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행정
최근 수정 시각:
분류
상위 문서: 정읍시
현재의 정읍시는 구한말 정읍군, 태인군, 고부군의 세 개 군이 합쳐진 지역이다. 지금은 부안군 백산면이 된 지역도 옛 고부군의 영역이다.
정읍군 | 동 지역, 북면, 입암면 |
태인군 | 신태인읍, 감곡면, 산내면, 산외면, 옹동면, 칠보면, 태인면 |
고부군 | 고부면, 덕천면, 소성면, 영원면, 이평면, 정우면 |
관할 법정동은 금붕동·내장동·부전동·송산동·상동(일부)·쌍암동이다. 인구는 20,739명[A]으로 정읍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원래 상동은 정읍군 정주읍, 나머지는 정읍군 내장면 소속이었으나 상동은 1981년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하면서 동이 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1983년에 정주시로 편입되어 내장동으로 편성되었다가, 1998년에 이 둘이 합병되었다. 행정동 중에서 두 번째로 넓다(45.17㎢).
내장산공용터미널, 정읍시노인복지관, 내장사, 정읍시립박물관, 정읍시립중앙도서관,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저수지가 있다. 순창군 복흥면, 쌍치면과 접하며 29번 국도 개운치터널을 통해 넘어갈 수 있다. 인구는 정읍시내인 상동에 대부분 몰려 있고 내장산 쪽 주민 편의를 위해 주민센터 내장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학교는 동신초, 한솔초, 학산중, 정읍여고, 정주고가 있다.
원래 상동은 정읍군 정주읍, 나머지는 정읍군 내장면 소속이었으나 상동은 1981년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하면서 동이 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1983년에 정주시로 편입되어 내장동으로 편성되었다가, 1998년에 이 둘이 합병되었다. 행정동 중에서 두 번째로 넓다(45.17㎢).
내장산공용터미널, 정읍시노인복지관, 내장사, 정읍시립박물관, 정읍시립중앙도서관,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저수지가 있다. 순창군 복흥면, 쌍치면과 접하며 29번 국도 개운치터널을 통해 넘어갈 수 있다. 인구는 정읍시내인 상동에 대부분 몰려 있고 내장산 쪽 주민 편의를 위해 주민센터 내장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학교는 동신초, 한솔초, 학산중, 정읍여고, 정주고가 있다.
관할 법정동은 과교동·교암동·삼산동·상평동·신월동·신정동·용산동·진산동·하모동이다. 인구는 4,182명.[A]
행정동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다(46.16㎢). 상평동, 삼산동, 과교동, 진산동만 원래부터 정주읍이었고, 교암동, 신월동, 용산동은 내장면이었다가 1983년에, 신정동은 입암면이었다가 1989년에 정주시에 편입됐다.
정읍공설운동장이 있다. 신정동에는 진주 하씨 집성촌이 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정읍첨단과학산업단지가 조성 중인 덕분에 인구가 조금 늘고 있다. 학교는 교암초, 서신초와 특수학교인 다솜학교가 있다.
행정동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다(46.16㎢). 상평동, 삼산동, 과교동, 진산동만 원래부터 정주읍이었고, 교암동, 신월동, 용산동은 내장면이었다가 1983년에, 신정동은 입암면이었다가 1989년에 정주시에 편입됐다.
정읍공설운동장이 있다. 신정동에는 진주 하씨 집성촌이 있으며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정읍첨단과학산업단지가 조성 중인 덕분에 인구가 조금 늘고 있다. 학교는 교암초, 서신초와 특수학교인 다솜학교가 있다.
관할 법정동은 수성동·하북동이다. 인구는 16,327명.[A]
주공아파트1~3차, 부영아파트1~2차, 정읍시청, 정읍시보건소, 정읍소방서, 정읍교육지원청, 정읍세무서,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전주지방검찰청 정읍지청, 정읍사회복지관, 정읍학생복지회관, CGV 정읍, 정읍제2산업단지가 있다. 중앙로 상권도 수성동에 해당된다. 정읍초등학교 바로 위의 정읍제2산업단지를 넘으면 박동교차로 쪽을 통해 북면과 접한다. 학교는 수성초, 영산초, 정읍초, 서영여고, 정읍제일고가 있다.
주공아파트1~3차, 부영아파트1~2차, 정읍시청, 정읍시보건소, 정읍소방서, 정읍교육지원청, 정읍세무서,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전주지방검찰청 정읍지청, 정읍사회복지관, 정읍학생복지회관, CGV 정읍, 정읍제2산업단지가 있다. 중앙로 상권도 수성동에 해당된다. 정읍초등학교 바로 위의 정읍제2산업단지를 넘으면 박동교차로 쪽을 통해 북면과 접한다. 학교는 수성초, 영산초, 정읍초, 서영여고, 정읍제일고가 있다.
관할 법정동은 시기동(일부)이다. 인구는 3,049명.[A]
수성동·연지동·상동·장명동과 접하며, 정주교·초산교 바로 남쪽으로 초산동이 보인다. 중앙로 상권에 해당되는데, 음식점보다는 소매점이나 의원이 많다. 시기성당, 샘고을시장이 있다.
수성동·연지동·상동·장명동과 접하며, 정주교·초산교 바로 남쪽으로 초산동이 보인다. 중앙로 상권에 해당되는데, 음식점보다는 소매점이나 의원이 많다. 시기성당, 샘고을시장이 있다.
읍소재지는 신태인리이고 정읍시 읍면 중 인구가 가장 많다. 1914년 발족 당시에는 용북면이었으며 1935년에 신태인면으로 개칭되었다. 1940년에는 읍으로 승격되었다.
정읍, 김제, 부안, 태인을 연결하는 중간 지점으로 교통의 요지로 발달하여 한때 인구가 2만 5천이 넘었던 적이 있었으나, 농촌의 붕괴 및 지역 불균형 발전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0년을 전후로 인구 1만 선마저 붕괴되었다.
지금은 신태인농공단지와 신용전문농공단지가 지역의 버팀목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호남선 신태인역이 있으며, 신태인버스터미널에서 전주, 광주, 부안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이전에는 김제, 익산, 군산으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도 있었으나 철도에 밀려 폐지되었다. 30번 국도가 통과하며, 읍의 서북부인 화호리에서 29번 국도와 연결된다. 29번 국도는 서쪽으로는 부량면을 거쳐 부안군 백산면으로, 북쪽으로는 부량면에서 김제시 방향으로 이어진다. 학교는 신태인초, 신태인중, 왕신여중, 신태인고, 왕신여고, 인상고가 있다.
정읍, 김제, 부안, 태인을 연결하는 중간 지점으로 교통의 요지로 발달하여 한때 인구가 2만 5천이 넘었던 적이 있었으나, 농촌의 붕괴 및 지역 불균형 발전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0년을 전후로 인구 1만 선마저 붕괴되었다.
지금은 신태인농공단지와 신용전문농공단지가 지역의 버팀목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호남선 신태인역이 있으며, 신태인버스터미널에서 전주, 광주, 부안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이전에는 김제, 익산, 군산으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도 있었으나 철도에 밀려 폐지되었다. 30번 국도가 통과하며, 읍의 서북부인 화호리에서 29번 국도와 연결된다. 29번 국도는 서쪽으로는 부량면을 거쳐 부안군 백산면으로, 북쪽으로는 부량면에서 김제시 방향으로 이어진다. 학교는 신태인초, 신태인중, 왕신여중, 신태인고, 왕신여고, 인상고가 있다.
면소재지는 고부리다. 호남선 철도(또한 목포-군산간 서해안선철도 고부면 경유 조차 되지 못했다.)가 경유하지 못하여 지금은 한적한 시골 동네로 전락하였지만, 한 세기 전만 하더라도 전라북도에서 전주, 남원에 버금갔던 고부군의 중심지였다. 곰소만(또는 줄포만)에서 백운리간 거리는 약:5㎞로, 이에 정읍시는 동해안의 함경남도 고원군과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처럼 바다를 접하지 않은 시군단위 지역 중에서는 바다와 가장 가깝다. 예전엔 구 고부군 지역이 조선시대까지는 바다에 접하고 있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이전까지 그림대로 해안선이 접해 있었다.
동학 농민 혁명의 진원지로서 관련 유적이 많이 남아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의외로 동학 관련 유적지는 별로 남아 있지 않아서 고부읍성 복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작 고부초등학교[15] 옆 고부향교나 사발통문이 발견된 신중리 주산마을 정도. 29번 국도가 통과한다. 부안군 줄포면, 고창군 성내면과 접한다. 학교는 고부초, 고부중이 있다.
조선시대 이전까지 그림대로 해안선이 접해 있었다.
동학 농민 혁명의 진원지로서 관련 유적이 많이 남아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의외로 동학 관련 유적지는 별로 남아 있지 않아서 고부읍성 복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고작 고부초등학교[15] 옆 고부향교나 사발통문이 발견된 신중리 주산마을 정도. 29번 국도가 통과한다. 부안군 줄포면, 고창군 성내면과 접한다. 학교는 고부초, 고부중이 있다.
면소재지는 두지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31] 인구 1,898명[A].
면소재지에 고부민란 당시 동학도들이 집결했던 말목장터가 있었다. 말목장터에 있던 감나무는 2003년 태풍 매미에 쓰러지고 말았으며, 지금은 황토현 동학혁명 기념관에 영구 보존 처리되어 있다. 장내리에 전봉준의 고택이 있으며, 창동리에는 전봉준 장군 단소가 있다. 신태인읍과 경계 지점에 만석보 터가 있다. 참고로 만석보는 정읍천과 태인천이 동진강으로 합류되는 지점에 건설되었다가 고부민란 당시 농민군에 의해 철거되었다. 학교는 이평초, 이평중이 있다. 705번 지방도를 통해 부안군 백산면과 접한다.
면소재지에 고부민란 당시 동학도들이 집결했던 말목장터가 있었다. 말목장터에 있던 감나무는 2003년 태풍 매미에 쓰러지고 말았으며, 지금은 황토현 동학혁명 기념관에 영구 보존 처리되어 있다. 장내리에 전봉준의 고택이 있으며, 창동리에는 전봉준 장군 단소가 있다. 신태인읍과 경계 지점에 만석보 터가 있다. 참고로 만석보는 정읍천과 태인천이 동진강으로 합류되는 지점에 건설되었다가 고부민란 당시 농민군에 의해 철거되었다. 학교는 이평초, 이평중이 있다. 705번 지방도를 통해 부안군 백산면과 접한다.
면소재지는 천원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33] 인구 2,621명[A]. 이 중에서 봉양리는 조선시대 고부군, 지선리는 흥덕군에 속했던 곳이다.
호남선 철도가 통과하며 천원역과 노령역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호남고속도로 내장산 나들목이 설치되어 있다. 한때 증산교 계열의 종교였던 보천교의 근거지였다. 호남고속도로를 지나면 보이는 입암저수지가 있다. 1번 국도로 통해 호남제2터널을 지나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708번 지방도를 통해서는 고창군 성내면과 접한다. 마석리에는 의령 남씨 집성촌이 있다. 학교는 대흥초, 입암초, 입암중이 있다.
다원시스가 노령역 근처에 철도차량 공장을 신설했다.
호남선 철도가 통과하며 천원역과 노령역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호남고속도로 내장산 나들목이 설치되어 있다. 한때 증산교 계열의 종교였던 보천교의 근거지였다. 호남고속도로를 지나면 보이는 입암저수지가 있다. 1번 국도로 통해 호남제2터널을 지나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708번 지방도를 통해서는 고창군 성내면과 접한다. 마석리에는 의령 남씨 집성촌이 있다. 학교는 대흥초, 입암초, 입암중이 있다.
다원시스가 노령역 근처에 철도차량 공장을 신설했다.
면소재지는 태창리고 구 태인군의 중심지였다.
태인향교가 있으며, 호남제일정(湖南 第 一 亭 )인 피향정이 있다. 철도가 통과하지 않는 대신 호남고속도로가 통과하며, 태인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 태창리의 태인터미널에서는 1일 6회 서울(강남/동서울 각 3회)방면 고속버스가 중간 승하차한다. 1번 국도가 통과하므로 전주와 정읍을 연결하는 주요 길목이기도 해서 태인에 있는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은 상당수가 전주에 직장을 두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평소에 길이 막히지도 않으니 차를 이용하면 빠르면 20분, 늦어도 30분이면 전주 시가지에 도착한다. 반대로 전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태인이나 정읍에 직장을 둬서 출근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역시 시간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 특이사항으로 2010년대 들어 슈퍼들이 다 없어지고 편의점으로 죄다 교체가 되었다. 학교는 백암초, 태인초, 전북동화중, 태인중, 태인고가 있다.
"수학의 정석"의 저자인 홍성대의 고향이기도 하다. 실제로 도로명으로 수학정석길이 있다! 또한 명봉도서관이 있는데, '명봉(明 峯 )'은 홍성대의 부친인 홍수표의 호이다.
면사무소가 면 중심가에서 떨어져 있다.
태인향교가 있으며, 호남제일정(
"수학의 정석"의 저자인 홍성대의 고향이기도 하다. 실제로 도로명으로 수학정석길이 있다! 또한 명봉도서관이 있는데, '명봉(
면사무소가 면 중심가에서 떨어져 있다.
[A]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10] 신태인리·구석리·연정리·우령리·신용리·양괴리·육리·청천리·신덕리·화호리·백산리[11] 계룡리·대신리·방교리·삼평리·승방리·오주리·용곽리·유정리·진흥리·통석리·화봉리[14] 강고리·고부리·관청리·남복리·덕안리·만수리·만화리·백운리·신중리·신흥리·용흥리·입석리·장문리[15] 옛 고부관아가 있었던 자리[16] 달천리·도계리·상학리·신월리·우덕리·하학리[18] 남산리·마정리·보림리·복흥리·승부리·신평리·장학리·태곡리·한교리·화해리[20] 능교리·두월리·매죽리·예덕리·장금리·종성리[22] 동곡리·목욕리·상두리·오공리·정량리·종산리·평사리·화죽리[24] 고교리·기린리·등계리·보화리·신천리·애당리·용정리·주천리·중광리·화룡리[26] 신영리·앵성리·운학리·은선리·장재리·풍월리·후지리[28] 매정리·비봉리·산성리·상산리·오성리·용호리·칠석리[30] 1번 국도 고천삼거리~솟튼터널 구간, 30번 국도 매정리~비봉교 구간[31] 두전리·두지리·마항리·산매리·오금리·장내리·창동리·청량리·팔선리·평령리·하송리[33] 단곡리·등천리·마석리·봉양리·신면리·연월리·접지리·지선리·천원리·하부리[35] 대사리·대산리·산북리·수금리·우산리·우일리·장순리·초강리·화천리·회룡리[37] 무성리·반곡리·백암리·수청리·시산리·와우리·축현리[40] 거산리·고천리·궁사리·낙양리·매계리·박산리·오류리·오봉리·증산리·태남리·태서리·태성리·태창리·태흥리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