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원산급 기뢰부설함 - 나무위키

원산급 기뢰부설함

최근 수정 시각:
2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SS
DDG
DDH
DD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FFG
FF
PF
PCC
경비함정
(PG, PCS, PC, PCE)
PKG
PGM
PKMM
PKM
PKMR
PB
SB
FB
PK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PT
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LSM
LSMR
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기뢰부설함
풍도·울릉R
원산, 남포
소해함
소해정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군수지원함
수상함구조함
잠수함구조함
훈련함
ATH
정보함
AGS
잠수정모함
수리함
ARL
수송함
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유조함
YO
AO
AOR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예인함
ATA
인왕R, 용문R, 도봉R
전투근무지원정
전투정
근무지원정
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
단정, 주정
유인기
타기관 함정
육군, 국과연
육군경비정, 선진·R, 지심, 미래, 청해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2※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분류:둘러보기 틀/한국의 무기체계|한국군의 운용장비]] | [[틀:해상병기 둘러보기|[[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width=20]] 해상병기]]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기뢰전함
기뢰탐색함
소해함
기뢰부설함

ROKN Wonsan-Clas...
attachment/원산급 기...
초도함 원산함(MLS-560)[1]

1. 개요2. 동급함3. 사업 배경4. 제원 및 특징5. MLS-II(차기 기뢰부설함)6. LSML-550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원산함(MLS-560)은 대한민국 해군의 첫 국산 기뢰부설함(MLS: Mine Laying Ship)으로, 기뢰지휘함 및 평시 훈련함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2]

1998년 2월 취역한 원산함은 길이 104m, 경하 배수량 2,500톤 규모로, 울산급 호위함(FF)보다 크고 무장은 동해급 초계함·포항급 초계함(PCC)에 버금간다.[3] 함미에 기뢰부설 장치를 갖춰 수백 발의 기뢰를 설치할 수 있고, 기뢰탐색용 소나(SONAR)와 각종 기뢰제거 장비도 탑재했다. 또한 대형 헬기가 이·착함할 수 있는 헬기갑판을 갖춰, 미합중국 해군의 기뢰제거용 대형 헬기(MH-53)가 뜨고 내릴 수 있다.[4]

2. 동급함[편집]

함종
선체번호
함명
기공
진수
인수
취역
건조사
비고
동일 이름의
퇴역 함정
MLS-560
원산
-
운용 중
AKL-903

  • 기뢰부설함의 경우 함명을 6.25 전쟁대한민국 해군기뢰전을 수행한 북한의 지역 으로 붙인다.# 원산함(MLS-560)은 수송함 원산(AKL-903)에 이어 원산시를 함명으로 사용한 두 번째 함정이다. 원산함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드물게 0번 끝자리 선체번호(Hull Number)를 가지는 함정으로, 중형상륙함 풍도함(LSM 608)이 기뢰부설함으로 함종 전환하면서 선체번호가 550으로 바뀐 이후, 기뢰부설함은 '0'으로 끝나는 선체번호를 갖는다.[5]
  • 원산함(MLS-560)은 2004년 순항훈련에 참가했으며, 2014년 서태평양기뢰대항전(MCMEX : Mine Counter Measure Exercise)에 참가했다.#

3. 사업 배경[편집]

기뢰는 수상함이나 항공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수심에 부설할 수 있어서 항만이나 해역을 봉쇄하거나 방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가장 효과적인 무기체계이다. 전쟁 발생 초기에는 적의 항만을 봉쇄하고 증원세력 및 병참선의 항만 출입을 차단하거나 방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지에 다량의 기뢰를 통해 효과적인 기뢰전을 수립할 수 있는 기뢰부설함이 필요하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기뢰부설만을 목적으로 한 함정은 한정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훈련함의 기능을 일부 부여하여 순항 훈련 등을 위한 훈련함으로 활용하고 전시에는 기뢰전대의 기함으로 운용하도록 계획했다. 소해용으로 헬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기뢰전대에 대한 제한적인 군수지원 기능을 갖는 다목적 함정으로 검토되었다.

1991년 현대중공업과 기본설계 계약 후 기뢰부설함 기본설계를 수행했으며 1994년 현대중공업과 상세설계 및 함 건조계약을 체결하고 건조를 시작, 1997년 해군에 인도되어 전력화되었다.

김효철 외, 『한국의 배』 (지성사, 2006).출처

대한민국 해군은 1950년대 후반부터 기뢰를 제거하는 소해(うみ) 전력 확충에 심혈을 기울였다. 금산급과 남양급 소해함(MSC)을 미국에서 도입했으며, 1980~1990년대에는 국산 강경급 기뢰탐색함(MHC)과 양양급 소해함(MSH)을 전력화했다.

대한민국 해군은 기뢰 부설 전력 확보를 위해 미국에서 인수한 중형상륙함(LSM)인 풍도함(LSM 608/LSML 608)과 울릉함(LSM 662/LSML 550)을 기뢰부설함으로 개조·운용했다. 그러나 기뢰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1990년대 초반 중·소형 기뢰전 함정의 기함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뢰부설함 건조를 추진했고, 1991년 10월 기뢰부설함 기본설계를 착수했다. 1994년 10월 HD현대중공업과 상세설계 및 함 건조 계약을 체결한 뒤 1996년 9월 1번함을 진수하고, 국내에서 첫 번째로 건조한 기뢰부설함을 원산함(MLS-560)으로 명명했다.

원산급 기뢰부설함은 계획상 3척이 건조될 예정이었지만, 1997년 외환위기의 영향으로 1척만 건조됐다.#


4. 제원 및 특징[편집]

원산함
함종
기뢰부설함(MLS: Mine Laying Ship)
이전 함급
울릉함
후속 함급
경하
2,500톤
만재
3,480톤
길이
103.8m
15.2m
3.4m
추진체계
추진방식
기관
SEMT 필스틱[6] 12PA6 디젤 엔진 4기
(각 4,300마력)
추진
프로펠러 샤프트 2기
최대속력
22노트
항속거리
15노트 (순항시 8,600km)
승조원
약 150명
2차원 대공
시그널 DA-05 E/F밴드 2차원 중거리 대공 레이다
대수상
대우 SPS-95K C밴드 대수상 레이다
사격통제
삼성 ST-1802 사격통제/추적 레이다
항법
AN/SPS-10C 항법 레이다
사통장치
DST WSA-423 사격통제장치
시그널 PHS-32 선저 소나
대응 장비
디코이
새겜 DAGAIE 채프/플레어 발사기
금성 ULQ-11K ECM/ESM 시트
무장
함포
부포
Mk.32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Mk.46 경어뢰 또는 청상어 경어뢰 ?발
후방 기뢰 투하 레일 2기, K-701 / K-739 기뢰 300~500발
항공 시설
MH-53 소해 헬기 1기 수용이 가능한 비행갑판(격납고 없음)

원산급 기뢰부설함의 무장은 오토멜라라 76mm 함포 1문과 노봉 40mm 쌍열 기관포. 2문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어뢰 발사관도 갖추고 있어 기뢰부설함으로써는 이례적인 초계함 정도의 중무장이라 할 수 있다. 영국제 기뢰부설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통상적인 기뢰부설량은 500여 발 정도. 필요 시 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독도급 대형수송함의 초도함인 독도함(LPH-6111)이 취역하기 전까지는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 중에서 가장 넓은 비행 갑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MH-53급의 헬기를 운용할 수 있으며 헬기를 이용한 소해작전 및 기뢰부설작전도 가능하다.[7]
/image/011/2015/...
2015년 5월 27일 후속 기뢰부설함인 남포급 기뢰부설함의 초도함인 남포함(MLS-570)을 HD현대중공업에서 진수하였다. 20년 만에 건조되는 후속함인 만큼 함체 디자인이나 76mm 함포 포탑 등이 스텔스성이 높도록 변경되었다. 선체번호는 원산함(MLS-560)의 후속함이라 MLS-570으로 부여받았다.

6. LSML-550[편집]

external/www.nav...
풍도함의 미합중국 해군 시절 모습(USS LSM-54)

대한민국 해군은 원산함 기뢰부설함 이전에는 중형 상륙함(LSM)인 풍도함(LSM-608)과 울릉함(LSM-613/662)을 개장해 기뢰부설함(LSML: Landing Ship Medium Layer)로 운용했다. 70년대 먼저 기뢰부설함으로 함종 전환한 풍도함이 1984년 퇴역하고, 대신에 울릉함이 함종 전환하면서 같은 선체번호를 이어받았다.

7. 기타[편집]

  • 비슷한 함정으로는 일본 해상자위대우라가급 소해모함이 있다.[8] 소해모함이라고는 하지만 기뢰 부설장치를 가지고 있고, 원산함도 기뢰함이기는 하지만 대형소해헬기를 탑재하기 위한 넓은 헬기갑판을 가지고 있다.(운용목적이나 방법은 판이하겠지만 말이다.)[9] 다만 우라가급 소해모함은 만재 배수량 6900톤 정도로 체급이 원산급 기뢰부설함의 2배가 넘는 거함이며 배 자체로도 훨씬 더 체계적인 소해장비를 갖추고 있다.[10]
  • 본업보다 해군교육사령부실습전대에 소속되어 초급반 간부들 함정 실습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훨씬 많아 대형함 중에선 상당히 편한 축에 들어간다. 때문에 끗발 찬 CPO들이 육상에 있자니 후배들 눈치보여서 배는 타야겠고, 그렇다고 전방가긴 싫을 때 타는 배라고 한다. 그래서 CPO들 기수가 다들 엄청 높다 카더라.
  • 원산급 기뢰부설함과 후속함인 남포급 기뢰부설함의 함명을 보면 모두 북한 지역의 지명인[11]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해군의 소해작전지역을 기념하기 위함이다. 더구나 대한민국 해군은 이전에 상륙지원함 진남포함(진남포는 남포시의 옛이름으로 1952년에 개명)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남포함(MLS-570)의 진수식에 이북5도위원장과 이북5도민회장 등을 초청하여 참석시킨 점은 대한민국 해군이 단순히 소해작전기념을 넘어서서 향후 통일한국의 해군으로 기능하고 통일과정에서 외교주도권에 힘을 보태기 위한 행동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즉, 단순히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구절을 넘어서서 실질적으로 대한민국 국군이 북한지역을 실제영토로 인식하고 함명으로 채택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은, 북한 지역 역시 대한민국 영토임을 알릴 수 있는 좋은 수단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행동이 필요한 것은 대한민숙 헌법으로 대한민국 영토가 한반도와 부속도서라고 해도 국제적인 인정은 전혀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가령 일본은 휴전선 이북지역이 대한민국 영토가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실제로 2015년 10월에 개최된 한일국방장관회담에서 일본 방위대신이 해당 발언을 해서 주목받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향후 남북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헌법상의 구절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이 휴전선 이북지역의 실효지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인식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고 인식시켜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북한 지명 선정은 소해작전기념을 넘어선 그 이상의 의미도 충분히 내포할 수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12]

8. 관련 문서[편집]

[1] 첫번째 사진의 소해헬기는 미군MH-53이다.[2] 전용 훈련함 건조가 승인 되지 않아 원산함(MLS-560)에 훈련함 기능을 추가했다.[3] 유사시 적의 해안포 사거리 내에서 기뢰를 제거하고, 기뢰전 지휘함으로 소해함을 엄호해야 하는 이유에서다.[4] 다만 격납고가 없어서 본격적인 운용은 불가능하다.[5]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6.25 전쟁 이후 헐넘버 끝자리에 0과 4는 잘 쓰지 않는데, 4는 6.25 전쟁 중 지리산함 (PC-704)이 기뢰에 접촉, 침몰하면서 사용을 피하고, 0은 예비 번호로 남겨두었음 (6.25 전쟁 이후 김포함(MSC 520), 기린함(LSM 610), 거진함(PCEC 50), 다도해함(ASL-50) 등이 끝자리 0을 사용).[6] SEMT Pielstick[7] 한 가지 문제가 있다면 그 소해 헬기가 대한민국 국군에는 없다는 점. 이 또한 예산상의 문제이다.[8] 계획자체는 원산급 기뢰부설함이 살짝 더 빠른 편인데 취역은 거의 비슷하다.[9] 일본 해상자위대는 수비적인 소해모함으로 이름을 정한 것이고 우리는 좀 더 공세적인 이름을 취했을 가능성도 있다.[10] 헬기 역시도 이쪽 업계에서 AW101 멀린과 더불어 최고봉인 MH-53를 운용한다.[11] 북한원산시남포시[12] 대만도 비슷한 이유로 함명들을 본토의 지명에서 따와 짓는 경우가 많다. 진장급 초계함이나 캉딩급 호위함이 그런 사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