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백이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백이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이정(しろ頤正, 1247년~1323년[1])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다. 자는 약헌(わかのき), 호는 이재(彛齋). 본관은 남포이다.[2] 시호는 문헌(ぶんけん). 상당군(うえとうくん)[3]에 봉해졌다. 중국에 가서 주자성리학을 배운뒤, 안향과 함께 고려성리학을 보급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4]

생애

[편집]

신라 간관(諫官) 백중학(はくなかづる)의 후손이다. 보문각학사(たからぶんかく學士がくし)를 지낸 백문절(白文はくぶんぶし)의 아들이다. 안향의 문인으로 이진(瑱), 권부(けん溥), 우탁(禹倬), 이조년(ちょうねん), 신천(からし蕆)과 더불어 안향 문하의 6군자로 불렸다.

1284년(충렬왕 10) 권단(けん㫜)이 지공거였던 갑신방(きのえさる榜)에서 채홍철(蔡洪あきら) 등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였다. 1298년(충렬왕 24), 안향, 권준[5]과 함께 8개월만에 퇴위한 충선왕을 호종하여 연경(북경)에 갔다. 안향은 다음 해에 먼저 돌아왔고, 권준(けんじゅん)은 주자사서집주(朱子しゅし四書ししょしゅう註)를 들여왔다. 백이정은 10년간 연경에 머무르면서 정주(ほどしゅ)[6]성리학을 연구하고 1308년(충렬왕 복위 10) 충선왕과 함께 정주의 유저(遺著いちょ) 등 많은 서적과 주자(朱子しゅし)의 가례(いえれい)를 가지고 돌아왔다.[7][8]

이후 이제현박충좌 등을 가르치며 성리학을 보급하였고, 도학과 예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충선왕 때 도감사(監事かんじ)가 되었으며, 1314년(충숙왕 원년) 첨의평리(僉議ひょう)[9]로 상의회의도감사(商議しょうぎ會議かいぎ監事かんじ)를 겸했다. 후에 상당군(うえとうくん)에 봉해졌다.

1323년(충숙왕 10) 77세로 졸(そつ)했다.[10] 시호는 문헌(ぶんけん)이다.

사후

[편집]
  • 백이정의 묘는 그의 관향인 남포 양각산(ひつじ角山かくやま,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忠淸ただきよ南道みなみどう やすし 熊川くまがわつぼさと)에 있으며, 그 곳의 신안사(しんやすほこら)에 배향되었다. 한편, 귀양지였다는 남해(경상남도 남해군 남면 평산리 (けい尙南どう 南海なんがいぐん 平山ひらやまさと)의 망기산(もち崎山さきやま) 우지막골에도 그의 묘라 구전하는 전백이정묘(つてしろ頤正)[11]가 있는데, 그 곳 이동면 난음리(二東ふたひがしめん らんかげさと)의 난곡사(らんたにほこら)[12]에서도 백이정을 제향하고 있다. 난음리(옛 난포현(らんうらけん))의 난화산(らん花山はなやま)에는 백이정의 묘라는 곳이 한 군데 더 있다. 백이정의 묘라는 세 곳의 진위를 두고 논란이 있다.

평가와 영향

[편집]

고려에 성리학을 처음으로 들여온 것은 안향이지만,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그 체계를 정리해 일가를 이룬 이는 백이정이라고 할 수 있다.[13]

안향과 백이정의 학문은 이제현이곡에게 전승되었고, 이제현이곡은 또한 수많은 문하생들을 길러냈는데, 이제현이색에게, 이색권근, 정몽주변계량에게 학문을 전하였다. 이들의 학풍은 고려 말기의 신흥사대부와 역성혁명파, 온건개혁파, 그리고 조선시대의 사림파로 이어지는 학문적 계보를 형성했다. 이렇게 이어지는 학문과 사상적 계보는 후일 조선시대의 지배계층으로 정착된다.[14]

백이정은 이제현, 박충좌 외에도 이곡, 이인복, 백문보 등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가족관계

[편집]
  • 부 : 백문절(白文はくぶんぶし, 1208년 ~ 1282년) 국학대사성(國學こくがくだいつかさしげる) 보문각학사(たからぶんかく學士がくし)
  • 모 : 성주 이씨(ほししゅう), 참봉 이세주(ばしら)의 딸
    • 부인 : 구 안동 김씨(きゅう 安東あんどうきむ) 중대광(重大じゅうだいただし) (上洛じょうらくくん) 김순(きむまこと 1258년 ~ 1321년)의 2녀
      • 아들 : 백세렴(しろれん) 지청풍군사(知淸ちせいふうぐんごと)
      • 자부 : 상주 김씨(尙州きん) 고사(くら使) 김인통(きむひとしどおり)의 딸
        • 손자 : 함정(咸正)
        • 손자 : 함명(咸明, 1299년 ~ ? )
      • 딸 : 남포 백씨(あいうら しろ)
      • 사위 : 이달존(いたるみこと, 1313년 ~ 1340년) 계림부원군(にわとりはやしいんくん)경주(慶州けいしゅう) 이제현(ひとしけん)의 2남
    • 동생 : 백효주(はくたかしたま) 대호군(だいまもるぐん)
    • 제수 : 평양 조씨(平壤ぴょんやんちょう) 문하시중(門下もんかさむらいちゅう) 평양군(平壤ぴょんやんくん) 조인규(ちょうひとしぶんまわし, 1237년 ~ 1308년)의 3녀

기타

[편집]

백이정은 제자인 이제현과 사돈을 맺고 늦둥이 딸을 이제현의 아들 이달존(いたるみこと)에게 시집보내었으니 사제지간이자 사돈지간이 되었다.[15]

작품

[편집]
  • 연거시(つばめきょ)[16]
  • 영당요(えいから堯)[17]
  • 한벽루(かんあおろう)[18]
  • 여홍애집구(あずかひろし厓集)[1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백이정의 생몰년을 1260년~1340년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는 백이정이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의 삼대에 걸쳐 격동기에 벼슬을 하였고, 1339년(충숙왕 복위8) 충숙왕이 실각하면서 경남 남해의 난포현으로 귀양길에 올라 남해에서의 은둔생활 중 1340년(충혜왕 복위원년) 생을 마감하여 남해에 체백(からだたま)을 묻었다고 보는 것이다.
  2. 백이정 - 한국학중앙연구원
  3. 상당부원군(うえとういんくん)에 봉해졌다고도 한다.
  4.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들녘 1997년 p440
  5. 안향 문하 6군자의 한 사람인 국재(きくとき) 권부(けん溥)의 아들이다.
  6. 정호(ほど顥), 정이(ほど頤) 형제(兄弟きょうだい)와 주희(しゅ熹)를 일컫는다.
  7. "어릴 때에도 아버지 백문절을 따라 연경에 가서 머무른 적이 있었다"(しろ頤正したがえ其父文節ぶんせつざいつばめきょう)는 기록이 있다, 야은집(冶隱しゅう)
  8. 1316년(충숙왕 3), 1319년(충숙왕 6), 1322년(충숙왕 9) 세 차례의 원행(もとくだり)이 더 있었다고 한다.
  9. 종2품으로 옛 참지정사(まいり政事せいじ)다.
  10. 몰년이 1340년이라는 견해가 있다.
  11. 경상남도 기념물 155호
  12.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237호
  13. "백이정이 첨의평리가 되었을 때 중국에는 정주학이 행해지기 시작했지만 동방에는 미치지 않아 백이정이 원나라에 있으면서 이를 얻고 배워서 동방으로 돌아왔다"(しろ頤正ため僉議ひょう ほどしゅまなべ はじめぎょう中國ちゅうごく 東方とうほう 頤正ざいもと とく而學 ひがしかえ)고 하는 이론도 있다.
  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백이정',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7164&cid=46649&categoryId=46649"
  15. 백씨대동보, 1982
  16. 연거시(つばめきょ) "矮屋蕭條しょうじょうじゅうひじあまり 焚香せい讀聖じんしょ, したがえ人爵じんしゃくせい天爵てんしゃく 情欲じょうよくあきりんややうと. 초라하고 쓸쓸한 집에 열 팔꿈치 품이라 / 향 사르고 조용히 성현의 글을 읽는다// 사람의 벼슬은 하늘이 내는 것/ 정욕은 가을 숲에 해 저무는 듯 하네//"
  17. 영당요(えいから堯)
  18. 한벽루(かんあおろう)
  19. 여홍애집구(あずかひろし厓集)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