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부산소개 : 부산의 역사 : 부산의 주요 경승지 : 몰운대 : 부산광역시
본문내용 바로가기

몰운대

몰운대는 예로부터 우거진 숲과 기암괴석, 출렁거리는 파도와 수려한 모래밭 등 빼어난 경승지로 이름나 있을 뿐 아니라, 갖가지 모양의 크고 작은 무인도가 몰운대 주위에 산재해 있어 풍경이 한층 더 돋보인다. 몰운대는 낙동강 하구에 안개와 구름이 끼는 날에는 섬 전체가 안개와 구름 속에 잠겨 보이지 않는다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몰운대의 지형은 학이 날아가는 형상을 하고 있다.

몰운대의 빼어난 자연 경관은 다대 팔경(多大ただい八景はっけい) 중 제1경인 ‘몰운관해(ぼつくもかんうみ)’로 몰운대에서 바라보는 바다의 아름다운 경관을 말한다. 또 하나의 제1경은 ‘화손낙조(はなまご落照)’로 몰운대 동쪽 끝자락 화손대(はなまごだい)에 깔려 드는 저녁노을의 빼어난 아름다운 경치이다. 지금도 개발되지 않은 순수한 자연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이곳은 군사 작전 지역으로 민간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다가, 1997년 이후 출입이 허용되었다. 맑은 날이면 수평선 저 멀리 대마도가 보인다.

몰운대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동래부사 이춘원(はるもと)의 시가 『동래부지(ひがし萊府)』(1740)에 전하는데, “호탕한 바람과 파도는 천만 리에 펼쳐 있고/ 흰 구름이 하늘을 덮으니 외로운 몰운대는 사라지고/ 동쪽 하늘 둥근 아침 해는/ 늘 선인(仙人せんにん)이 학을 타고 오는 것만 같구나(ひろしとろけふう濤千まんさと 白雲しらくもてんはんぼつだい 扶桑ふそうあきらにち車輪しゃりんあか 常見つねみ仙人せんにん鶴來つるぎ)”라고 하였다. 또한 통신사 조엄(ちょうげん)은 『해사일기(うみ日記にっき)』(1763)에서 해운대와 몰운대의 경치를 비교하면서 “몰운대는 신라 이전에는 조그마한 섬으로 고요하고 조용한 가운데 아름답고 아리따운 여자가 꽃 속에서 치장을 한 것 같다”라며 절경에 감탄하였다 한다.

진재(おさむ) 김윤겸(きむまことけん, 1711~1775)이 1770년(영조 46) 소촌도 찰방(召村どう察訪)에 임용되어 진주를 중심으로 한 인근을 유람하고 그린 『진재 김윤겸필 영남기행화첩(おさむきむまことけんひつみねみなみ紀行きこう畵帖)』(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56호)에 실려 있는 몰운대 그림은 당시 실제 경치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 자료이다.

몰운대에는 다대진동헌(多大ただい鎭東のき,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과 임진왜란 당시 부산포해전(がま山浦やまうら海戰かいせん)에서 선봉에 서서 끝까지 싸우다가 순절한 녹도만호 정운(ていくも)장군을 기리는 정운순의비(ていくも殉義)(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20호)가 세워져 있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051-888-5058
최근 업데이트
2021-08-26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