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사번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번뇌

(4혹에서 넘어옴)

4번뇌(よん煩惱ぼんのう) 또는 네 가지 번뇌대승불교유식학에서 등장하는 용어로, 아뢰야식에서 전변하여 생겨난 염오식(しみけがれ識)으로서의 말나식(まつ識), 즉 아직 전의(うたて)을 이루지 못한 상태 즉 아직 정화(淨化じょうか)되지 못한 상태의 말나식이 항상 상응하는 아치(わが· 아견(我見がけん· 아만(我慢がまん· 아애(わがあい)의 4가지 근본번뇌를 말한다. 말나식아뢰야식을 자아로 착각하고 집착하여 일으키는 마음작용으로, 인간의 의식 저변에 있는 뿌리깊은 자아 관념을 뜻한다.[1][2][3][4][5]

4근본번뇌(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 4종번뇌(よんしゅ煩惱ぼんのう) 또는 4혹(よん惑)이라고도 한다.

성유식론》 제4권에 따르면, 염오식(しみけがれ識)으로서의 말나식상응(相應そうおう)하는 4근본번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아치(わが)가 근본원인이 되어서 아견(我見がけん)→아만(我慢がまん)→아애(わがあい)의 순서로 생겨난다.[5]

  • 아치(わが)는 무명(無明むみょう)을 말하는 것으로, 말나식으로 하여금 아상(しょう) 즉 자아[わが, ātman]의 양상에 대해 어리석어 무아(無我むが)의 이치에 대해 미혹[迷]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6][7]
  • 아견(我見がけん)은 아집(我執がしゅう)을 말하는 것으로, 말나식으로 하여금 비아법(非我ひがほう) 즉 자아가 아닌 에 대해 망령되이 계탁하게 하여 그것을 자아로 삼게 하는 마음작용이다.[8][9]
  • 아만(我慢がまん)은 거오(倨傲きょごう: 거만과 오만)를 말하는 것으로, 말나식으로 하여금 소집아(ところわが) 즉 망령되이 계탁하여 실재하는 자아로 삼은 환영적인 자아에 대해 '믿고 의지하고 자부[恃]'하여서 고거심(こう舉心: 지신을 높이고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을 내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0][11]
  • 아애(わがあい)는 아탐(わがむさぼ)을 말하는 것으로, 말나식으로 하여금 소집아(ところわが) 즉 망령되이 계탁하여 실재하는 자아로 삼은 환영적인 자아에 대해 탐착(ふけちょ: 탐은 깊이 빠져서 열중하여 즐기는 것, 착은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하는 것)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2][13]

4번뇌의 출전

편집

4번뇌

편집

아치

편집

아견

편집

아만

편집

아애

편집

4번뇌와 평등성지

편집

평등성지(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는 유식유가행파4지(よんさとし)와 밀교5지(五智ごち) 가운데 하나로, 오염된 상태의 말나식(てん: 질적 변형)하여 증득하는 무루혜로, 일체의 사상(事相じそう: 현상계의 )과 자타(自他じた)가 평등하여 하나[不二ふじ, 一如いちにょ]라는 것을 깨달아 대자비심(だい慈悲じひしん)을 일으키는 지혜이다.[14][15][16]

불교에서는 번뇌를 분류하는 여러 분류법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실천적인 입장에서 번뇌를 분류하여 선천적인 번뇌에 해당하는 구생기 번뇌(俱生起せいき煩惱ぼんのう)와 후천적인 번뇌에 해당하는 분별기 번뇌(分別ふんべつおこり煩惱ぼんのう)로 구분하는 것이다. 분별기 번뇌부파불교설일체유부와 수행론에서는 견도에 도달할 때,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의 수행론에서는, 설일체유부의 수행론에서의 견도에 해당하는, 통달위에 도달할 때 모두 끊어진다. 반면, 구생기 번뇌견도 이후의 수도의 단계 또는 통달위 이후의 수습위에서 그 일부가 끊어지거나 점차로 약화되다가 최종적으로 성불할 때 완전히 끊어진다.[17][18][19][20]

말나식은 항상 아치(わが· 아견(我見がけん· 아만(我慢がまん· 아애(わがあい)의 4번뇌상응하는데, 이 4번뇌에는 분별기구생기의 2종류가 있다.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분별기4번뇌통달위에 도달할 때 모두 끊어지면서 평등성지(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의 일부가 증득되고 즉 말나식의 일부가 평등성지질적 변형된다. 구생기4번뇌수습위에서 점차로 약화되다가 성불할 때 즉 구경위에서 완전히 끊어지며 이 때 평등성지의 전체가 증득된다. 즉 말나식이 완전한 평등성지질적 변형을 하게 된다.[14][15]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곽철환 2003, "말나식(まつ識)".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말나식(まつ識): 말나(まつ)는 산스크리트어 manas의 음사로, 의()라고 번역.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vijñāna의 번역. 아뢰야식(おもねよりゆき耶識)을 끊임없이 자아(自我じが)라고 오인하여 집착하고, 아뢰야식과 육식(ろく識)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여 끊임없이 육식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으로, 항상 아치(わが)·아견(我見がけん)·아만(我慢がまん)·아애(わがあい)의 네 번뇌와 함께 일어남. 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種子しゅし)를 이끌어 내어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생각과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
  2. 운허, "よん煩惱ぼんのう(사번뇌".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よん煩惱ぼんのう(사번뇌): 법상종에서 제7 말나식과 항상 상응하는 네 가지 번뇌를 말함. (1) 아치(わが)는 아()의 진상을 알지 못하여, 무아(無我むが)의 이치를 미(迷)한 것. (2) 아견(我見がけん)은 실아(じつ)가 있다고 집착하는 그릇된 소견. (3) 아만(我慢がまん)은 저를 믿는 마음이 너무 높은 것. (4) 아애(わがあい)는 나라는 데 애착하는 것."
  3. 星雲せいうん, "よん煩惱ぼんのう". 2013년 1월 20일에 확인
    "よん煩惱ぼんのう: またさくよん惑、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そくわが我見がけん我慢がまんわがあい。於唯識宗,此乃あずかだい七末那識相應而起之四種根本煩惱。わがそく無明むみょういい於我あい而迷於無我むが我見がけんそく我執がしゅういいたい非我ひがほう妄計ため我慢がまんそく倨傲きょごういい恃所これわがれいしんだか舉。わがあいそくわがむさぼいいたい於所これわがふかなまふけちょ。〔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よん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ほん唯識ゆいしきろんりょうとうまきよんまつ唯識ゆいしきろんえんじまきよんまつ〕(まいり閱「煩惱ぼんのう」5515)"
  4.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4권. p. T31n1585_p0022a24 - T31n1585_p0022b06. 4근본번뇌(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
    "此意相應そうおうゆういくしんしょ。且與よんしゅ煩惱ぼんのうつね俱。此中俱言あらわ相應そうおういいしたがえはじめいたりてん此意にんうんつねえんぞう識與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相應そうおう。其四しゃなにいいわが我見がけん并我慢我あいめいよんしゅわがしゃいい無明むみょう於我しょう迷無わがわが我見がけんしゃいい我執がしゅう。於非我ひがほう妄計ためめい我見がけん我慢がまんしゃいい倨傲きょごう。恃所わがれいしんだか舉。めい我慢がまんわがあいしゃいいわがむさぼ。於所わがふかなまふけちょわがあい。并表慢愛ゆう慢俱。さえぎ餘部あまるべ相應そうおう。此四常起擾濁內心令外轉識恒成雜染。有情うじょうよし此生不能ふのう出離しゅつりめい煩惱ぼんのう。"
  5.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4권. pp. 216-217 / 583. 4근본번뇌(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
    "이 말나식과 상응하는 심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202) 우선 네 가지 번뇌와 항상 함께한다. 여기서 ‘함께한다’는 말은 상응의 의미를 나타낸다. 아득한 옛적부터 아직 전의를 이루지 못한 지위에 이르기까지, 이 말나식은 자연적으로 항상 장식을 반연하고, 네 가지 근본번뇌와 상응한다. 그 네 가지란 무엇인가? ‘아치(わが)와 아견(我見がけん) 및 아울러 아만(我慢がまん)과 아애(わがあい)’를 말한다. 이것을 네 가지 근본번뇌라고 이름한다. ‘아치(わが)’는 무명을 말한다. 자아의 양상에 어리석어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다. 따라서 아치라고 이름한다.203) ‘아견’은 아집을 말한다. 자아가 아닌 법에 대해서 망령되게 계탁하여 자아로 삼는다. 따라서 아견이라고 이름한다.204) ‘아만’은 거만함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를 믿어서 심왕으로 하여금 높이 올린다. 따라서 아만이라고 이름한다.205) ‘아애’는 아탐(わがむさぼ)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에 대해서 깊이 탐착(ふけちゃく)을 일으킨다. 따라서 아애라고 이름한다.206) (제5게송에서) ‘아울러[幷]’라고 말한 것은, 아만 · 아애가 아견 · 아만과 함께하는 일이 있음을 나타냄으로써, 다른 부파가207) 상응하는 뜻이 없다고 집착하는 것을 부정한다. 이 네 가지가 항상 일어나서208) 안으로 심왕209)을 어지럽히고 혼탁하게 하며, 밖으로 전식(6식)을 항상 잡염되게 한다. 유정이 이것(번뇌)으로 인해 생사에 윤회하여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번뇌라고 이름한다.
    203) 아치(わが, ātmamoha)는 자기 본질의 이치[無我むが]를 모르는 근본적인 무지(無知むち) 곧 무명(無明むみょう)을 말한다. 무명은 초기불교 이래 4성제, 연기의 도리에 무지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유가유식학파도 근본적으로 이런 입장에 있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 아치(わが)야말로 근본적인 무명이며, 그것이 항상 말나식과 함께 작용한다고 하였다.
    204) 아견(我見がけん, ātmadṛṣṭi)은 자아(ātman)가 실재한다고 집착하는 것으로서, 살가야견(薩迦耶見, satkāya-dṛṣṭi:ゆう)이라고도 한다. 말나식이 아뢰야식을 대상으로, 의식이 5취온을 대상으로 해서 자아로 착각하여 나[· 나의 소유[わがところ]로 삼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205) 아만(我慢がまん, ātmamāna)은 아견에 의해 설정된 자아를 의지처[ところ]로 삼아서 자기는 존재한다고 교만하게 뽐내는 것이다. 부파불교시대에 아만은 5취온을 나 · 나의 소유로 집착하여 교만한 것을 뜻하였다. 유가유식학파에서는 말나식이 아뢰야식을 자아로 인식함으로써 자아를 더욱 대상화하고, 대상화된 자기를 근거로 교만하게 뽐내는 것을 근본적인 아만으로 생각하였다.
    206) 아애(わがあい, ātmasneha)는 일상생활에서 갖가지 고통을 야기하는 원인이다. 또한 죽음의 공포를 부추기는 근본원인이 된다.
    207) 설일체유부를 가리킨다.
    208) 아치(わが)가 근본원인이 되어서 아견→아만→아애(わがあい)의 순서로 생겨난다.
    209) 제7식과 제8식을 가리킨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16 216-217 / 583]. 4근본번뇌(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4권. p. T31n1585_p0022a28 - T31n1585_p0022a29. 아치(わが)
    "わがしゃいい無明むみょう於我しょう迷無わがわが。"
  7.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4권. p. 216 / 583. 아치(わが)
    "‘아치(わが)’는 무명을 말한다. 자아의 양상에 어리석어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다. 따라서 아치라고 이름한다.203)
    203) 아치(わが, ātmamoha)는 자기 본질의 이치[無我むが]를 모르는 근본적인 무지(無知むち) 곧 무명(無明むみょう)을 말한다. 무명은 초기불교 이래 4성제, 연기의 도리에 무지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유가유식학파도 근본적으로 이런 입장에 있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 아치(わが)야말로 근본적인 무명이며, 그것이 항상 말나식과 함께 작용한다고 하였다."
  8.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4권. p. T31n1585_p0022a29 - T31n1585_p0022b01. 아견(我見がけん)
    "我見がけんしゃいい我執がしゅう。於非我ひがほう妄計ためめい我見がけん。"
  9.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4권. p. 216 / 583. 아견(我見がけん)
    "‘아견’은 아집을 말한다. 자아가 아닌 법에 대해서 망령되게 계탁하여 자아로 삼는다. 따라서 아견이라고 이름한다.204)
    204) 아견(我見がけん, ātmadṛṣṭi)은 자아(ātman)가 실재한다고 집착하는 것으로서, 살가야견(薩迦耶見, satkāya-dṛṣṭi:ゆう)이라고도 한다. 말나식이 아뢰야식을 대상으로, 의식이 5취온을 대상으로 해서 자아로 착각하여 나[· 나의 소유[わがところ]로 삼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10.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4권. p. T31n1585_p0022b01 - T31n1585_p0022b02. 아만(我慢がまん)
    "我慢がまんしゃいい倨傲きょごう。恃所わがれいしんだか舉。めい我慢がまん。"
  11.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4권. p. 216 / 583. 아만(我慢がまん)
    "‘아만’은 거만함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를 믿어서 심왕으로 하여금 높이 올린다. 따라서 아만이라고 이름한다.205)
    205) 아만(我慢がまん, ātmamāna)은 아견에 의해 설정된 자아를 의지처[ところ]로 삼아서 자기는 존재한다고 교만하게 뽐내는 것이다. 부파불교시대에 아만은 5취온을 나 · 나의 소유로 집착하여 교만한 것을 뜻하였다. 유가유식학파에서는 말나식이 아뢰야식을 자아로 인식함으로써 자아를 더욱 대상화하고, 대상화된 자기를 근거로 교만하게 뽐내는 것을 근본적인 아만으로 생각하였다."
  12.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4권. p. T31n1585_p0022b02 - T31n1585_p0022b03. 아애(わがあい)
    "わがあいしゃいいわがむさぼ。於所わがふかなまふけちょわがあい。"
  13.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4권. pp. 216-217 / 583. 아애(わがあい)
    "‘아애’는 아탐(わがむさぼ)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에 대해서 깊이 탐착(ふけちゃく)을 일으킨다. 따라서 아애라고 이름한다.206)
    206) 아애(わがあい, ātmasneha)는 일상생활에서 갖가지 고통을 야기하는 원인이다. 또한 죽음의 공포를 부추기는 근본원인이 된다."
  14. 운허, "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평등성지)". 2013년 1월 27일에 확인
    "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평등성지): 5지(さとし)의 하나. 제7식을 전(てん)하여 얻은 무루 지혜니, 통달위(通達つうたつ)에서 그 일부분을 증득하고, 불과(佛果ぶっか)에 이르러 그 전체를 증득한다. 일체 모든 법과 자기나 다른 유정들을 반연하여 평등 일여한 이성(理性りせい)을 관하고 너와 나의 차별심을 여의어 대자대비심을 일으키며, 보살을 위하여 여러 가지로 교화하여 이익되게 하는 지혜."
  15. 곽철환 2003, "평등성지(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 2013년 1월 27일에 확인
    "평등성지(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 사지(よんさとし)의 하나. 번뇌에 오염된 말나식(まつ識)을 질적으로 변혁하여 얻은 청정한 지혜. 이 지혜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떠나 자타(自他じた)의 평등을 깨달아 대자비심을 일으킴으로 이와 같이 말함."
  16. 星雲せいうん, "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 2013년 1월 27일에 확인
    "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 梵語ぼんご samatā-jñāna。また作平さくひらとうさとし。乃四さとししんひんいち智之としゆきいちゆびたいさとる平等びょうどうさとしそくうたてだい七末那識所得之智慧,智慧ちえ了知りょうち一切事相及自他皆平等,乃生起せいきだい慈悲じひしんふつろんまき三謂平等性智乃觀自、一切いっさいみな平等びょうどう大慈大悲だいじだいひ恆常こうじょう相互そうご契合けいごう而無間斷かんだん建立こんりゅうふつ無住むじゅう涅槃ねはん」(じゅう於生涅槃ねはん涅槃ねはん)。ずいしょ有情うじょうこれしょらく示現じげん受用じゅようあずかとう種種しゅじゅ影像えいぞうたい於初以上いじょう菩薩ぼさつ示現じげん受用じゅよう常行つねゆき大慈大悲だいじだいひこれえき心地ここちかん經卷きょうかんだいさんきゅうはち):「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うたてわが見識けんしきとく智慧ちえ以能しょう平等びょうどう無我むがせい如是にょぜめいため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
     此外,密教みっきょうしょ建立こんりゅう五智ごち,其中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またさく灌頂さとしため南方なんぽう寶生ほうしょうふつさとし祕藏ひぞうまき上本うえほんだいはちろくちゅう):「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清淨せいじょうさとしすい簡情、非情ひじょう彼此ひしどう如故,常住じょうじゅう不變ふへんめい平等びょうどうせいさとし。」(まいり閱「五智ごち」1161、「よんさとししんひん」1771)"
  17. 운허, "生起せいき(구생기)". 2013년 2월 19일에 확인
    "俱生起せいき(구생기): ↔분별기(分別ふんべつおこり). 사사(よこしま)ㆍ사교(邪敎じゃきょう)ㆍ사사유(よこしま思惟しい) 등의 바깥 연에 의지하지 않고 나면서부터 갖추어 있는 선천적인 번뇌."
  18. 운허, "分別ふんべつおこり(분별기)". 2013년 2월 19일에 확인
    "分別ふんべつおこり(분별기): ↔구생기(俱生起せいき). 번뇌가 일어나는데 대하여, 사사(よこしま)와 사교(邪敎じゃきょう)에 의지하거나, 사사유(よこしま思惟しい)에 의지하여 후천적으로 일어나는 경우에 이 번뇌를 분별기라 함."
  19. 星雲せいうん, "生起せいき". 2013년 2월 19일에 확인
    "俱生起せいき:  梵語ぼんご sahaja。りゃくさく俱生。あずか分別ふんべつおこり對稱たいしょう煩惱ぼんのうしん迷惑めいわく生起せいきゆうしゅがたたい大別たいべつ煩惱ぼんのうためそく:(いち)俱生起せいきあずかなま俱來先天せんてんせい煩惱ぼんのう。()分別ふんべつおこりいん邪教じゃきょうよこしま等外とうがい勢力せいりょくある自己じこ不當ふとう推理すいり分別ふんべつしょおこり後天こうてんせい煩惱ぼんのう後者こうしゃ性質せいしつ強烈きょうれつただし容易よういだんじょ,而前しゃ性質せいしつ微細びさいはん而極なんだんだんゆう次第しだい分別ふんべつおこり當為とうい佛道ぶつどう實踐じっせんだい一階段之見道所斷,しょう惑。俱生起せいき惑為だい階段かいだん修道しゅうどうだんじょしょうおさむ惑。また我執がしゅうまたぶん俱生我執がしゅう分別ふんべつ我執がしゅうしゅ。〔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卷一けんいち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なな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いちまつまきまつ〕 p4027 "
  20. 星雲せいうん, "分別ふんべつおこり". 2013년 2월 19일에 확인
    "分別ふんべつおこり:  梵語ぼんご parikalpasamutthita。そく一切いっさい煩惱ぼんのうちゅうゆかり邪教じゃきょうよこしまよこしま思惟しいとうしょ引起しゃため「俱生起せいき對稱たいしょうじゅう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ちゅううたぐ邪見じゃけん見取みとり、戒禁とうよんしゃひとしぞく分別ふんべつおこりえきだん於見道中どうちゅうあかしとくせいほうそら真如しんにょとくひたぶるだ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卷一けんいちまきまきろく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ろく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よん〕(まいり閱「俱生起せいき」4027) p1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