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소수림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소수림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수림왕
しょうししりんおう
제17대 고구려 국왕
재위 371년 10월 ~ 384년 11월 (음력)
전임 고국원왕
후임 고국양왕
고구려 태자
재위 355년 1월 ~ 371년 10월 23일 (음력)
전임 태자 사유 (고국원왕)
후임 태자 담덕 (광개토왕)
이름
구부(おかおっと)
별호 소해주류왕(しょうかいしゅとめおう)[1]
해미류왕(かいあじとめおう)[2]
시호 소수림(しょうししりん)
신상정보
출생일 미상
사망일 384년 11월 (음력)
부친 고국원왕
모친 미상
배우자 미상
종교 불교
능묘 소수림(しょうししりん)

소수림왕(しょうししりんおう, ? ~ 384년 음력 11월, 재위 : 371년 음력 10월 ~ 384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17대 국왕이다. 소해주류왕(しょうかいしゅとめおう) 또는 해미류왕(かいあじとめおう)이라고도 한다. 티베트계 저족이 세운 국가인 전진(ぜんしん)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생애[편집]

탄생과 즉위[편집]

고국원왕(國原くにはらおう)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이름은 구부(おかおっと)이며, 신체가 장대하고, 웅대한 지략이 있었다고 한다. 355년(고국원왕 24년) 1월 태자에 책봉되었다.[3]

371년(고국원왕 40년) 10월,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부왕인 고국원왕이 전사하자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치세[편집]

불교 수용[편집]

372년(소수림왕 2년) 6월, 전진(ぜんしん)의 왕 부견(苻堅)이 사신과 함께 승려 순도(じゅんどう)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 고구려에 처음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2년 후 374년에는 아도(おもねみち)가 들어와 불도를 전하했다.

소수림왕은 375년 초문사(あやかもんてら)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물게 하였으며, 또 이불란사(どるらんてら)를 창건하여 아도를 머물게 하는 등[4] 전진(ぜんしん)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하는 정책을 펼쳤고, 또한 불교를 호국사상으로 삼았다.

태학 설립과 율령 반포[편집]

귀족 자제들의 유학 교육기관으로 태학(ふとしがく)을 설립하여[5] 유교적 정치이념에 충실하고, 중앙집권적 정치제도에 적합한 관리를 양성하였으며,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6] 국가통치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규범을 갖추었다. 소수림왕의 이와 같은 체제 정비 사업을 기반으로 고구려는 광개토대왕 시대에 들어 전성기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대외 관계[편집]

백제와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 고국원왕을 잃은 소수림왕은 계속 백제와 충돌하였다. 375년(소수림왕 4년)에는 백제의 수곡성(水谷みずたにしろ)을 빼앗았으며,[7] 376년(소수림왕 5년) 음력 11월에는 백제의 3만 대군을 물리치고 북변(北邊ほくへん)을 역습하였다.[8]

377년(소수림왕 6년)에는 백제 근구수왕이 군사 3만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으로 재차 침공해 왔지만 막아내었고, 11월에 이를 보복하기 위해 남으로 백제를 정벌하였다.[9] (→여·제 전쟁) 378년(소수림왕 7년) 극심한 가뭄이 든 상태에서 거란의 침략을 받아 8개 부락을 빼앗기기도 했다.[10]

사망[편집]

384년(소수림왕 13년) 11월 사망하였다. 후사가 없이 서거하여 아우인 이련(れん, 고국양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소수림(しょうししりん)에 묻혔으며 능묘에서 시호 소수림이 유래하였다.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 고국원왕(國原くにはらおう, ? ~371) - 제 16대 국왕
  • 어머니 : 미상
    • 왕후 : 미상
  • 동생 : 고국양왕 (故國ここく壤王, ? ~ 391년) - 제 18대 국왕

기년, 연호[편집]

소수림왕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서력 371년 372년 373년 374년 375년 376년 377년 378년 379년 380년 381년 382년 383년 384년
단기 2704년 2705년 2706년 2707년 2708년 2709년 2710년 2711년 2712년 2713년 2714년 2715년 2716년 2717년
간지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소수림왕이 등장한 작품[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삼국사기
  2. 해동고승전
  3. 삼국사기》 권 제18, 고구려본기 제6, 고국원왕
  4.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ねん はるがつ...はじめそうあやかもんてら 以置じゅんどう またそうどるらんてら 以置おもねみち 此海ひがし佛法ぶっぽうはじめ 
  5.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ねん...立大りつだいがく敎育きょういく子弟してい 
  6.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さんねん はじめ頒律れい (3년에 율령(律令りつりょう)을 처음으로 반포하였다. ) 
  7.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ねん...あきなながつ おさむ百濟くだら水谷みずたにじょう 
  8.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ろくねん ふゆじゅういちがつ おかせ百濟くだらきたひな 
  9.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ななねん ふゆじゅうがつ...百濟くだら將兵しょうへいさんまん らいおかせ平壤ぴょんやんじょう じゅういちがつ みなみ百濟くだら 
  10. 김부식 (1145). 〈본기 권18 소수림왕〉. 《삼국사기》. はちねん ひでり みんひだるしょうしょく あききゅうがつ ちぎりはん北邊ほくへん おちいはち部落ぶらく 

외부 링크[편집]

전 대
고국원왕
제17대 고구려 국왕
371년 - 384년
후 대
고국양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