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호 (오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호금천에서 넘어옴)

소호 금천씨(しょうひろしきむたかし)는 중국 고대의 신화상에 등장하는 삼황오제 중 오제(みかど)의 한 명이다.

사서 원문[편집]

[산해경]의 기록

*산해경山海さんかい经》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기록서이다

山海さんかい经》:しょうひろしぞくきんざい西方せいほうてきはは亲是天山あまやまてき仙女せんにょすめらぎ娥。

<산해경>: "소호의 금(쇠)무리는, 서쪽 방면에 있다...

.

.

[춘추]의 기록

*《춘추春秋しゅんじゅう》는 공자가 노나라 사관이 저작한 역사서에 자신의 글을 적어서 다시 편찬한 노나라의 역사서이다

春秋しゅんじゅう しょうひろしおのれせいいち说嬴せいめい挚,ごうきむたかしまたたたえしゅみかど”、“しろみかど”、“西にしすめらぎ”、“穷桑”、“そらくわ”,在位ざいい84ねん寿ことぶきひゃく岁崩,其后だい郯子こくみこと高祖こうそ...

"소호는 성이 '기', 일설에는 '영'이고, 이름은 '지'이며, 호는 '금천씨'이다. 또한 '주제' '백제' '서황' '궁상씨' '공상씨'로도 칭해진다. 84년 재위, 100세 나이에 죽다.

그 후를 이은 담의 남자가 나라의 높은 국조로 공경하며 다스리다..."

.

*[춘추]에는 郯國담국에 대한 기록이 있다

.

.

'しょうひろしこれこく' 소호의 나라에 대한 [산해경] 기록

山海さんかい经·大荒おおあら东经》:“东海そとだい壑,しょうひろしこれこく"

<산해경: 대황동경> "동쪽(오른쪽)바다 밖의 큰 산골짜기에 소호의 나라가 있다"

.

개요[편집]

소호는 청양씨(あおよう), 금천씨(きむたかし), 궁상씨(きゅうくわ), 운양씨(くも), 주선(しゅせん)으로도 불린다. 소호금천씨는 전설에서 성은 기(おのれ), 이름은 철(摰) 또는 질(しつ)이었으며 황제 헌원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궁상에서 태어나 동이의 수령이었다고도 전해진다. 소호(しょうひろし)는 오제에 관한 전설과 기록에 따라 오제에 포함되기도 하고, 빠지기도 한다. 전설에서는 소호가 즉위했을 때 봉황이 날아왔다고 전해진다.[1]

소호금천씨의 김씨조상설[편집]

소호금천씨는 한국과 중국의 김씨들의 조상으로 많이 언급된다.[2] 특히 한국의 성씨인 경주 김씨김해 김씨는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언급한 기록이 전하기도 한다.[3] 당나라에 살았던 신라인 김씨 부인의 행적을 기록한 대당고김씨부인묘명(だいとうきむ夫人ふじんめい)에는 신라 김씨의 조상이 소호씨금천(しょうひろしきんてん)이라고 새겨져 있다.[4]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에는 가야 출신인 김유신 장군의 묘비명에 가야 김씨가 소호금천씨의 후손이라고 새겨져 있다는 기록이 있다.[5]소호금천을 국조로 삼는 나라가 담국이였으며 새들로 관직명을 정했다.<춘추좌씨전>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春秋しゅんじゅうひだりでん》 〈あきらおおやけ あきらおおやけじゅうななねん じょうわが高祖こうそしょう皞.摯之りつ也.”(우리의 고조 소호지가 즉위할 때, 봉황이 마침 날아 들었다.)
  2. [채널돋보기] 신라 김씨 왕족은 흉노의 후손일까? 매일신문 2008.11.21
  3.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 김씨의 기원 세계일보 2011.04.02
  4. 문무왕릉비 사실상 다 찾은 셈 경향신문 2009.09.03
  5. 김부식, 《삼국사기》, 1145년


전임
황제 헌원씨
중국의 임금(みかど)
기원전 2598년경 ~ 기원전 2514년경
후임
전욱 고양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