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광산 김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광산 김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산 김씨
光山こうやまきむ
나라한국
관향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봉산면
시조김흥광(きむきょうこう)
원시조김알지(きむ閼智)
주요 인물김태현, 김한로, 김국광, 김겸광, 김구, 김계휘, 김덕령, 김장생, 김집, 인경왕후, 김익희, 김익겸, 김익훈, 김익경, 김만기, 김만중, 김일경, 김진규, 김춘택, 김상복, 김영철 ,김철수, 김동한, 김수환, 김춘수, 김우중, 김용준, 김대중, 김완주, 김하중, 김희중, 김장수, 김용옥, 김황식, 김효석, 김용익, 김재균, 김우남, 김선수, 김선동, 김태년, 김용태, 인경 왕후
인구(2015년)926,316명 (8위)
비고광산김씨 대종중

광산 김씨(光山こうやまきむ)는 광주광역시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편집]

시조 김흥광(きむきょうこう)은 통일신라 말기 나라가 어지러워 장차 국난이 일어날 것을 알고 무진주 추성군 서일동(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일설에 시조 김흥광은 《동국만성보》 및 《조선씨족통보》에는 신라 49대 헌강왕의 왕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광산김씨 정유대동보》, 《신라김씨선원보》, 《계림대보》, 《경주김씨보》 등에는 신라 45대 신무왕 셋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위 일설에 대해 현존하고 있는 광산김씨 최고의 족보인 정묘대보(1747년 간) 시조 김흥광 란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구보의 제본에 이르기를 혹 헌강왕의 제3자라 하고 송사회강 및 최치원의 납정절표에는 헌강왕은 일자가 있으니 요라 하였고 경주김씨 보에 의하면 신무왕자라고 하나 무슨 근거로 말하는 것인지 알 수 없어 신라왕자로 하고 유허비를 세운다(きゅうしょほんうん あるうん憲康のりやすおうだい三子みつご而宋かいつなちぇ致遠おさめ旌節ひょううん憲康のりやすゆういち慶州けいしゅうきんうん神武じんむ王子おうじ未知みちなんよりどころいましょ本書ほんしょ以新王子おうじのこ墟立)

김길(金吉かねきち)이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삼중대광(三重大みえだいただし)에 오르자 김길의 조부인 김흥광은 광산부원군(光山こうやまいんくん)에 봉해졌다고 한다. 이후 조부의 작호(爵號)이자 세거지(きょ)인 광주 광산(光山こうやま)을 본관(ほんぬき)으로 삼아 세계(けい)를 이어 왔으며, 후손들 중 평장사(たいらあきらごと:정2품)가 8명이나 배출되자 사람들이 서일동(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평장동(たいらあきらほら)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명칭은 지금까지도 남아 평장리(たいらあきらさと)로 불리고 있다.

역사[편집]

광산 김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63명(문과 갑과 장원급제자 12명), 정승 5명, 대제학 7명, 청백리 4명, 왕비 1명을 배출했다.[1]

김장생(きむ長生ながお)

양간공파 대사간 김극뉴(きむかつ忸)의 현손인 김장생(きむ長生ながお)이 문묘에 종사되었고, 그의 아들 김집(かねしゅう)은 문묘종묘에 배향되었다. 김장생 후손 중에 대제학이 7명이나 배출되었다.[2] 김장생의 증손자인 김만기(かねまん)와 김만중(かねまんじゅう) 형제가 대제학에 올랐다. 김만기의 아들 김진규(きむ鎭圭)도 예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고, 그의 아들 김양택(きむようさわ)도 대제학과 영의정을 지냈다.

분파[편집]

광산 김씨는 크게 '문정공파', '문숙공파', '양간공파', '낭장공파', '사온서직장공파' 5파로 분류한다. 양간공파 후손들이 70%로 제일 많고 현달한 인물을 많이 배출하였다.

  • 문정공파 - 15세 문정공 김태현(かねだい鉉)
  • 문숙공파 - 14세 문숙공 김주정(きむあまねかなえ
  • 양간공파 - 14세 양간공 김연,
  • 낭장공파 - 14세 낭장공 김규
  • 사온직장공파 - 17세 사온서직장 김영

집성촌[편집]

항렬자[편집]

  • 대동항렬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55세 56세 57세 58세
익(えき) 만(まん) 진(鎭) くち택(さわ) 상(そう) くち기() 재(ざい) くち현(鉉) 영(ひさし) くち수(洙) 용(よう) くち중(なか) 선(ぜん) くち순(あつし) 동(ひがし) くち환(煥) 규(奎) くち용(鏞) 연(ふち) くち식(うえ) 형(炯) くち곤(ひつじさる) 수(銖) くち홍(ひろし) 종(たね) くち헌(けん) 중(じゅう) くち흠(欽) 태(やすし) くち걸(杰) 병(炳)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편집]

인물[편집]

  • 김재길(きむおさむよし , 2007년 ~ ?) : 인천 아라고등학교 재학 중 BOY TIMES 회사 공동 대표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무과 276명, 생원 350명, 진사 402명 등을 모두 합치면 1,028명이다.
  2. 문형으로 불리는 양관대제학은 7명이나,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김한로를 포함하면 8명이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