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올림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올림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겹올림표에서 넘어옴)

올림표
유니코드에서U+266F music sharp sign (HTML: ♯)
다른
다른U+0023 # 숫자 기호(해시) (HTML: #)
U+2317 viewdata square
U+22D5 equal and parallel to
U+4E95 우물 정(한자) (HTML: 井)

올림표 또는 샤프, (sharp)는 음악기보법에서 음을 반음 올리는 것을 뜻하는 기호이다. 로 표시한다. 내림표 (♭)와 서로 반대되는 기호다.

올림표는 원래 내림표보다 나중에 나온 기호로, 제자리표와 마찬가지로 소문자 비 (b)를 각지게 쓴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내림표제자리표보다 나중에 나온 기호다. 세월이 흘러 주어진 음의 원래 음에서 한 키 올리는 기호가 되었다.

예시

[편집]

조표 혹은 임시표로 쓰일 수 있다.[1] 예를 들어, 아래는 (가령 가장조 혹은 올림바단조를 나타내어) 세 개의 올림표가 조표로 표기되어 있고 A에 위치한 음표에는 올림표가 임시표로 표기되어 있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a \major ais1 } }

12평균율 기준으로 B♯음은 C음과, E♯은 F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다른 음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과 다르다.

조표

[편집]

올림표가 조표로 사용될 경우에는 음자리표의 오른쪽에 한 개 이상을 써서 조를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서 겹세로줄 뒤에 쓰이기도 한다.

{ \omit Score.TimeSignature { \key cis \major s^"" } }
올림표를 조합하는 순서는 기본적으로 최소 1개에서 최대 7개까지 "F C G D A E B" 순이다.

올림표가 조표로써 쓰이면, 도중에 조표가 바뀌거나 내림표 (♭), 제자리표 (♮) 등 다른 변화표의 효력을 받는 경우가 아닌 이상 마디옥타브에 관계없이 효력이 계속 적용된다.

조표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올림표가 1개인 장조 음계는 사장조이다. 올림 조표의 모든 스케일에서 장음계의 으뜸음은 마지막 기호의 단2도 위이며, 단음계의 으뜸음은 마지막 기호의 장2도 아래이다.

올림표가 세 개 이상인 경우 단조의 으뜸음은 조표의 마지막에서 세 번째 기호의 음이다. 가령 4개의 올림표로 구성된 단조 (F♯ C♯ G♯ D♯)는 마지막에서 세 번째 샤프는 C♯으로, 이는 올림다단조를 나타낸다. 각각의 새로운 음계는 이전 음계보다 5도 위 (또는 4도 아래)에서 시작된다.

장조 올림표의 개수 올림표가 붙는 음 단조
다장조 (C 장조) 0 가단조 (A 단조)
사장조 (G 장조) 1 F 마단조 (E 단조)
라장조 (D 장조) 2 F, C 나단조 (B 단조)
가장조 (A 장조) 3 F, C, G 올림바단조 (F 단조)
마장조 (E 장조) 4 F, C, G, D 올림다단조 (C 단조)
나장조 (B 장조) 5 F, C, G, D, A 올림사단조 (G 단조)
올림바장조 (F 장조) 6 F, C, G, D, A, E 올림라단조 (D 단조)
올림다장조 (C 장조) 7 F, C, G, D, A, E, B 올림가단조 (A 단조)

12 평균율 기준으로 위의 조표의 조성 중에서 음이 조화롭게 겹치는 이명동조를 지닌 조성이 있다.

즉, 다음과 같다.

기준 이명동조
장조 내림표의 개수 단조 장조/단조
나장조 5 올림사단조 내림다장조/내림가단조
올림바장조 6 올림라단조 내림사장조/내림마단조
올림다장조 7 올림가단조 내림라장조/내림나단조

단, 장조의 이명동조는 장조만이, 단조의 이명동조는 단조만이 해당된다. 예를들어 위의 올림표 5개 조표의 조성 중 나장조의 이명동조는 내림다장조만이 되고, 올림표 5개 조표의 조성 중 올림사단조의 이명동조는 내림가단조만이 된다.

그 외에 12 평균율에서 5도권 순환으로 봤을 때 이명동조를 고려하여 조표 형태로 사용 시 올림표 7개의 조성인 올림다장조와 올림가단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해오지 않았고 주로 표기가 보다 덜 복잡한 이명동조인 각각 내림라장조와 내림나단조를 사용해왔다. 다만,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에서와 다른 음률에서는 이와 예외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음률에 따라 이명동음이명동조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출처 필요]

임시표

[편집]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bis1 } }

임시표로 사용될 경우 그 보표마디옥타브 내에서 올림표 이후의 해당 음에 적용된다. 다만, 조표와는 달리 음이름은 같지만 옥타브만 다른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항상 변화되지 않은 원래의 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보표와 마디와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올림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내림표(♭), 제자리표(♮) 등의 다른 변화표를 사용한다.

종류

[편집]

겹올림표 혹은 더블 샤프, 더블 샵(double sharp) (double sharp)은 원래의 음에서 반음 두 개만큼 올린다. 즉, (원래의 음에서) 온음만큼 올리는 것과 같다. 주로 double sharp로 표기하나 이전에 겹올림표는 간혹 , 혹은 로 쓰이기도 했다.[2]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bisis1 } }

간혹 미분음 단위의 기호도 쓰일 수 있다. 미분음 음악의 경우 반음보다 좁은 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반올림표 혹은 하프 샤프 (Half sharp) (half sharp 혹은 𝄲)는 원래의 음에서 반음의 절반인 사분음만큼 올린다. 데미 샤프 (Demisharp)라고도 한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bih1}

3/2 올림표는 혹은 샤프 앤 하프 (sharp-and-a-half) (three quarter sharp) 원래의 음에서 3/2개의 반음만큼 올린다. 즉, 원래의 음에서 세 개의 사분음만큼 올리는 것과 같다. 세반올림표, 쓰리 쿼터 톤 샤프 (three-quarter-tone sharp) 혹은 세스퀴샤프 (sesquisharp)라고도 한다.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bisih1 }

매우 극소수로 사용되지만, 세겹올림표 혹은 트리플 샤프, 트리플 샵 (triple sharp)도 등장할 수 있다. 원래의 음에서 반음 세 개만큼 올리는 기호다. 즉, 원래의 음에서 온음과 반음만큼 올리는 것과 같다.[3][4]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tweak Accidental.stencil #ly:text-interface::print \tweak Accidental.text \markup { \concat { \sharp \doublesharp}} bis1
} }

엄밀히 말하자면 이러한 기호는 그 외에도 무수히 등장할 수 있다.

임시표로 사용될 경우, 위의 그림처럼 음표 앞에 기보되고, 기본적으로 그 보표마디옥타브 내에서 적용되며, 항상 변화되지 않은 원래의 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올바른 표기

[편집]

기본 올림표(♯)는 해시 기호(#)와 유사하다. 서체와 글쓰기 스타일에 따라 다르지만 올림표는 가로 획이 기울어져 있고, 해시 기호는 세로 획이 기울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겹올림표는 굵은 소문자 x와 유사하지만 두 문자를 인쇄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기해야 한다. 참고로 컴퓨터에서 올림표 및 관련 기호를 표현하는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 자판을 통해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해시 기호)는 기본 올림표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전혀 다른 기호다.

표시 한국어 이름 유니코드 이름 유니코드 문자 참조 UTF-8 URL 인코딩 설명
10진 16진
올림표 MUSIC SHARP SIGN U+266F ♯ ♯ %E2%99%AF  
𝄪 겹올림표 MUSICAL SYMBOL DOUBLE SHARP U+1D12A 𝄪 𝄪 %F0%9D%84%AA 표시되지 않으면 그림 겹올림표 참고.
𝄰   MUSICAL SYMBOL SHARP UP U+1D130 𝄰 𝄰 %F0%9D%84%B0 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MUSICAL SYMBOL SHARP DOWN U+1D131 𝄱 𝄱 %F0%9D%84%B1 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MUSICAL SYMBOL QUARTER TONE SHARP U+1D132 𝄲 𝄲 %F0%9D%84%B2 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위 표의 '표시' 항목은 컴퓨터 환경에 따라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10진 수치 문자 참조를 제외한 모든 코드는 16진 표기이다.

다른 표기법과 사용

[편집]
  • double sharp 기호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 혹은 특정한 이유의 텍스트 표기 등에선 겹올림표를 ♯♯나 ##, x 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세겹올림표도 ♯♯♯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
  • 클래식 시절에 한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겹올림표가 붙은 음을 기본 올림표가 붙은 음으로 내릴 때 ♮♯ 혹은 ♯♮처럼 올림표 옆에 제자리표를 쓰는 관습이 있었다. 다만, 대략 1800년대 이후로는 가독성과 작성시간 등을 보아 생략할 수도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 세겹올림표 이상의 기호를 무효화 시에도 비슷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5] 그리고, ♮♯내림표에서 올림표로 바꿀 때 쓰이기도 한다.[6]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bisis2 bis \accidentalStyle modern bisis2 bis } }
  • 평균율이 아닌 다른 음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명동음이명동조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Ftriple sharp과 G♯이 서로 구별된다.
  • 확정된 순정률을 표기하기 위해 작곡가 벤 존스턴은 70.6센트 높음(25:24 비율)을 나타낼 때 올림표를 사용했다.[7]
  • 조표올림표가 적용된 음에 임시표제자리표를 표기했다가 그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조표와 일치하는 임시표로 올림표를 표기했을 땐 몇몇은 "제자리표의 효력이 없어진다" 같은 해석 보다는 "다시 본래 조표와 일치하는 음으로 돌아간다" 같은 해석을 갖기도 한다.[출처 필요] 원래는 "제자리표의 효력이 없어진다"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맞긴 하지만 말이다.

각주

[편집]
  1. 이화여자대학교음악연구소 (2001년 2월 28일). 《교사 및 지도자를 위한 피아노 기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2~24쪽. ISBN 9788973003709. 
  2.  Chisholm, Hugh, 편집. (1911). 〈Musical Notation〉. 《브리태니커 백과사전19 11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87쪽. 
  3. Ayrton, William (1827). 《The Harmonicon》 V. Samuel Leigh. 47쪽. ISBN 1276309457. 
  4. Byrd, Donald (2018). “Extremes of conventional music notation”. Bloomington, IN: University of Indiana. 
  5. Max Reger: Clarinet Sonata No.2 (Complete Score), 33쪽.: Scores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IMSLP)
  6. Chopin: Études No. 9, Op.10 (C.F. Peters), 429쪽.: Scores - 국제 악보 도서관 프로젝트 (IMSLP)
  7. Fonville, J. (Summer 1991). “Ben Johnston's extended Just Intonation – a guide for interpreters”. 《Perspectives of New Music29 (2): 106–137, esp. 109. doi:10.2307/833435. JSTOR 833435. ... the 25/ 24  ratio is the sharp () ratio ... this raises a note approximately 70.6 cents.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