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윤세복 - 나무위키

윤세복

최근 수정 시각: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역사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윤세복
いんふく
윤세복
본명
윤세린(いん麟)
상원(庠元)
단호
단애(まゆみ涯)
출생
경상도 밀양도호부 부북면 연포리
(げん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무연리 연포마을)[1]
사망
1960년 2월 13일 (향년 78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당주동 대종교총본사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58호
본관
가족
형 윤세용, 6촌 동생 윤세주
아들 윤홍선(いんひろしぜん)[3]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대종교 3대 교주.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윤세주의 6촌 형이다.

1910년 대종교에 입교하여 대동청년당을 조직하고, 1911년 중국으로 가서 학교 및 교당을 설립하여 독립사상을 고취하하는 한편, 독립단 등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에도 힘썼으며, 포수단을 조직하여 일본군에 항전하기도 하였다.

2. 생애[편집]

1881년 3월 29일 경상도 밀양도호부 부북면 연포리(げん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무연리 연포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밀양 신창소학교(あたらしあきら小學校しょうがっこう)와 대구 협성중학교(協成きょうせい中學校ちゅうがっこう) 교사를 지냈다. 1910년 상경, 대종교에 입교한 후, 안희제(やす熙濟)·서상일(じょしょう신성모(さるせい) 등과 대동청년당(大東だいとう靑年せいねんとう)을 조직하여 활동하다가, 1911년 대종교의 시교사(葹敎)로 임명되자 가산을 정리하여 중국으로 갔다. 환런현[桓仁けん]에 동창학교(あずまあきら學校がっこう), 마오쑹현[茂松しげまつけん]에 백산학교(白山はくさん學校がっこう), 닝안[やすしやす]에 대종학원(だい倧學えん) 등을 설립하여 5년간 교포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1916년 마오쑹현 등 여러 곳에 교당을 설립, 7,000여 명의 교인을 모아 시교(示敎しきょう) 겸 애국정신을 함양하는 한편, 흥업단(興業こうぎょうだん)·광정단(光正みつまさだん)·독립단 등을 조직, 독립운동에 힘썼다. 또한 창바이[ちょうしろ] 등지에서 포수단(砲手ほうしゅだん)을 조직, 홍범도(ひろしはん조맹선(ちょうはじめぜん) 등과 연합전선을 펴 일본군에 항전하였다. 1923년 제2대 교주 김헌(かねけんじ)의 유언으로 대종교 제3대 교주가 되었다. 1942년 교단 간부들과 함께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무기형을 선고받았다. 8.15 광복으로 석방, 1946년 귀국하여 교단을 정비하고 민주체제로 전환하였다. 1960년 2월 13일 향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 무연리 318번지에 윤세복의 생가터가 있다.#[2] 대사성공파(だいつかさしげるおおやけ)-밀양 문중 25세 세() 항렬.[3] 1896년생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