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뇌약아 - 나무위키

뇌약아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1권 「전조록일(ぜんちょうろくいち)」
2권 「전조록이(ぜんちょうろく)」
3권 「전조록삼(ぜんちょうろくさん)」
4권 「전조록사(ぜんちょうろくよん)」
5권 「전조록오(ぜんちょうろく)」
6권 「전조록육(ぜんちょうろくろく)」
7권 「전조록칠(ぜんちょうろくなな)」
8권 「전조록팔(ぜんちょうろくはち)」
9권 「전조록구(ぜんちょうろくきゅう)」
10권 「전조록십(ぜんちょうろくじゅう)」
11권 「후조록일(ちょうろくいち)」
12권 「후조록이(ちょうろく)」
[ 펼치기 · 접기 ]
왕미 · 유령 · 장숭 · 유은 · 왕연
진원달 · 왕광 · 복후 · 조염
범륭 · 최유 · 위충 · 동경도
왕육 · 유민원 · 두육
13권 「후조록삼(ちょうろくさん)」
14권 「후조록사(ちょうろくよん)」
15권 「후조록오(ちょうろく)」
16권 「후조록육(ちょうろくろく)」
17권 「후조록칠(ちょうろくなな)」
18권 「후조록팔(ちょうろくはち)」
19권 「후조록구(ちょうろくきゅう)」
20권 「후조록십(ちょうろくじゅう)」
[ 펼치기 · 접기 ]
석조 · 석감(こらえ) · 석생 · 석총
석수 · 석빈 · 석박
21권 「후조록십일(ちょうろくじゅういち)」
22권 「후조록십이(ちょうろくじゅう)」
23권 「전연록일(ぜんつばめろくいち)」
24권 「전연록이(ぜんつばめろく)」
[ 펼치기 · 접기 ]
불도징 · 단도개
도진 · 마유 · 서충
25권 「전연록삼(ぜんつばめろくさん)」
26권 「전연록사(ぜんつばめろくよん)」
27권 「전연록오(ぜんつばめろく)」
28권 「전연록육(ぜんつばめろくろく)」
29권 -2l 「전연록칠(ぜんつばめろくなな)」
30권 「전연록팔(ぜんつばめろくはち)」
31권 「전연록구(ぜんつばめろくきゅう)」
32권 「전연록십(ぜんつばめろくじゅう)」
[ 펼치기 · 접기 ]
배억 · 유수 · 고첨 · 유찬 · 양유
양무 · 봉혁 · 송해 · 한항 · 선우량
고후 · 을일 · 국은 · 장홍
후청 · 한재 · 장포 · 성공도
[ 펼치기 · 접기 ]
이산 · 이적 · 황홍 · 가견 · 모여근
이홍 · 열관 · 황보진 · 양침
공손봉 · 공손영 · 실라등
왕환 · 안굴 · 유락
33권 「전진록일(ぜんしんろくいち)」
34권 「전진록이(ぜんしんろく)」
35권 「전진록삼(ぜんしんろくさん)」
36권 「전진록사(ぜんしんろくよん)」
37권 「전진록오(ぜんしんろく)」
38권 「전진록육(ぜんしんろくろく)」
39권 「전진록칠(ぜんしんろくなな)」
40권 「전진록팔(ぜんしんろくはち)」
41권 「전진록구(ぜんしんろくきゅう)」
42권 「전진록십(ぜんしんろくじゅう)」
43권 「후연록일(こうつばめろくいち)」
44권 「후연록이(こうつばめろく)」
[ 펼치기 · 접기 ]
부웅 · 부청 · 부황미 · 부법
부융 · 부랑 · 부굉 · 부휘
부림 · 부선 · 부아 · 부락
45권 「후연록삼(こうつばめろくさん)」
46권 「후연록사(こうつばめろくよん)」
47권 「후연록오(こうつばめろく)」
48권 「후연록육(こうつばめろくろく)」
49권 「후연록칠(こうつばめろくなな)」
50권 「후연록팔(こうつばめろくはち)」
51권 「후연록구(こうつばめろくきゅう)」
52권 「후연록십(こうつばめろくじゅう)」
[ 펼치기 · 접기 ]
광조 · 조추 · 수수 · 고호 · 최음
최령 · 최모 · 봉의 · 봉개 · 봉형
송은 · 조사 · 이선 · 굴준
가이 · 장포 · 여숭 · 평시
53권 「후진록일(しんろくいち)」
54권 「후진록이(しんろく)」
55권 「후진록삼(しんろくさん)」
56권 「후진록사(しんろくよん)」
57권 「후진록오(しんろく)」
58권 「후진록육(しんろくろく)」
59권 「후진록칠(しんろくなな)」
60권 「후진록팔(しんろくはち)」
[ 펼치기 · 접기 ]
요숭 · 요서 · 요석덕 · 요소
요현 · 요충 · 요상 · 요옹
요화도 · 요황미 · 요황
61권 「후진록구(しんろくきゅう)」
62권 「후진록십(しんろくじゅう)」
63권 「남연록일(みなみつばめろくいち)」
64권 「남연록이(みなみつばめろく)」
65권 「남연록삼(みなみつばめろくさん)」
66권 「하록일(なつろくいち)」
67권 「하록이(なつろく)」
68권 「하록삼(なつろくさん)」
[ 펼치기 · 접기 ]
모용종 · 봉부 · 봉숭 · 두홍 · 왕시 · 장영 · 왕란 · 농세 · 환창 · 장화 · 장순 · 유창 · 부융 · 이근 · 왕뢰 · 장행 · 냉평 · 고궤 · 왕경휘
69권 「하록사(なつろくよん)」
70권 「전량록일(ぜんりょうろくいち)」
71권 「전량록이(ぜんりょうろく)」
72권 「전량록삼(ぜんりょうろくさん)」
[ 펼치기 · 접기 ]
호의주 · 왕매덕 · 조일
위현 · 장연
73권 「전량록사(ぜんりょうろくよん)」
74권 「전량록오(ぜんりょうろく)」
75권 「전량록육(ぜんりょうろくろく)」
76권 「촉록일(しょくろくいち)」
[ 펼치기 · 접기 ]
장숙 · 장관 · 송배 · 송혼 · 송징 · 송구 · 송섬 · 사원 · 사승 · 사위 · 사소 · 신반 · 신빙 · 신리 · 강경 · 왕횡 · 장세도 · 삭부 · 삭습 · 삭승 · 삭포 · 삭담 · 삭수 · 삭충 · 음담 · 장자 · 장빈 · 장식(うえ) · 이감 · 상거 · 마급 · 장충 · 동손 · 차제 · 사애 · 장기 · 곽하 · 기가 · 장존
77권 「촉록이(しょくろく)」
78권 「촉록삼(しょくろくさん)」
79권 「촉록사(しょくろくよん)」
80권 「촉록오(しょくろく)」
[ 펼치기 · 접기 ]
이보 · 이상 · 이양 · 이탕 · 이시
이함 · 이치 · 이오 · 이안 · 이리
나씨 · 임씨 · 염씨
[ 펼치기 · 접기 ]
염욱 · 윤봉 · 왕재 · 이쇠 · 범장생
범분 · 양포 · 초수 · 공장
장보 · 이홍 · 이고 · 유현
81권 「후량록일(こうりょうろくいち)」
82권 「후량록이(こうりょうろく)」
83권 「후량록삼(こうりょうろくさん)」
84권 「후량록사(こうりょうろくよん)」
[ 펼치기 · 접기 ]
여위 · 여훈 · 곽향 · 두진 · 장자 · 임사 · 두구 · 후근 · 제종 · 송흠 · 종섭
85권 「서진록일(西にししんろくいち)」
86권 「서진록이(西にししんろく)」
87권 「서진록삼(西にししんろくさん)」
88권 「남량록일(みなみりょうろくいち)」
[ 펼치기 · 접기 ]
걸복익주 · 걸복담달 · 하휘 · 상원 · 적온 · 초유 · 신진
89권 「남량록이(みなみりょうろく)」
90권 「남량록삼(みなみりょうろくさん)」
91권 「서량록일(西にしりょうろくいち)」
92권 「서량록이(西にしりょうろく)」
[ 펼치기 · 접기 ]
독발문지 · 독발번니 · 독발파강 · 양환 · 종창 · 맹위 · 담구 · 경보 · 음리록 · 월현정
93권 「서량록삼(西にしりょうろくさん)」
94권 「북량록일(きたりょうろくいち)」
95권 「북량록이(きたりょうろく)」
96권 「북량록삼(きたりょうろくさん)」
[ 펼치기 · 접기 ]
이순 · 이번 · 송요 · 유병 · 당요 · 신연 · 음중달
97권 「북량록사(きたりょうろくよん)」
98권 「북연록일(きたつばめろくいち)」
99권 「북연록이(きたつばめろく)」
100권 「북연록삼(きたつばめろくさん)」
[ 펼치기 · 접기 ]
담무참 · 도진 · 마권 · 양중용 · 장목 · 장담(たん) · 외인 · 유병 · 장담(じん) · 함인 · 호수 · 종흠 · 조유 · 손통 · 왕악 · 삭창 · 음흥 · 녹수흥 · 조비
[ 펼치기 · 접기 ]
풍소불 · 풍만니 · 풍유진 · 풍숭 · 마불근 · 손호 · 요소 · 유연곡률 · 무은제 · 두표 · 이숭 · 유유 · 고책 · 손경인
1. 개요2. 생애

1. 개요[편집]

かみなりじゃく
(? ~ 355)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진주(しんしゅう) 남안군(みなみやすぐん) 일대에 존재하던 강족 세력 추장 중 한 명.

2. 생애[편집]

영화 6년(350년) 정월, 본래 포홍을 따르던 뇌약아는 포홍이 대장군, 대선우, 삼진왕(さんしんおう)을 자칭하자 보국장군에 임명되었다.

황시 원년(351년) 정월, 독살당한 부홍의 후사를 이은 세자 부건이 관중(せきあたる) 일대를 장악하고, 천왕(天王てんのう), 대선우로 즉위하여 국호를 '대진(大秦たいしん)'이라 하면서 전진을 건국하였다. 이때 뇌약아는 태위에 제수받았다.

황시 2년(352년) 8월, 태위에서 대사마로 옮겨졌다. 호시탐탐 북벌할 기회만 노리던 동진의 중군장군 은호는 몰래 뇌약아와 우장사 양안(りょうやすし)에게 사람을 보내 경명제 부건을 암살하면 관우(せきみぎ) 일대의 통치권을 인정해주겠다 하였는데, 뇌약아는 이를 짐짓 승낙하면서 동진군이 오면 부건을 죽이고 호응할 것을 약속하였다.

황시 3년(353년) 10월, 전진의 사공 장우(ちょうぐう)가 반란을 일으키고 낙양을 지키던 보국장군 부황미가 성을 버린 채 도망쳤다는 보고를 접한 은호는 뇌약아 등이 계획에 성공한 것이라 생각하고, 수춘(ことぶきはる)에서 70,000 대군을 일으켜 낙양으로 진격하였다. 하지만 도중에 선봉에 섰던 강족 요양이 반란을 일으켜 은호의 본대를 공격하였고, 은호는 산상(山桑やまくわ)에서 대패하여 물러났다. 은호와 요양의 대립으로써 전진은 어부지리를 취하게 되었는데, 이는 모두 뇌약아의 계략이었다고 한다.

황시 4년(354년) 4월, 동진의 대사마 환온이 북벌하여 도성인 장안까지 파죽지세로 밀고 올라오자, 뇌약아는 태자 부장(苻萇)과 함께 정예병 30,000명으로 장안성 남쪽에서 환온을 막았다.

황시 4년(354년) 6월, 환온이 북벌에 실패하고 돌아가자, 뇌약아는 환온을 막은 공로가 있어 승상으로 승진하였다.

황시 5년(355년) 6월, 병에 걸려 위독해진 경명제 부건은 뇌약아 등을 불러 태자 부생을 보정해달라는 유조(のこみことのり)를 내리고 얼마 안 지나서 붕어하였다. 성품이 강직했던 뇌약아는 상서좌복야 조소(ちょう韶), 상서우복야 동영이 황제 부생의 총애를 등에 업고 간사한 짓을 일삼으며 정치를 어지럽히는 것을 보고, 조회에 참석할 때마다 모두의 앞에서 그들의 행동을 지적하였고 항상 이를 갈 정도로 혐오하였다.

수광 원년(355년) 12월, 결국 조소와 동영이 황제 부생에게 뇌약아를 참소하였고, 부생은 그들의 말을 믿어 뇌약아와 그 아들 9명, 손자 27명을 붙잡아 주살하였다. 전진이 세울 때 많은 공적을 세웠던 개국공신이자, 신망 높은 강족의 추장인 뇌약아가 억울하게 살해당하니, 여러 강족 부락들이 전진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