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세복
최근 수정 시각:
본명 | 윤세린( |
자 | 상원(庠元) |
단호 | 단애( |
출생 | |
사망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58호 |
본관 | |
가족 | |
서훈 |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1881년 3월 29일 경상도 밀양도호부 부북면 연포리(現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무연리 연포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밀양 신창소학교(新 昌 小學校 )와 대구 협성중학교(協成 中學校 ) 교사를 지냈다. 1910년 상경, 대종교에 입교한 후, 안희제(安 熙濟)·서상일(徐 相 日 )·신성모(申 性 模 ) 등과 대동청년당(大東 靑年 黨 )을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1911년 대종교의 시교사(葹敎師 )로 임명되자 가산을 정리하여 중국으로 갔다. 환런현[桓仁縣 ]에 동창학교(東 昌 學校 ), 마오쑹현[茂松 縣 ]에 백산학교(白山 學校 ), 닝안[寧 安 ]에 대종학원(大 倧學園 ) 등을 설립하여 5년간 교포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1916년 마오쑹현 등 여러 곳에 교당을 설립, 7,000여 명의 교인을 모아 시교(示敎 ) 겸 애국정신을 함양하는 한편, 흥업단(興業 團 )·광정단(光正 團 )·독립단 등을 조직, 독립운동에 힘썼다. 또한 창바이[長 白 ] 등지에서 포수단(砲手 團 )을 조직, 홍범도(洪 範 圖 )·조맹선(趙 孟 善 ) 등과 연합전선을 펴 일본군에 항전하였다. 1923년 제2대 교주 김헌(金 獻 )의 유언으로 대종교 제3대 교주가 되었다. 1942년 교단 간부들과 함께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무기형을 선고받았다. 8.15 광복으로 석방, 1946년 귀국하여 교단을 정비하고 민주체제로 전환하였다. 1960년 2월 13일 향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16년 마오쑹현 등 여러 곳에 교당을 설립, 7,000여 명의 교인을 모아 시교(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