 베트콩의 노출과 식량 보급에 줄 피해를 노린 것이었다.

이는 목적한 효과를 일으킨 것은 물론, 400만 명이 넘은 북베트남 주민들과 삼림 및 산악지대 원주민들, 남베트남군, 미군을 주축으로 남베트남 편으로 파견된 일선 병사들에게까지 큰 신체적 후유증과 정신적 고통을 일으켰다. 대한민국에서도 고엽제 피해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책임 소재에 소송을 거는 등 분쟁이 일고 있다.

2. 고엽제에 의한 피해와 증상[편집]

고엽제는 이름 그대로 초목 및 잎사귀 등을 말라죽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주로 잡초 제거 등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초목이나 잡초를 떠나서 인체나 동물 등에게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하는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특히 2,4,5-T의 불순물로 만들어지는 TCDD는 인류가 만들어낸 독 중 가장 강력한 독이다.

고엽제에 노출되었을 경우 심한 피부병과 피부질환을 앓게 된 건 물론 임산부기형아를 출산하게 되며 10년이 넘은 후에도 증상이 쉽게 가시지 않고 그대로 정신적인 고통과 후유증을 앓게 하는 단점까지 갖고 있다.

2.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베트남 전쟁 참전용사 중에도 고엽제 피해를 당했다는 사람들이 다수 있는데 당시에는 고엽제의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기 전이라서 참전용사들의 상당수가 고엽제에 무방비로 노출되었기 때문이다.[1] 이들 중 일부는 지금도 심각한 피부질환 등으로 정신적인 고통과 후유증을 앓고 있다.

하지만 군사독재정권 시절에는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의 피부병과 각종 후유증이 고엽제 때문이란 게 대한민국에는 알려지지 않았다. 딱히 베트남전 참전 용사들만 따로 모여 만든 단체도 없었으며 대한민국재향군인회 등은 사실상 보수 정권의 어용조직이었고 실제 재향군인들의 권익에는 큰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사이에 호주, 뉴질랜드의 베트남전 참전 퇴역장병들은 대규모 소송 끝에 1984년 미국의 고엽제 생산 제약회사들과 1억 8천만불 규모의 피해자 보상 기금 설치에 합의했는데 이 기금에서 각종 후유증 치료비와 보상금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이 문제가 불거진 것은 민주화 이후 1990년대 들어 해외로 이민한 베트남전 참전용사들이 베트남전 참전자들의 고엽제 피해보상 요구운동을 보면서 자신들도 고엽제 피해자란 걸 깨달으면서부터다. 이런 사람들의 목소리가 언론을 통해 소개되었고 대한민국에도 상당한 수의 고엽제 피해자들이 있다는 게 드러나자 1993년 「고엽제후유의증 환자지원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였으나 정치권의 무관심과 복잡한 행정절차, 비협조적인 군당국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실질적인 피해보상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32만명 중에서 고엽제 피해자로 판정받은 건 고작 2000여명 수준으로 실제 해외참전전우회나 고엽제전우회, 언론에서 추정하는 숫자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에도 고엽제 전우들을 중심으로 모여 결성된 '고엽제 전우회' 등은 미국과 고엽제 제조사 등과 법적 소송을 벌이고 있다. 다만 이 단체는 다른 방향으로 더 유명한데 정치적으로 우익 성향이 매우 강해서 극우적인 행보를 많이 행하고 진보-좌파 인사 및 단체에 대한 공격을 행하기도 해 논란이 크다. 특히 2000년대 초반에 HID전우회와 함께 가스통 시위도 하는 바람에...

그 외에 대한민국에서 1967년부터 1970년 사이에 주한미군이 비무장지대 일대에 대량의 고엽제를 사용했다고 알려졌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진상조사와 피해자 명단 작성도 지지부진하다. 다행히 2015년 1월 「고엽제후유의증 환자지원 등에 관한 법률」개정안이 국회에 통과되면서 해당 시기에 DMZ 일대에서 근무하다가 고엽제 피해를 입은 퇴역장병들도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은 열렸으나 이것도 역시 어른의 사정으로 매우 지지부진하다.

2011년 5월 경상북도 칠곡군경기도 부천시 등에 주둔 중인 주한(駐韓ちゅうかん) 미군부대에 고엽제와 그라목손이 다수 매장되었다는 사실이 전직 주한미군 출신 노병(老兵ろうへい)들에 의해 밝혀지면서 대한민국 정부와 미국 정부가 이에 대한 진상조사를 벌였다.

정작 미국은 베트남 전쟁 참전자들의 후손은 물론 비무장지대 인근에서 근무했던 주한미군들의 가족들한테도 피해보상을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2023년 2월 국가에서 인정하는 고엽제후유증 인정 질병에 방광암 등이 추가되어 20개에서 24개로 늘었다.#

[1] 심지어 조금 센 모기약 정도로 알고 저거 맞으면 모기한테 안 물린다면서 항공기가 고엽제를 살포하면 일부러 가서 맞았다는 황당한 증언도 있으며 한 술 더 떠 물인 줄 알고 그걸로 샤워를 하고 받아먹은 이들도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