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견이
최근 수정 시각:
대부분의 동양 고전에서 언급되는 '두견이'에 대한 내용은 소쩍새 문서 참고하십시오.
두견이(두견, 두견새) | |
Cuculus poliocephalus Latham, 1790 | |
분류 | |
동물계(Animalia) | |
척삭동물문(Chordata) | |
조강(Aves) |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뻐꾸기목(Cuculiformes) | |
뻐꾸기과(Cuculidae) | |
아과 | 뻐꾸기아과(Cuculinae) |
뻐꾸기족(Cuculini) | |
뻐꾸기속(Cuculus) | |
두견이(C. poliocephalus) | |
멸종위기등급 | |
뻐꾸기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종명인 poliocephalus는 그리스어로 '회색 머리'라는 뜻이며, 한자로는 杜鵑 이라고 적는다. 고전 시가에 한 번씩은 나오는 자규(子規 )의 정체가 바로 두견새다. 우리나라도 접동새라는 표현이 있었고 고려가요의 정과정에서도 등장한다.
꽤 넓은 지역에서 사는 새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아프리카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세이셸, 파키스탄 등에서도 발견된다고. 한국에서는 2005년부터 천연기념물 제447호로 등록되어있다. 가까운 친척인 뻐꾸기와 유사하게 탁란을 한다. 주로 휘파람새, 동양개개비같은 참새목 새한테 탁란한다.
뻐꾸기의 한 종류로 여겨질 정도로 뻐꾸기와 닮은 새로, 조류도감 등지에서나 언급되는 등 인지도는 그다지 없는 새이다. 뻐꾸기와 두견이 모두 두견이과인데, 두견이과는 두견이목(Cuculiformes)을 이루는 단일 과 (두견이 과) 중의 하나이며 검은등뻐꾸기나 그냥 뻐꾸기, 두견이 등을 포함하는 과로 일반적으로 칭하는 '뻐꾸기'는 뻐꾸기 종을 뜻한다. 두견이과, 두견이목은 상황에 따라 '뻐꾸기과', '뻐꾸기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종 단위에서는 뻐꾸기와 두견이는 다른 새다.
꽤 넓은 지역에서 사는 새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아프리카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세이셸, 파키스탄 등에서도 발견된다고. 한국에서는 2005년부터 천연기념물 제447호로 등록되어있다. 가까운 친척인 뻐꾸기와 유사하게 탁란을 한다. 주로 휘파람새, 동양개개비같은 참새목 새한테 탁란한다.
뻐꾸기의 한 종류로 여겨질 정도로 뻐꾸기와 닮은 새로, 조류도감 등지에서나 언급되는 등 인지도는 그다지 없는 새이다. 뻐꾸기와 두견이 모두 두견이과인데, 두견이과는 두견이목(Cuculiformes)을 이루는 단일 과 (두견이 과) 중의 하나이며 검은등뻐꾸기나 그냥 뻐꾸기, 두견이 등을 포함하는 과로 일반적으로 칭하는 '뻐꾸기'는 뻐꾸기 종을 뜻한다. 두견이과, 두견이목은 상황에 따라 '뻐꾸기과', '뻐꾸기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종 단위에서는 뻐꾸기와 두견이는 다른 새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