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사 (역사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십사사
이름 저자 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배인 100
후한서 유송·범엽·배송지 120
삼국지 서진·진수·배잠 65
진서(すすむしょ) ·방현령·배행검 등 130
송서 ·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ひねしょ)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50
수서 당·위징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200
신당서 ·구양수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토크토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송렴 210
명사 ·장정옥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536
v  d  e  h

신원사(新元しんもと)는 중화민국 성립 후 크샤오민(柯劭忞)(1850-1933, 청사초 임시 편찬 위원이기도 했다)이 편찬하고 1919년 완성된 원나라 1대 기전체 역사서이다. 기존 원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1921년 당시 중화민국 때의 총통 쉬스창에 의해 정사로 추가되어 기존의 이십사사이십오사로 고쳤다.

개요[편집]

명나라의 건국 후 집필된 《원사》는 중국에서 몽골 색을 한시라도 빨리 떨치고 싶었던 명나라 초대 황제 홍무제의 개인적인 의도에 의해 실질적 편찬 기간이 몇 개월로 제한되는 등 부실하기 짝이 없었으며, 홍무제 사후 직후부터 이미 개정론이 나오고 있을 정도였다. 따라서 여러 번 개정 시도가 행해졌고 청나라의 소원평(邵遠たいら)의 《원사유편》과 전대흔(ぜにだい昕)의 《원사씨족표》(げんふみぞくひょう), 홍균의 《원사번역문증보》, 도기(ほふよせ)의 《몽올아사기》(こうむ兀兒史記しき)를 집필했다. 하지만 원나라 자체가 거대한 몽골 제국의 일부로, 몽골 문화, 이슬람 문화, 가톨릭 문화의 사료의 이해가 없다면 정확한 원나라의 역사서가 편찬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원사》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지금까지 선인들의 저작에 가세해 《원조비사》와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의 《집사》 등을 참조하여 《원사》를 개정하는 형태로 편찬되었다. 하지만 이 《신원사》도 《원사》보다는 조금 나아졌을 뿐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세부 사항의 오류 또는 결함이 지적되었을 뿐 아니라, 종래의 원사를 개정 증보한 부분의 근거가 분명하지 않고 원자료에서 잘못 인용한 것도 많다고 비난했다. 따라서 1930년에는 내용을 보완한 것이 간행되어 커샤오민(柯劭忞) 자신도 《신원사고증》(58권)을 저술하고 그 근거에 대해 설명했지만, 몽골 문화와 이슬람 문화만을 참조로 했고 가톨릭 문화는 참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으로도 원나라의 설명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권 수는 본기 26권, 표 7권, 지 70권, 열전 154권해서 총합 257권이다.

내용[편집]

본기(本紀ほんぎ)[편집]

### 제목 군주 시기(음력) 비고
권1 본기1 서기(じょ)
권2 본기2 태조(ふとし) じょう 칭기즈 칸(成吉せいきちおもえ あせ) 1189년 ~ 1205년
(기유년(おのれとりねん) ~ 을축년(おつうしねん))
권3 본기3 태조(ふとし) した 1206년 ~ 1227년 7월
(칭기즈 칸 원년 ~ 칭기즈 칸 22년)
권4 본기4 태종(ふとしむね) 우구데이 칸(窩闊だい あせ) 1219년 ~ 1245년
(칭기즈 칸 14년 ~ 퇴레게네 카툰 섭정 4년)
권5 본기5 정종(定宗さだむね) 귀위크 칸(貴由たかよし あせ) 1233년 ~ 1250년
(우구데이 칸 5년 ~ 오굴 카미시 카툰 섭정 2년)
권6 본기6 헌종(けんむね) 몽케 칸(ゆめあせ) 1251년 ~ 1259년 7월
(몽케 칸 원년 ~ 몽케 칸 9년)
권7 본기7 세조() 1 세첸 칸(薛禪 あせ) 1252년 ~ 1264년 12월
(몽케 칸 2년 ~ 중통(なかみつる) 4년)
권8 본기8 세조() 2 1265년 1월 ~ 1272년 12월
(중통(なかみつる) 5년 ~ 지원(いたりもと) 9년)
권9 본기9 세조() 3 1273년 1월 ~ 1277년 12월
(지원(いたりもと) 10년 ~ 지원(いたりもと) 14년)
권10 본기10 세조() 4 1278년 1월 ~ 1281년 12월
(지원(いたりもと) 15년 ~ 지원(いたりもと) 18년)
권11 본기11 세조() 5 1282년 1월 ~ 1287년 12월
(지원(いたりもと) 19년 ~ 지원(いたりもと) 24년)
권12 본기12 세조() 6 1288년 1월 ~ 1294년 1월
(지원(いたりもと) 25년 ~ 지원(いたりもと) 31년)
권13 본기13 성종(なりむね) じょう 올제이투 칸(かんさわあつし あせ) 1294년 1월 ~ 1298년 12월
(지원(いたりもと) 31년 ~ 대덕(大德だいとく) 2년)
권14 본기14 성종(なりむね) した 1299년 1월 ~ 1307년 1월
(대덕(大德だいとく) 3년 ~ 대덕(大德だいとく) 13년)
권15 본기15 무종(たけはじめ) 쿨룩 칸(きょくりつ あせ) 1300년 8월 ~ 1311년 1월
(대덕(大德だいとく) 4년 ~ 지대(至大しだい) 4년)
권16 본기16 인종(ひとしむね) じょう 부얀투 칸(ひろしがおあつし あせ) 1305년 10월 ~ 1313년 12월
(대덕(大德だいとく) 9년 ~ 황경(すめらぎけい) 2년)
권17 본기17 인종(ひとしむね) した 1314년 1월 ~ 1320년 1월
(연우(のべゆう) 원년 ~ 연우(のべゆう) 7년)
권18 본기18 영종(えいむね) 게겐 칸(かくけん あせ) 1316년 12월 ~ 1323년 8월
(연우(のべゆう) 3년 ~ 지치(いたり) 3년)
권19 본기19 태정제(やすしていみかど) 예손테무르 칸(也孫てつ あせ) 1323년 8월 ~ 1328년 10월
(지치(いたり) 3년 ~ 천순(てんじゅん) 원년)
권20 본기20 명종(あきらむね) 쿠툭투 칸(ゆるがせみやこあつし あせ) 1315년 11월 ~ 1329년 8월
(연우(のべゆう) 2년 ~ 천력(てんれき) 2년)
권21 본기21 문종(ぶんむね) じょう 자아야투 칸(さつきばあつし あせ) 1324년 1월 ~ 1329년 12월
(태정(たいじょう) 원년 ~ 천력(てんれき) 2년)
권22 본기22 문종(ぶんむね) した
영종(やすしむね)
1330년 1월 ~ 1332년 11월
(천력(てんれき) 3년 ~ 지순(いたりじゅん) 3년)
린친발 칸(懿璘しつはんあせ)
권23 본기23 혜종(めぐみむね) 1 우카가투 칸(がらす哈噶 あせ) 1330년 4월 ~ 1340년 12월
(천력(てんれき) 3년 ~ 지원(いたりもと) 6년)
권24 본기24 혜종(めぐみむね) 2 1341년 1월 ~ 1350년 12월
(지정(いたりせい) 원년 ~ 지정(いたりせい) 10년)
권25 본기25 혜종(めぐみむね) 3 1351년 1월 ~ 1358년 12월
(지정(いたりせい) 11년 ~ 지정(いたりせい) 18년)
권26 본기26 혜종(めぐみむね) 4
소종(あきらむね)
1359년 1월 ~ 1378년 4월
(지정(いたりせい) 19년 ~ 선광(宣光のぶみつ) 8년)
빌레그트 칸(必里かつ あせ)

표(ひょう)[편집]

### 제목 비고
권27 표1 종실세표(宗室そうしつひょう)
권28 표2 씨족표(氏族しぞくひょう) じょう
권29 표3 씨족표(氏族しぞくひょう) した
권30 표4 삼공표(さん公表こうひょう)
권31 표5 재상연표(宰相さいしょう年表ねんぴょう)
권32 표6 행성재상연표(くだりしょう宰相さいしょう年表ねんぴょう) じょう
권33 표7 행성재상연표(くだりしょう宰相さいしょう年表ねんぴょう) した

지(こころざし)[편집]

### 제목 목록 비고
권34 지1 역(こよみ) 1
권35 지2 역(こよみ) 2
권36 지3 역(こよみ) 3
권37 지4 역(こよみ) 4
권38 지5 역(こよみ) 5
권39 지6 역(こよみ) 6
권40 지7 역(こよみ) 7
권41 지8 천문(天文てんもん) じょう
권42 지9 천문(天文てんもん) した
권43 지10 오행(ぎょう) じょう
권44 지11 오행(ぎょう) ちゅう
권45 지12 오행(ぎょう) した
권46 지13 지리(地理ちり) 1
권47 지14 지리(地理ちり) 2
권48 지15 지리(地理ちり) 3
권49 지16 지리(地理ちり) 4
권50 지17 지리(地理ちり) 5
권51 지18 지리(地理ちり) 6
권52 지19 하거(かわみぞ) 1
권53 지20 하거(かわみぞ) 2
권54 지21 하거(かわみぞ) 3
권55 지22 백관(百官ひゃっかん) 1
권56 지23 백관(百官ひゃっかん) 2
권57 지24 백관(百官ひゃっかん) 3
권58 지25 백관(百官ひゃっかん) 4
권59 지26 백관(百官ひゃっかん) 5
권60 지27 백관(百官ひゃっかん) 6
권61 지28 백관(百官ひゃっかん) 7
권62 지29 백관(百官ひゃっかん) 8
권63 지30 백관(百官ひゃっかん) 9
권64 지31 선거(選擧せんきょ) 1
권65 지32 선거(選擧せんきょ) 2
권66 지33 선거(選擧せんきょ) 3
권67 지34 선거(選擧せんきょ) 4
권68 지35 식화(しょく貨) 1
권69 지36 식화(しょく貨) 2
권70 지37 식화(しょく貨) 3
권71 지38 식화(しょく貨) 4
권72 지39 식화(しょく貨) 5
권73 지40 식화(しょく貨) 6
권74 지41 식화(しょく貨) 7
권75 지42 식화(しょく貨) 8
권76 지43 식화(しょく貨) 9
권77 지44 식화(しょく貨) 10
권78 지45 식화(しょく貨) 11
권79 지46 식화(しょく貨) 12
권80 지47 식화(しょく貨) 13
권81 지48 예(れい) 1
권82 지49 예(れい) 2
권83 지50 예(れい) 3
권84 지51 예(れい) 4
권85 지52 예(れい) 5
권86 지53 예(れい) 6
권87 지54 예(れい) 7
권88 지55 예(れい) 8
권89 지56 예(れい) 9
권90 지57 예(れい) 10
권91 지58 악(らく) 1
권92 지59 악(らく) 2
권93 지60 악(らく) 3
권94 지61 악(らく) 4
권95 지62 예복(輿こしふく) 1
권96 지63 예복(輿こしふく) 2
권97 지64 예복(輿こしふく) 3
권98 지65 병(へい) 1
권99 지66 병(へい) 2
권100 지67 병(へい) 3
권101 지68 병(へい) 4
권102 지69 형법(刑法けいほう)/형률(けいりつ) じょう
권103 지70 형법(刑法けいほう)/형률(けいりつ) した

열전(列傳れつでん)[편집]

열전
### 부제 목록 비고
권104 열전1 후비(后妃こうひ) <열조(れつちょう)/태조(ふとし) 후비>
선의황후 가액룬(せん皇后こうごう 訶額りん), 광헌익성황후 패아대(ひかりけんじつばさせい皇后こうごう 孛兒だい), 홀란황후(ゆるがせらん皇后こうごう), 야수황후(也遂皇后こうごう), 야속건황후(也速いぬい皇后こうごう), 공주황후(公主こうしゅ皇后こうごう)
<태종(ふとしむね)/정종(定宗さだむね) 후비>
패랄합진황후(孛刺あい皇后こうごう), 소자황후 타렬격날(あきら皇后こうごう 朶列かくこね), 흠숙황후 해미실(欽淑皇后こうごう うみ迷失)
<예종(睿宗)/헌종(けんむね) 후비>
헌의장성황후 사로홀철탑니(あらわ懿莊せい皇后こうごう 唆魯ゆるがせじょうとうあま), 정절황후 홀도대(貞節ていせつ皇后こうごう ゆるがせだい),
<세조() 후비>
첩고륜황후(じょうりん皇后こうごう), 소예순성황후 찰필(あきら睿順せい皇后こうごう 察必), 남필황후(みなみ皇后こうごう), 탑랄해황후(とう剌海皇后こうごう), 속가답사황후(はや哥答おもえ皇后こうごう)
<유종(ひろしむね)/성종(なりむね) 후비>
휘인유성황후 백람야겁적(徽仁ひろしせい皇后こうごう はくあい也怯あか), 정자정의황후 실련답리(さだ慈靜懿皇后こうごう しつ憐答うら), 복로한황후(ぼく魯罕皇后こうごう),
<무종(たけはじめ) 후비>
선자혜성황후 진가(せん慈惠じえきよし皇后こうごう 哥), 속가실리황후(はやしつうら皇后こうごう), 인헌장성황후 수동(じんけんじあきらせい皇后こうごう ことぶきわらわ), 문헌소성황후 당올씨(文獻ぶんけんあきらせい皇后こうごう から兀氏), 백홀적황후(はくゆるがせふえ皇后こうごう)
<인종(ひとしむね)/영종(えいむね) 후비>
장의자성황후 가납실실리(そう懿慈せい皇后こうごう しかおさめしつしつうら), 장정의성황후 속가파랄(そうせい懿聖皇后こうごう そく哥八剌)
<현종(顯宗けんそう)/태정제(やすしていみかど) 후비>
선의숙성황후 보안겁리미실(せん懿淑せい皇后こうごう がおおびえうら迷失), 팔불사황후(はち皇后こうごう)
<명종(あきらむね)/문종(ぶんむね)/영종(やすしむね) 후비>
정유휘성황후 매래적(さだひろし徽聖皇后こうごう 邁來すすむ), 부답실리황후(こたえしつうら皇后こうごう), 답리야특미실황후(こたえうら也忒迷失皇后こうごう)
<혜종(めぐみむね) 후비>
답납실리황후(こたえおさめしつうら皇后こうごう), 백안홀도황후(はくがおゆるがせ皇后こうごう), 완자홀도황후 기씨(かんしゃゆるがせ皇后こうごう )
제공주(しょ公主こうしゅ)
권105 열전2 열조 자손(れつ子孫しそん) 합살아(哈撒), 야생가(也生哥), 세도아(いきおい), 합준(哈準), 안지길대(按只きちたい), 합단(哈丹), 첩목아알적근(じょう哥斡あかきん), 탑찰아(とう察兒), 내안(乃顔), 별극첩아(べつかつじょう), 별륵고대(べつ勒古だい), 구온불화(くちぬるはな)
권106 열전3 태조 자손(ふとし子孫しそん) 1 목종 술적(きよしむね じゅつあか), 발도(拔都), 백륵륵(はく勒克), 망가첩목아(せわし哥帖), 탈탈(だつだっ), 월사별(つきおもえべつ), 악이달(鄂爾たち), 석반(むかしはん), 토알이(斡耳), 탁극첩목아(たくかつじょう)
권107 열전4 태조 자손(ふとし子孫しそん) 2 성종 찰합대(ひじりはじめ 察合だい), 합랄욱렬올(ごう剌旭れつ兀), 야선몽가(也速こうむ哥), 아로홀(おもね魯忽), 박락극(ひろしひしげかつ), 독와(あつし哇), 야선불화(也先はな), 겁백(おびえはく), 독래첩목아(あつしらいじょう), 패달이(かいたちなんじ), 부리(うら), 독랄(禿かぶろ剌), 아랄특납실리(おもね剌忒おさめしつうら)
권108 열전5 태조 자손(ふとし子孫しそん) 3 예종 타뢰(睿宗 拖雷), 욱렬올(あさひれつ兀), 출백(はく), 아팔합(おもねはち哈), 대고탑아(たいいにしえとう)
권109 열전6 태조 자손(ふとし子孫しそん) 4 아로혼(おもね魯渾), 개객도(ぶた喀圖), 합찬(ごうさん), 합아반답(ごうはんこたえ), 불새인(さいいん)
권110 열전7 태조 자손(ふとし子孫しそん) 5 아리불가(おもねさと哥), 약몰홀아(くすりゆるがせ), 발작(ばち綽), 아홀도(きばゆるがせ), 말가(まつ哥), 활렬견(闊列けん), 야불간(也不みき)
권111 열전8 태종 자손(ふとしそう子孫しそん) 합실(ごうしつ), 해도(うみ), 여녕왕 찰팔아(なんじやすしおうはち), 활단태자(闊端太子たいし), 지필첩목아(ただ必帖), 분양왕 별첩목아(汾陽おう べつじょう), 탈탈목아(だつだつ), 활출태자(闊出太子たいし), 실렬문(しつれつもん), 합랄찰아(哈剌察兒), 멸리(めつうら), 아로휘첩목아(おもね魯輝じょう), 합단(ごう)
권112 열전9 정종 자손(定宗さだむね子孫しそん) 홀찰(ゆるがせ察), 뇌홀(のうゆるがせ), 화홀(禾忽), 남평왕 독로(南平なべらおう 禿かぶろ魯)
헌종 자손(けんそう子孫しそん) 반독(はん禿かぶろ), 아속태(おもねはやだい), 옥룡답실(たまりゅうこたえしつ), 살리만(撒里蠻), 위왕 완택(まもるおう かんさわ), 담왕 철철독(郯王 てってっ禿かぶろ), 위왕 관철가(まもるおう ひろしとおる哥), 하평왕 석리길(かわたいらおう むかし里吉さとよし), 올로사불화(兀魯おもえはな), 병왕 황화첩목아(なみおう あきらじょう)
권113 열전10 세조 자손(子孫しそん) 상 유종 진금(ひろしそう 眞金まがね), 현종 감마랄(顯宗けんそう あまあさ剌), 운남왕 송산(雲南うんなんおう 松山まつやま), 양왕 왕선(はりおう おうぜん), 순종 답랄마파랄(じゅんむね こたえ剌麻はち剌), 위왕 아목가(おう 阿木あぎ哥)
권114 열전11 세조 자손(子孫しそん) 하 진왕 망가자(たいおう せわし哥刺), 안서왕 아난답(安西あんざいおう おもねなんこたえ), 북안귀정왕 나목한(きたやすじょうおう 罕), 운남왕 홀가적(雲南うんなんおう ゆるがせ哥赤), 영왕 야선첩목아(營王 也先じょう), 양왕 파잡와랄이밀(はりおう 帀瓦剌爾みつ), 애아적(あいきばあか), 서평왕 오로적(西平にしだいらおう おく魯赤), 진서무정왕 철목아불화(鎭西ちんぜいたけやすしおう てつはな), 운남왕 노적(雲南うんなんおう ろうてき), 예왕 아특사납실리(おう おもね忒思おさめしつうら), 진서무정왕 삭사반(鎭西ちんぜいたけやすしおう 搠思はん), 양충렬왕 당올반(りょうちゅうれつおう とう兀班), 영왕 활활출(やすしおう 闊闊), 진남왕 탈환(鎭南おう だつ歡), 노장(ろうあきら), 패라불화(孛羅はな), 대성노(大聖たいせいやつ), 위순왕 관철불화(じゅんおう ひろしとおるはな), 의왕 화상(よしおう かず尙), 회왕 첩목아불화(淮王 じょうはな), 문제왕 만자(ぶんずみおう 蠻子), 홀도로첩목아(ゆるがせ魯帖)
성종 제자(なりむね諸子しょし)
인종 제자(ひとしそう諸子しょし)
태정제 제자(やすしていみかど諸子しょし)
황태자 덕수(皇太子こうたいし 德壽とくじゅ), 순양왕 올도사불화(じゅんおう 兀都おもえはな), 진왕 마역아간복(すすむおう あさまたあいだぼく), 소사(しょう), 윤단장복(まことぞうぼく)
문종 제자(ぶんむね諸子しょし) 황태자 아랄특납답랄(皇太子こうたいし おもね剌忒おさめこたえ剌), 연첩고사(つばめじょうおもえ), 태평눌(太平たいへい訥)
권115 열전12 홍길랄 특설선(弘吉ひろきちとく薛禪), 역걸렬사 패독(また乞列おもえ 孛禿)
권116 열전13 아랄올사 척길물리(おもね剌兀おもえ 剔吉ゆるがせさと), 파이출아이특적근 역도호(ともえ而朮おもね而忒てききん またみやこまもる)
권117 열전14 찰지랄 찰목합(さつただ札木ふだぎあい), 태적올적 탑이물대(たいあか兀赤 とう而忽だい), 올도역 탈흑탈아(兀都また だつくろぬげおもね)
권118 열전15 객렬역 왕한(きゃくれつまた おう罕), 내만 태양한(乃蠻 太陽たいよう罕)
권119 열전16 목화려(はなはじむ) 상 찰랄아 목화려(さつ剌兒 はなはじむ), 패로(孛魯), 답사(とうおもえ), 패도로(霸都魯), 안동(やすわらわ), 올도대(兀都たい), 배주(はいじゅう)
권120 열전17 목화려(はなはじむ) 하 찰랄아 속혼찰(さつ剌兒 そく渾察), 내연(乃燕), 석덕(碩德せきとく), 별리가첩목아(べつさと哥帖), 상위(あい), 살만(撒蠻), 찰랄아 탈탈(さつ剌兒 だつだっ), 타아지(朶兒ただ), 타아직반(朶兒ちょくはん), 내만대(乃蠻だい), 대손(おびまご), 홀도로(ゆるがせ魯), 탑탑아대(とうとうだい)
권121 열전18 아로랄특 박이술(おもね魯剌とく はくしかうけら), 허올신 박이홀(もと兀愼 はくしかゆるがせ)
권122 열전19 올량합 속불태(兀良ごう そくだい)
권123 열전20 올량합 자륵멸(兀良ごう しゃ勒蔑), 파로랄은 홀필래(ともえ魯剌おん ゆるがせ必來), 별속특 자별(べつそくとく しゃべつ)
권124 열전21 올로특 출적대(兀魯とく うけらあかだい), 망올특 외답아(せわし兀特 かしここたえ)
권125 열전22 패아지근 답아리태척적근(孛兒ただきん こたえおもねさとだい惕赤きん), 황할단 몽력극(あきら豁壇 こうむちからかつ), 파아린 활아적올손(ともえおもね鄰 豁兒あか兀孫), 날고알 찰합안불와(こね歹 察合やすくぼ), 파아린 납아아(ともえおもねおさめきばおもね)
권126 열전23 과과아 홀도호실길(垮垮 ゆるがせとらしつきち), 멸아걸 곡출(蔑兒乞 きょく), 태올특 활활출(たい兀特 闊闊), 당올오밀 찰한(から兀烏みつ 察罕)
권127 열전24 야율 초재(耶律 すわえざい)
권128 열전25 설니척 역로해(ゆきどろまた魯該), 격니격사 홀난(かくどろかくおもえ ゆるがせなん), 별속 질해(べつそく 迭該), 걸안 왕섬(乞顔 ひろし殲), 망홀특 자알(せわしゆるがせとく しゃ歹), 파로랄사 합랄찰아(ともえ魯剌おもえ 哈剌察兒), 파린 활활살사(ともえ鄰 闊闊搠思), 나아륵 종색(きばしゅさく), 답역아(こたえまた), 찰랄역아 아아해합살아(さつ剌亦 阿兒あご孩合撒兒), 장길(てのひらきち), 첩목아(じょう), 멸격독(蔑格禿かぶろ), 탑아홀척 합답안(とうゆるがせあいこたえやす), 활라랄사 설적올아(豁羅剌思 薛赤兀兒), 야객날올린(也客こね兀鄰), 나아올 타알(きば兀 朶歹), 황활단 황답활아(あきら豁壇 あきらこたえ豁兒), 소열 합아홀답(ぬまれつ ごうゆるがせこたえ), 타아별 별도온(朶兒べつ べつみやこあつし), 굉길랄 적알(ひろしよしあか歹), 타아별태 타아백다흑신(朶兒べつだい 朶兒はくくろさる)
권129 열전26 알라납화 걸실리흑(斡羅おさめ 乞失うらくろ), 소열대 초올아(ぬまれつだい しょう兀兒), 겁렬 합산납(おびえれつ 哈散おさめ), 맥리길대 소고아(むぎうらきちだい 紹古), 합로 철매적(ごうてつ邁赤), 찰자대 배연팔도로(さつとげだい はいのべはち魯), 탈탈리대 뉴아걸(だつだつうらだい ひもすぐる), 팔자홀해 암목해(はちとげゆるがせかい 唵木うみ), 별속 초아(べつそく しょう), 산죽대 순지해(珊竹だい じゅん只海ただのうみ)
권130 열전27 안탄탈탈리 활활불화(按攤だつだつさと 闊闊はな), 액렬역독별간 안찰아(きゃくれつまた禿かぶろべつ 按札), 액렬역독별간 초내태(きゃくれつまた禿かぶろべつ あやか乃台), 철륵지올알 오야이(撤勒ただ兀歹 われ也而), 몽길극렬 삭직돌로고(こうむよしかつれつ 槊直腯魯はな), 달리백 내단(いたるうらはく 乃丹), 찰리태 특목태(さつだい 忒木だい)
권131 열전28 새이 아자천(さいえびす おもねとげあさ), 팔와이 아자와이사(はちかわらみみ おもねとげかわら而思), 아로혼 합지합심(おもね魯渾 哈只哈心), 조아가반(ちょうおもね哥潘), 이오려 탑본(われいおり とうほん)
권132 열전29 찰자역아 대활아(さつとげまた だい豁兒), 알라납아 아지내(斡羅おさめ おもねただ乃), 손도사 탑해발도아(へりくだおもえ とう孩拔), 겁렬 속가(おびえれつ そく哥), 소올렬대 실로해나안(ぬま兀列だい しつ魯孩がお), 일기 석리길사(佚其 むかし里吉さとよしおもえ)
권133 열전30 겁렬 진해(おびえれつ 鎭海), 여해열 점합중산(おんな奚烈 ねばごう重山かさねやま), 겁렬 패로환(おびえれつ 孛魯歡), 찰랄아 망가살아(さつ剌兒 せわし哥撒)
권134 열전31 야율 유가(耶律 とめ哥), 포선 만노(がままんやつ), 왕순(おう珣)
권135 열전32 야율 아해(耶律 おもねうみ), 이랄 날아(うつりこね), 석말 야선(いし抹 也先), 석말 명안(いしあかりやす), 석말 패질아(いし抹 孛迭), 석말 해주(いしうみじゅう), 야율 특말(耶律 忒末)
권136 열전33 외올아 비리가첩목아(かしこ兀兒 仳理とぎ), 살길사(撒吉おもえ), 합랄아사란도대(哈剌阿おもえあららぎだい), 탑탑통아(とうとうすべおもね), 합랄역합적북로(哈剌また哈赤きた魯), 맹속사(はじめそくおもえ), 팔단(はち), 석반(むかしはん)
권137 열전34 엄실(いむみのる), 장진형(ちょうすすむとおる), 제영현(ひとしさかえあらわ), 악존(たけそん), 왕덕록(おういさお祿ろく), 신형조(しんとおる祚), 필숙현(畢叔けん), 염진(閻珍), 손경(まごけい), 제규(ひとしけい), 병절(秉節)
권138 열전35 사병직(ふみ秉直)
권139 열전36 장유(ちょうやわら)
권140 열전37 장영(ちょうさかえ), 유정(りゅうかなえ), 장적(ちょうすすむ)
권141 열전38 동준(ただししゅん)
권142 열전39 왕세현(ひろしあらわ)
권143 열전40 석규(いし珪), 왕진(おうちん), 양걸지가(楊傑ただ哥), 유통(りゅうとおる), 유빈(りゅうあきら), 조유(ちょうやわら), 경복(耿福), 계원(つぎもと)
권144 열전41 장자량(張子はりこりょう), 왕정(おう檉), 고선(こうせん), 저순(やしきじゅん), 장전(ちょうあきら), 광재(ただしざい), 초덕유(こげとくひろし), 이방단(くにはし), 장우(ちょうはね), 왕균(おうひとし)
권145 열전42 조천석(ちょうたかしすず), 조진(ちょう瑨), 조적(ちょうすすむ), 매탑랄혼(かいとう剌渾), 교유충(たかしおもんみちゅう), 원상(袁湘), 왕조(おうちょう), 조상(ちょうさち), 섭규(聶珪), 근화(靳和), 왕수도(おう守道もち), 이백우(はくたすく), 양언진(楊彦ちん), 오신(しん), 단직(だんじき), 주헌신(しゅうけんじしん)
권146 열전43 유백림(りゅうはくりん), 협곡 상가(夾谷 つね哥), 곽보옥(かく寶玉ほうぎょく), 석천응(いしてんおう)
권147 열전44 이수현(まもるけん), 하실(なに), 유형안(りゅうとおるやす), 설탑랄해(薛塔剌海), 고요아(こう鬧兒), 왕의(おうよし), 오돈 세영(おくあつし えい), 전웅(ゆう), 장발도(ちょう拔都), 장영(ちょうさかえ), 손위(まご)
권148 열전45 학화상발도(郝和尙拔), 하백상(なにはくさち), 왕선(おうよし), 양영(りょうあきら), 두풍(もりゆたか), 왕옥(おうたま)
권149 열전46 조안축이(ちょう按竺邇), 마월내합(うまがつ乃合)
권150 열전47 한첩격알 작아마한(翰帖かく歹 綽兒罕), 별속특 패주(べつそくとく かいじゅう), 강리 대이발도(かんさと 岱爾拔圖), 일기 탈홀찰아(佚其 だつゆるがせ察兒), 황활단 속객도(あきら豁壇 そくきゃく), 과탑아 살리(垮塔 撒裏), 일기 성첩목아(佚其 なりじょう), 위랍특 아아혼(まもるひしげとく 阿兒あご渾)
권151 열전48 상교주(つね咬住), 오둔 세영(おくたむろ えい), 야리 질아(也裏 迭兒), 석말 명리(いしあかりうら), 유합랄팔도로(りゅう哈喇はち魯), 허국정(もとこく楨)
권152 열전49 내만 월리마사(乃蠻 がつうらあさおもえ), 속여규 탑불이화(たばりょただす とうやめ), 알이나 겁겁리(斡耳 おびえおびえうら), 올로대 패한(兀魯たい 孛罕), 설역 합팔아독(薛亦 哈はち禿かぶろ), 아속 아아사란(おもねはや 阿兒あごおもえらん), 아속 실랄발도아(おもねはや しつ剌拔), 아속 구아길(おもねはや くちきち), 몽고 실리백(こうむ しつさとはく), 흠찰 곤도대(欽察 ひつじさる岱), 굉길랄 합랄강(ひろしよしあい剌江), 극렬 욱실대(かつれつ 勖實たい), 멸리걸 지아합랑(めつうらただ哈郞)
권153 열전50 전사숙(嗣叔), 맹덕(はじめとく), 정의(ていよし), 공언휘(鞏彦あきら), 유은(りゅうおん), 석고산(いし高山こうざん), 수세창(ずいあきら), 하지(祉), 초정(すわえかなえ), 장균(ちょうひとし), 왕석랄(おうむかし剌), 이천우(天祐てんゆう)
권154 열전51 아속 항홀사(おもねはや くいゆるがせおもえ), 아속 발도아(おもねはや 拔都), 첩적(じょうあか), 백아오 홀도사(はくきばわれ ゆるがせおもえ), 외오 엽선내(かしこわれ 僊鼐), 외오 첩가출탐화애홀적(かしこわれ じょう哥朮さがせはなあいゆるがせあか), 탈력새관(脫力だつりょくかん), 갑랄로 야한적근(くしげ剌魯 也罕てききん), 답답대 단지아(こたえこたえたい だんただ), 답랄아태 탈환(こたえ剌兒だい だつ歡), 굉길랄 패란해(ひろしよし剌 孛蘭奚), 겁렬(おびえれつ), 외올 월거련적해아(かしこがつきょれん赤海あこうみきば), 백아오 야속대아(はくきばがらす 也速䚟兒), 흠찰 석도아(欽察 むかし), 안적알 활리길사(按赤歹 闊里きちおもえ), 옥여백리 백행(たまりょはくさと はくぎょう), 내만 철련(乃蠻 鐵連てつれん), 모극박라(謨克はく)
권155 열전52 새전적섬사정(さいてんあか贍思ひのと), 염포로해아(れんぬの魯海きば), 멸리길 활활(蔑里きち 闊闊)
권156 열전53 고지요(こうさとし耀), 이정(楨), 유용(りゅうひろし), 당올 활활출(から兀 闊闊), 타아적(朶兒あか), 당올 암백(からくらはく)
권157 열전54 유병충(りゅう秉忠), 장문렴(ちょうぶんれん), 두묵(竇默), 요추(姚樞)
권158 열전55 상정(しょうてい), 조양필(ちょうりょう弼), 양과(楊果), 송자정(そうさだ), 조벽(ちょう璧), 장웅비(ちょう雄飛ゆうひ)
권159 열전56 파린 백안(ともえはくがお)
권160 열전57 아리 해애(おもねさと かい涯), 답랄아 아랄한(こたえ剌兒 おもね剌罕), 달달아 망올태(いたるたち せわし兀台), 흠찰 완자발도(欽察 かんしゃ拔都)
권161 열전58 야포 앙길아(がま 昻吉), 합로 합랄대(哈魯 哈剌䚟), 몽고 홀자출(こうむ ゆるがせとげ), 타로백대 엽체미실(朶魯はくたいわたる), 강리 탑리적(かんさと とうさとあか), 합자로 사전(哈刺魯 すなぜん), 알지리(謁只さと), 낭가알(囊家歹)
권162 열전59 이정(にわ), 유국걸(りゅうこくすぐる)
권163 열전60 이홀란길(ゆるがせらんきち), 정정(ていかなえ), 이진(すすむ), 석말 안지(いし抹 按只), 정온(ていあつし), 석말 걸아(いし乞兒ほいと)
권164 열전61 산죽대 뉴린(珊竹たい ひも璘), 몽고 속가(こうむいにしえ そく哥)
권165 열전62 장흥조(ちょうきょう), 영옥(やすしだま), 장영실(ちょうさかえ), 여덕(りょとく), 주국보(しゅ國寶こくほう), 오우(たすく), 양정(りょうただし), 장태형(ちょうやすしとおる), 왕수신(おうまもるしん), 황의(すめらぎあつし), 근충(靳忠), 채진(蔡珍), 유용세(りゅうよう), 소진(), 왕균(おうひとし), 계정장(にわあきら)
권166 열전63 장희(ちょう禧), 가보(賈輔), 왕국창(王國おうこくあきら), 해성(かいまこと), 조갑랄(ちょうくしげ剌), 공원(あなもと), 장홍(ちょうひろし), 조백성(ちょうはくなり), 호익(とらえき), 장만가노(ちょうまんいえやつ), 곽앙(かく昻), 기공직(綦公じき), 완안 석주(かんがお 石柱せきちゅう), 정개복(ほどかいぶく), 장립(ちょうりつ)
권167 열전64 유현(ゆうあらわ), 가거정(賈居さだ), 조병(ちょう炳), 이덕휘(いさおてる), 장덕휘(ちょういさおてる), 마형(うまとおる), 하영조(なにさかえ), 정사렴(ほどおもえれん)
권168 열전65 학경(郝經)
권169 열전66 진호(ひね祜)
권170 열전67 허형(もと衡), 유인(りゅういん), 오징(きよし)
권171 열전68 이야(冶), 양공의(楊恭懿), 왕순(おうまこと), 곽수경(かくまもるけい), 제이겸(ひとしくつけん)
권172 열전69 장정진(ちょうにわちん), 장입도(ちょう立道たつみち), 양증(りょう曾), 이극충(かつただし)
권173 열전70 곽여매(かくなんじうめ), 장병(ちょう炳), 원유(袁裕), 맹기(はじめ祺), 왕정옥(おう廷玉), 유호례(りゅうこうれい), 이원(李元りげん), 장초(ちょういしずえ), 진원개(ちんもと凱), 허즙(もとかじ), 손현(まごあらわ), 왕현조(おうあらわ)
권174 열전71 이병이(秉彜), 담징(覃澄), 사중온(しゃなかあつし), 강욱(きょう彧), 고원(こうはじめ), 한정(かんまさし), 풍호(馮岵), 호지휼(えびす祗遹), 왕강(おうつな), 조세귀(曹世たか), 첨사룡(詹士りゅう), 고양필(高良こうら弼), 백동(しろとう), 손택(孫澤まごさわ), 조굉위(ちょうひろしえら)
권175 열전72 하인걸(じんすぐる), 가석랄(賈昔剌), 여합랄(りょあい剌)
권176 열전73 홍복원(ひろしぶくげん), 왕준(おう綧)
권177 열전74 양대연(楊大ふち), 유정(りゅうせい), 하귀(夏貴なつき), 여문환(りょぶん煥), 범문호(范文とら), 관여덕(かん如德), 왕적옹(おうつもるおう), 주환(しゅ煥), 진혁(ひね奕), 포수경(かばひさしかのえ), 마성룡(うましげるりゅう), 주전(しゅうあきら)
권178 열전75 흠찰 백첩목아(欽察 はくじょう), 아속 옥와실(おもねはや だま哇失), 본관중 합답손(本關ほんせきちゅう 哈答まご), 찰태 걸태(察台 乞台), 탈탈특 답답가아(だつだつこたえこたえしか), 합자로 답실만(哈刺魯 こたえしつ蠻), 올속아길 갈랄(兀速きち 曷剌), 팔로랄애 홀림실(はち魯剌礙 ゆるがせりんしつ), 아속 철리(おもねはや とおるさと)
권179 열전76 백아올 토토합(はくきば哈)
권180 열전77 찰랄아 사도(紮剌 唆都), 이항(ひさし), 번즙(樊楫)
권181 열전78 사필(ふみ弼), 고흥(こうきょう), 외오아 역흑미실(かしこわれ またくろ迷失)
권182 열전79 주청(しゅきよし), 장선(ちょう瑄), 나벽(璧), 당올 황두(からあたま), 아로위 교동(おもね魯威 咬童)
권183 열전80 최빈(ちぇあきら), 송흠기(そう欽其), 유선(りゅうせん), 진장경(しんちょうきょう), 양거관(楊居ひろし), 양타아지(楊朶ただ), 소배주(しょうはいじゅう)
권184 열전81 요천복(姚天ぶく), 최욱(ちぇ彧)
권185 열전82 왕반(おういわお), 이창(あきら), 유숙(りゅう肅), 왕악(おうみさご), 서세륭(じょたかし), 맹반린(はじめよじうろこ)
권186 열전83 장혜(ちょうめぐみ), 석천린(いしてん麟), 양식(楊湜), 장방(ちょう昉), 장천우(ちょう天祐てんゆう), 고휴(こう觿), 장구사(ちょうきゅうおもえ), 학빈(郝彬), 왕백승(おうはくかち)
권187 열전84 상문(尙文), 이겸(けん), 왕약(おうやく), 장승(ちょうます)
권188 열전85 왕운(おう惲), 고명(高鳴たかな), 왕사렴(王思おうしれん), 마소(うま紹), 염복(閻復), 왕의(おう倚), 고극공(こうかつきょう), 협곡 지기(夾谷 ), 장몽해(臧夢かい), 연공남(つばめこうくすのき), 백각(はくつとむ), 이간(衎), 장백순(ちょうはくあつし)
권189 열전86 정거부(ほど鉅夫), 원각(袁桷)
권190 열전87 조맹부(ちょうはじめ頫), 엽리()
권191 열전88 왕구(おう構), 위초(はつ), 유민중(りゅうさとしちゅう), 송도(そう衜), 초양직(こげやしなえじき), 양환(楊桓), 상야(尙野), 이지소(紹), 사단(しゃはし), 조감(曹鑑)
권192 열전89 외올 안장(かしこ安藏あぞう), 외오 가로납답사(かしこわれ 迦魯おさめこたえおもえ), 대승도(大乘だいじょう), 당인조(からじん), 회흘 결실미악(かいいさぎよじつわたるらく), 올옥독실(兀玉篤實とくじつ), 외오 탈렬해아(かしこわれ だつれつうみきば), 회흘 연지불화(かいつばめただはな), 외올 망올적근(かしこせわし兀的きん), 외올 보안(かしこがお)
권193 열전90 조천린(ちょうたかし麟), 정개부(ていかいおっと)
권194 열전91 육구(りく耉), 이공진(拱辰), 반택(はんさわ), 이정(廷), 왕도(王道おうどう), 곽욱(かくいく), 임인발(にんじんはつ), 묘호겸(なえこうけん), 한충(かんおき)
권195 열전92 진사제(ひねおもえずみ), 양정(りょうさだ), 신도 치원(さるほふ 致遠), 뇌응(かみなり膺), 서의(じょあつし), 등안상(滕安じょう), 소태등(しょうたいとう), 장완(ちょうかん), 권병충(けん秉忠), 왕흥조(おうきょう), 황긍파(肯播)
권196 열전93 이원례(もとれい), 조벽(ちょう璧), 진기종(はたおこりむね), 석욱(せきいく), 한국창(韓國かんこくあきら), 원선(元善もとよし), 동납(ただしおさめ), 조사로(ちょう魯), 어흠(於欽), 송익(そうつばさ), 양안차이불화(楊按箚爾はな), 양환(楊煥), 호이(えびす彜)
권197 열전94 일기 화례곽손(佚其 かずあや霍孫), 토별연 완택(べつつばめ かんさわ), 전아로혼살리(ぜんおもね魯渾薩裏), 연지길태 철리(つばめただきちだい てっうら), 강리 독홀로(かんうら 禿かぶろゆるがせ魯)
권198 열전95 알랄납아 할랄합손(斡剌おさめ 哈剌哈孫), 강리 불홀목(かんうら ゆるがせ), 회회(かいかい), 노노(巙巙)
권199 열전96 가내 철가(とぎてつ哥), 걸대 보제(乞臺 ずみ), 강리 알라사(かんうら 斡羅斯), 애설(あい薛), 곡추(きょくくるる), 외올 탈호탈(かしこだつとらだっ), 삼보노(三寶さんぽうやつ), 백찰한(しろ察罕)
권200 열전97 강리 아사불화(かんうら おもねすなはな), 역납탈탈(またおさめだつだっ)
권201 열전98 이맹(はじめ), 경엄(けいげん), 곽관(かくぬき), 유정(りゅうただし), 왕의(おうあつし), 고방(こう昉)
권202 열전99 장손례(ちょうまごれい), 장양호(ちょうようひろし), 조백계(曹伯けい), 왕수(おうひさし), 사양(しゃゆずる), 오원규(もと珪), 창사문(とおるぶん), 조원용(曹元よう)
권203 열전100 왕이용(おう利用りよう), 유사의(りゅうことよし), 곽명덕(かく明德あきのり), 마후(うま煦), 한약우(かんわか), 울지 덕성(じょうおそ とくまこと), 유덕온(りゅういさおあつし), 오정(かなえ), 유윤(りゅうじゅん), 진단(ひねはし), 복천장(ぼくてんあきら), 왕간(おううしとら), 오공조(きょう), 송숭록(そうたかし祿ろく)
권204 열전101 욱매걸(あさひ邁杰), 도랄사(たおせ剌沙)
권205 열전102 회흘 아례해애(かい阿禮あれいうみ涯), 답답랍 탈인납(こたえこたえひしげ だついんおさめ), 내만태 화상(乃蠻だい 尙), 아속 교화(おもねはや 敎化きょうか), 준태 만가려(じゅんだい まんいえうさぎうま), 찰랄아 도리첩목아(さつ剌兒 闍里じょう), 흠찰 올로사(欽察 兀魯おもえ)
권206 열전103 원선명(げん善明よしあき), 등문원(鄧文ばら), 우집(おそれしゅう), 게혜사(揭傒斯), 황진(溍), 구양 현(おう げん)
권207 열전104 양덕규(りょういさお珪), 장사명(ちょうおもえあきら), 진호(ひね顥), 부암기(でんいわおこり), 왕사굉(おうひろし)
권208 열전105 장기암(ちょうおこりがん), 허유임(もとゆうみずのえ), 송본(そうほん), 왕결(おうゆい), 구준(かたき浚), 왕사성(王思おうしまこと)
권209 열전106 멸아길태 탈탈(蔑兒きちだい だつだっ)
권210 열전107 아로온 철리첩목아(おもね魯溫 てっさとじょう), 연지길상 별아겁불화(つばめただよしべつおびえはな), 강리 정주(かんさと 定住ていじゅう), 굉길랄 태불화(ひろしよしふとはな), 유합랄불화(りゅう哈剌はな), 한록로 로적사(罕祿魯 ろうてきすな)
권211 열전108 공규(みつぎ奎), 사태(やすし), 왕수성(おうまもるまこと), 이호문(好文よしふみ), 패출로 충(孛朮魯 翀), 소천작(天爵てんしゃく), 오직방(直方なおかた), 양우(楊瑀), 녹노증(逯魯曾), 증복중(曾福なか), 유문(りゅう聞), 장저(ちょう翥), 주백기(しゅうはく琦), 공극견(あなかつけん)
권212 열전109 왕극경(おうかつけい), 최경(ちぇたかし), 한용(かん鏞), 개묘(盖苗), 귀양(かえり暘), 서석(じょ奭)
권213 열전110 여사성(りょおもえまこと), 무기(たけ祺), 성준(なり遵), 가로(賈魯)
권214 열전111 회회 혁혁저아이정(かいかい 奕赫抵雅なんじひのと), 회흘 야눌(かい訥), 합랄걸태 회회(哈剌乞台 かいかい), 첨사(瞻思), 연지길상 자당(つばめただよしとう), 날고 독렬도(こね あつしれつ), 타로백타 완자도(朶魯はくかんしゃ), 겁렬 달리마식리(おびえれつ たちさとあさ識里), 몽고 축적(こうむ うしてき)
권215 열전112 다례백태 월로첩목아(多禮たれはくだい がつ魯帖), 당올오밀 복안첩목아(から兀吾みつ ぼくがおじょう), 도동(みちわらわ), 달리마(いたるさとあさ), 식리(識理), 야속(也速)
권216 열전113 이사섬(贍), 장정(ちょう楨), 진조인(ひねじん)
권217 열전114 이보(黼), 한준(かんじゅん), 백아오 태불화(はくきばわれ やすしはな), 번집경(樊執けい), 왕택민(ひろし澤民たくみん), 당올특 복수(から兀特 福壽ふくじゅ), 하방(かた), 저불화(褚不はな), 내만 보화첩목아(乃蠻 じょう), 유악(りゅうみさご)
권218 열전115 동단소(ただし摶霄), 여궐(闕)
권219 열전116 성길(ほしきち), 석말 의손(いしむべまご), 멸리고사(邁里 おもえ), 소우룡(ともりゅう), 당올 야아길니(から兀 也兒よし), 진유정(ひね有定ありさだ)
권220 열전117 이찰한첩목아(察罕じょう), 왕확곽첩목아(おう擴廓じょう), 이사제(おもえひとし), 이노보(ろう), 위새인불화(さいいんはな), 관관(せきせき), 관보(せきたもつ), 유칙례(りゅうのりれい)
권221 열전118 신저일(しん苴日), 양한영(楊漢えい), 송아중(そうおもねじゅう), 양완자(楊完しゃ), 증화(曾華)
권222 열전119 이단(璮), 왕문통(おうぶんみつる)
권223 열전120 회흘 아합마(かいおもね合馬おうま), 여세영(いおりさかえ), 외올 상가(かしこくわ哥), 요속목(ようたば)
권224 열전121 몽고 철목질아(こうむ てつ迭兒), 멸아길 백안(蔑兒きち はくがお), 강리 합마(かんさと 哈麻)
권225 열전122 한림아(かんりん), 장사성(ちょうまこと)
권226 열전123 서수휘(じょひさしてる), 진우량(ちんともりょう), 명옥진(あかりだまちん)
권227 열전124 방국진(かたこくちん), 하진(なにしん), 소종유(邵宗いよいよ), 이질(ただし), 진균의(ちんひとしよし), 진순륭(ちんしゅんたかし), 진양옥(ちんりょうだま), 구보상(おうひろしさち), 등극명(鄧克明こくめい), 웅천서(くまてんみず), 왕선신(おうせんしん)
권228 열전125 파로랄사 첩목아(ともえ魯剌おもえ じょう)
권229 열전126 순리(循吏) 유의(りゅうよし), 사천길(しゃてんきち), 조진옥(ちょうたま), 황순옹(じゅんおきな), 창진(くら), 증충자(曾冲), 장경(ちょうこう), 갈영(かずらさかえ), 제극중(ひとしかつちゅう), 조지(ちょうこころざし), 염종(閻從), 왕거인(おう琚仁), 두처원(もりしょすなお), 유제(りゅうわたる), 주혜(しゅうめぐみ), 이영(すぐる), 허유정(もと維楨), 왕덕량(おういさおあきら), 전자(しげる), 왕안정(おう安貞やすさだ), 형유(邢裕), 병인(秉仁), 서태형(じょやすしとおる), 진춘(ひねはる), 야율 백견(耶律 はくけん), 진초선(ひねすわえせん), 유휘(りゅうあきら), 가겸(柯謙), 구사(きゅうおもえ), 왕초옹(おうあやかおう), 노극치(克治かつじ), 조양보(ちょう良輔りょうすけ), 진염유(ひねえんとり), 우굉의(于宏あつし), 손천정(まご天正てんしょう), 외올 연립첩목아(かしこつばめりつじょう), 암도랄(諳都剌), 양경행(楊景ぎょう), 간문전(ぶんでん), 임흥조(はやしきょう), 당올 관음노(から觀音かんのんやつ), 주자강(しゅうつよし), 백경량(しろけいあきら), 하일자(なつつとむ), 섭이도(聶以どう), 노기(琦), 왕대중(おう大中でじゅん), 야선 불화(せん はな), 추백안(鄒伯がお), 유병직(りゅう秉直), 허의부(もと義夫よしお), 곽사공(かくおもえきょう), 걸렬의 합랄불화(杰烈むべ ごう剌不はな), 나문환(ぶん煥), 이유윤(おもんみうるう), 엽삼(もり), 공도(あな濤), 임천생(林泉りんせんせい), 무사공(繆思きょう)
권230 열전127 충의(忠義ちゅうぎ) 1 유합랄발도(攸哈剌拔), 임지(にんこころざし), 유천부(りゅうたかしまこと), 감문흥(闞文きょう), 장환(ちょう桓), 소경무(しょうけいしげる), 후언직(ほう彦直), 포경룡(ぬのけいりゅう), 모탁(もう鐸), 축흥가(しゅくきょう), 번복(樊復), 장회덕(ちょうふところとく), 조대(刁代), 이순(じゅん), 동문언(ただし文彦ふみひこ), 한심연(かんこころふち), 주굉(しゅうひろし), 이제(ひとし), 주희동(しゅうどう), 한인(かんいん), 변침(卞琛), 소십(しょうじゅう), 이중형(なかとおる), 교이(たかしつね), 장암기(ちょういわおこり), 오덕신(いさおしん), 왕좌(王佐おうさ), 안유(かお瑜), 왕사원(おうもと), 양박(楊朴), 손휘(まご撝), 석보(いしひろし), 성소(盛昭もりあき), 양승(楊乘), 납속랄정(おさめそく剌丁), 보동(たからわらわ), 해로정(うみ魯丁), 호선(えびすぜん)
권231 열전128 충의(忠義ちゅうぎ) 2 정옥(ていたま), 김보암철리(きむひろしあん撒里), 합해적(哈海あか), 왕영충(おうさかえただし), 주당(しゅう讜), 사일로(しゃいち魯), 섭병(聶炳), 유정손(りゅう阱孫), 석흥손(せききょうまご), 유술조(兪述), 계완택(かつらかんさわ), 몽고 축려(こうむ うし閭), 풍삼(馮三), 패라첩목아(孛羅じょう), 팽정견(彭庭けん), 왕백안(おうはくがお), 진양영(ちんようみつる), 유준(りゅう浚), 선사 건(ぜんしゃ けん), 타리불화(朶里はな), 진군용(ちんくんよう), 복리아돈(ぼくきばあつし), 찰랄태 조해(さつ剌台 しおうみ), 황소(紹), 황운(くも), 두원(もと), 위중립(中立ちゅうりつ), 장선(あきらぜん)
권232 열전129 충의(忠義ちゅうぎ) 3 왕흡(おう翕), 고문정(高文たかふみかなえ), 양증보(りょう曾甫), 등가현(鄧可けん), 장항(ちょうひさし), 장우명(ちょう友明ともあき), 진원선(ひね元善もとよし), 엽경인(けいじん), 나량(りょう), 장진구(ちょうすすむきゅう), 조관광(ちょう觀光かんこう), 반백수(はんはくおさむ), 주성덕(しゅうまこととく), 유공관(りゅうこうひろし), 왕전(おう銓), 유량(りゅうりょう), 양춘(楊椿), 이당경(棠卿), 추세문(鄒世聞), 진겸(ちんけん), 이청칠(きよしなな), 임몽정(はやしゆめただし), 하선(なつ璿), 보원리(ひろしもと), 탕자원(ねがい), 왕백정(ひろしはくせい), 강일신(こう日新にっしん), 허진(もとすすむ), 유원모(りゅうもと謨), 장승(ちょうます), 서태(舒泰), 황복규(ふくけい), 황익(翊), 양본암(楊本いわお), 팽계개(彭繼凱), 소동선(しょうどうぜん), 풍문거(馮文きょ), 상경인(尙景じん), 속양증(たばね曾), 유이충(りゅう以忠), 신보(神保じんぼ), 형비한(邢飛翰), 장중인(ちょうなかひとし), 장명덕(ちょうめいとく), 제욱(ひとしいく), 등조승(鄧祖かち), 장사성(ちょうまこと), 오눌(訥), 여아달덕(うさぎうま達德たつのり), 백첩목아(かしわじょう), 첩리미실(たたみうらわたる)
권233 열전130 충의(忠義ちゅうぎ) 4 합랄로 백안(哈剌魯 はくがお), 주춘(しゅはる), 곡정규(たに廷珪), 매주(かいじゅう), 장봉의(ちょうおおとりただし), 웅의산(くまよしさん), 매실(うめみのる), 낭과알(囊果歹), 주면(しゅう冕), 나휘(あきら), 유굉도(ゆう宏道ひろみち), 목설비(薛飛), 왕영(おうすぐる), 몽고 보안불화(こうむ がおはな), 민본(閔本), 배주(はいじゅう), 조굉의(ちょうひろしあつし), 근한(すみれ哻), 장용(ちょういさお), 정호례(ちょうこうれい), 주공선(しゅ公選こうせん), 손덕겸(まごとくけん), 협란(葉蘭はらん), 백안자중(はくがお子中こなか), 왕한(おう翰), 채자영(蔡子えい), 적종(狄琮), 하후 상원(なつこう 尙元)
권234 열전131 유림(儒林) 1 조복(ちょうふく), 김이상(きむくつさち), 장수(ちょう盨), 호병문(えびす炳文), 경영(たかしあきら), 허겸(もとけん), 장추(ちょうくるる), 설현(薛玄), 마도관(うま道貫みちつら), 진유(ひね庾), 모응룡(牟應りゅう), 웅붕래(くま朋來ほうらい), 차약관(くるまわかたがね), 서지망(じょこれもう), 호일계(えびすいちかつら), 대양제(戴良ひとし), 웅화(くま禾), 마단림(うまはし臨), 유염(兪琰), 유덕연(りゅういさおふち), 설원(薛元), 하중(なにちゅう), 동박(ただしほお), 영조(さかえはじめ), 후균(ほうひとし)
권235 열전132 유림(儒林) 2 황초연(超然ちょうぜん), 진응윤(ひねおうじゅん), 왕야옹(おうおきな), 정역동(ちょうえきひがし), 왕신자(おうさる), 임사림(にんりん), 조채(ちょうさい), 서지상(じょさち), 위신지(しん), 오하거(かすみきょ), 구부국(邱富こく), 동진경(ただしきょう), 장리(ちょうさとし), 정룡(ほどりゅう), 정환(ほど煥), 오우(まが), 뇌광정(雷光らいこう霆), 진심(ちんふかし), 오추(鄒), 유정(りゅうせい), 사몽경(ふみこうむきょう), 주정(しゅうかなえ), 양수(楊璲), 하태형(なつやすしとおる), 유근(りゅう瑾), 왕천여(おう天與てんよ), 황경창(けいあきら), 유고(兪皋), 웅복(くまふく), 모응룡(もうおうりゅう), 황택(さわ), 초열(こげえつ), 동여(どうじょ), 제오거인(だいきょじん), 오계공(敖繼こう), 구규(邱葵), 맹문룡(はじめぶんりゅう), 진옥(はたたま), 오사도(師道しどう), 진보(ちんひろし), 한성(かんせい), 웅양보(くまりょう), 진력(ひねくぬぎ), 보팔(はち), 조원박(曹元はく), 오의(ただし), 무각(たけつとむ)
권236 열전133 유림(儒林) 3 유장손(りゅうそうまご), 유팽수(りゅう彭壽), 임기종(はやしおこりむね), 척숭증(戚崇ぞう), 정단례(ほどはしれい), 예연(倪淵), 진호(ひね澔), 풍익옹(馮翼おきな), 팽사(彭絲), 우문공량(宇文うぶんおおやけりょう), 사계부(ふみじき), 조유계(ちょうゆうかつら), 문인몽길(聞人ゆめきち), 진강(ちんつよし), 진초(ひねきこり), 모해(牟楷), 정시등(ほどとう), 정복심(ほどふくしん), 사백선(ふみはく璿), 첨도전(詹道でん), 황경선(けいぼし), 증관(曾貫), 주인영(しゅうひとしさかえ), 자견(かた), 맹몽(はじめゆめまこと), 종률(たねりつ), 황청로(きよしろう), 단경금(たんかのえきん), 유한(兪漢), 주공천(しゅこう遷), 주은로(しゅかくれろう), 유림(りゅう霖), 진모(ひね謨), 주문손(しゅう聞孫), 소광조(邵光), 유섭원(兪燮もと), 조방(ちょう汸), 강극관(こうかつひろし)
권237 열전134 문원(文苑ぶんえん) 상 양환(楊奐), 원택(いん), 육문규(りくぶんけい), 양익(はりえき), 유진옹(りゅうたつおきな), 황규(けい), 나지인(こころざしじん), 주밀(周密しゅうみつ), 노지(摯), 대표원(戴表もと), 진부(ちんまこと), 풍자진(馮子), 홍희문(ひろしまれぶん), 공숙(龔璛), 송무(そう), 백정(しろ珽), 유응구(りゅうおうかめ), 원회(もと淮), 원역태(袁易やすし), 선우추(鮮于くるる), 정저손(てい滁孫), 도손(とうまご), 요응봉(姚應おおとり), 사휘(しゃあきら), 오구연(われ邱衍), 구원(かたきとお), 양재(楊載), 양강중(楊剛ちゅう), 이환(桓), 유선(りゅう詵), 용인부(りゅうひとしおっと), 유악신(りゅうたけしさる), 진려(ひねたび), 정문(ほどぶん), 진역증(ひね繹曾), 이형(泂), 왕경현(おうけいけん), 범곽(范椁), 류관(やなぎぬき), 이효광(孝光たかみつ), 주문정(しゅぶん霆), 주치(しゅうはせ), 주덕윤(しゅいさおじゅん), 고휘(顧輝), 마영(うま瑩), 황숙영(叔英), 오복손(ぶくまご), 호위(えびす渭), 이존(そん)
권238 열전135 문원(文苑ぶんえん) 하 태실만 살도랄(むちしつ蠻 薩都剌), 주권(しゅうけん), 진태(ちんやすし), 황허(もと), 양사홍(楊士ひろし), 만백(まんしろ), 신경(からしけい), 주정(しゅうさだ), 정대동(てい大同だいどう), 사공정(ふみ公廷こうてい), 부약금(でんわかきん), 이강(やすし), 갈라록 내현(かずら邏祿 乃賢), 황개(玠), 하실(なんしつ), 정이림(ほど以臨), 왕봉(おう逢), 포도원(がま道源どうげん), 잠안경(岑安きょう), 사종가(しゃむね), 정원우(ていもとたすく), 호천유(えびすてんゆう), 주정진(しゅう霆震), 오정옹(じょうおう), 손철(まごわだち), 곽옥(かく鈺), 서적(舒頔), 이기(祁), 왕례(おうあや), 대량(戴良), 오해(くれかい), 왕면(おう冕), 전유선(ぜにおもんみぜん), 장욱(ちょう昱), 도종의(とうそうただし), 고덕휘(顧德てる), 곽익(かくつばさ), 양유정(楊維楨), 장헌(ちょうけん), 장우(ちょうあめ), 정학년(ちょうづるねん), 예찬(倪瓚), 황공망(公望きんもち), 오진(鎭), 왕몽(おうこうむ)
권239 열전136 독행(篤行とっこう) 상 전희(), 무륜(繆倫), 조호연(浩然こうぜん), 서사안(じょがお), 진두룡(ひねりゅう), 호경청(えびすけいきよし), 안응우(かおおうたすく), 조응상(ちょうおうさち), 주고상(しゅうぞう), 왕윤(おうじゅん), 곽도경(かくみちきょう), 좌경(きょう), 정위(廷煒), 소도수(しょうどうことぶき), 곽구구(かくいぬいぬ), 장윤(ちょううるう), 병세통(苪世どおり), 정후(ちょう煦), 주존의(しゅうそん), 전개주(あらためじゅう), 영저구(やすしいのししいぬ), 이가노(やつ), 관여림(かん如林), 답립미리 필야속(こたえりつ迷里 畢也そく), 윤몽룡(いんゆめりゅう), 번연(樊淵), 뇌록손(よりゆき祿ろくまご), 유덕천(りゅういさおいずみ), 주현(しゅあらわ), 오사달(おもえたち), 주여해(しゅなんじ諧), 곽회(かくかい), 공전(あなぜん), 장자기(張子はりこ夔), 진걸아(ひね乞兒ほいと), 조국안(ちょう國安くにやす), 장침(ちょう琛), 양일(楊一), 장본(張本ちょうほん), 장경(ちょうけい), 원선(元善もとよし), 각상(却祥), 조육(ちょう毓), 호광원(えびすこうとお), 방준(龐遵), 진소손(ひね韶孫), 이충(ただし), 오국보(國寶こくほう), 이무(しげる), 양인(ひつじじん), 황각경(さとしけい), 장경손(あきらきょうまご), 유전(兪全), 이붕비(ほう), 날고사 철철(こねおもえ てってっ), 왕초응(おうはつおう), 시합덕(ほどこせあいとく), 석명삼(いしあかりさん), 정문사(ていぶん嗣), 태화흠(ふとし欽), 왕천(おう荐), 곽전(かくあきら), 유덕(りゅういさお), 마압홀(うま押忽), 양호(楊皞), 정문충(ちょう文忠ふみただ), 소경조(邵敬), 이언충(彦忠), 곽성(かくしげる), 호탁(扈鐸), 손수실(まご秀實ひでみ), 이자경(けい), 종기(そう杞), 조영(ちょうさかえ), 오도직(みちじき), 여병(へい), 서옥(じょ鈺), 윤신(いん莘), 손희현(まごまれけん), 복승영(うらない勝榮かつえい), 유정양(りゅう廷讓), 유통(りゅうとおる), 황일(鎰), 정상일(ちょう祥一しょういち), 장왕구(ちょう旺舅), 장사효(ちょうおもえこう), 두우(もりたすく), 장수(長壽ちょうじゅ), 양외승(はりがいそう), 손근(まご瑾), 오희증(のぞみ曾), 장공(ちょうきょう), 자여도(訾汝どう), 조일덕(ちょう一德かずのり)
권240 열전137 독행(篤行とっこう) 하 요중실(姚仲), 하영경(なつひさしけい), 황일청(一淸かずきよ), 축대창(しゅく大昌だいしょう), 엽이청(以淸), 진옥(はたたま), 왕용(おういさお), 황윤(贇), 유기(りゅう琦), 유원(りゅうはじめ), 육사효(りくおもえこう), 강겸(きょうけん), 호반려(えびす伴侶はんりょ), 왕사굉(おうひろし), 하종의(なにしたがえよし), 합도적(哈都あか), 고필달(こう必達), 증덕(曾德), 왕사총(王思おうしさとし), 황도현(黃道こうどうけん), 사언빈(史彦ふみひこあきら), 장소조(ちょう紹祖), 이명덕(明德あきのり), 장집(ちょう緝), 위경익(けいえき), 탕림(霖), 손억(まごそもそも), 석영(いしひさし), 왕극이(おう克已かつみ), 유사경(りゅうおもえけい), 여우(りょゆう), 주악(しゅうらく), 당곡(からこく)
권241 열전138 은일(隱逸いんいつ) 장특립(ちょう特立とくりつ), 정사초(ていおもえあやか), 사고(しゃ翺), 오사제(おもえひとし), 방봉(ほうおおとり), 당옥(から鈺), 임경희(はやしけい熙), 왕염오(おうえんうま), 장굉의(ちょうひろしあつし), 공개(龔開), 왕원량(ひろしもとりょう), 손동발(まご潼拔), 조우흠(ちょうとも欽), 육쇠(りく釗), 장경지(ちょう慶之よしゆき), 왕의단(おうよしはし), 왕창세(おう昌世まさよ), 두영(もりあきら), 두본(もりほん), 왕감(おう鑒)
권242 열전139 방기(かたわざ) 전충량(忠良ただよし), 근덕진(靳德すすむ), 이준민(俊民としたみ), 장강(ちょうやすし), 요응회(廖應淮), 팽복(彭復), 주중고(しゅうなかだか), 이국동(こくどう), 이고(杲), 나천익(たかしえき), 두행충(竇行冲), 주진형(しゅしんとおる), 왕리(おうくつ), 유악(りゅうたけし), 아니가(おもねあま哥), 유원(りゅうはじめ), 주옥(しゅたま), 이시()
권243 열전140 석로(しゃくろう) 팔사파(はちおもえともえ), 단파(きもともえ), 필란납식리(必蘭おさめ識里), 구처궤(おかしょつくえ), 마옥(うま鈺), 담처단(たんしょはし), 유처원(りゅうしょもと), 왕처일(おうしょいち), 학대통(郝大どおり), 손불이(まご不二ふじ), 강태진(かん泰眞たいしん), 기지성(祁志まこと), 장종연(ちょう宗演そうえん), 장유손(ちょうとめまご), 오전절(ぜんふし), 역희성(酈希まこと), 장청지(ちょう淸志きよし), 소보도(しょう輔道), 이거수(きょことぶき), 막기염(莫起えん)
권244 열전141 열녀(れつおんな) 상 주출홀 처 최씨(しゅううけらゆるがせ つま ちぇ), 이백통 처 주씨(はくどおり つま あまね), 곽삼 처 양씨(かくさん つま 楊氏), 유평 처 호씨(りゅうひら つま えびす), 왕씨 딸(おう おんな), 양거관 계실 마씨(楊居ひろし 繼室けいしつ ), 정붕비 처(ほどおおとり つま), 정흥 심씨(ていきょう 沈氏), 재복고 처(復古ふっこ つま), 가경 처 한희맹(賈瓊 つま かんのぞみはじめ), 서군보 처(じょくんたから つま), 임해민부 왕씨(臨海りんかいみん おう), 무용 처 소씨(たけよう つま ), 강문주 처 범묘원(こうぶん つま 范妙もと), 계주 류씨(あざみしゅう やなぎ), 담절부 조씨(たんふし ちょう), 유동조 처 임씨(りゅう つま りん), 곽씨 두 며느리(霍氏 ), 원천유 처 초씨(袁天ひろし つま こげ), 분주 임씨(邠州 つとむ), 건주 전씨(いぬいしゅう ), 임주 양씨(臨川りんせん りょう), 왕묘린(おうたえ璘), 주선림 처 주씨(しゅさきあきら つま あまね), 사천여 처 등씨(しゃてん輿こし つま 鄧氏), 진존신 처 정씨(ひねそんしん つま ほど), 진약영(ちんわかえい), 몽고 지로화진(こうむ ただ魯花しん), 송중영 처 양씨(そうなかさかえ つま りょう), 왕덕정 처 곽씨(おう德政とくせい つま かく), 호주 낭씨(みずうみしゅう ろう), 동평 정씨(東平とうへい てい), (だいやすし 杜氏とうじ), 안서 양씨(安西あんざい 楊氏), 진씨 두 딸(はた 二女じじょ), 손씨 딸(まご おんな), 허씨 딸(もと おんな), 장씨 딸(ちょう おんな), 장흥조 처 주씨(ちょうきょう つま あまね), 조효부(ちょうたかし), 곽영 처 단씨(霍榮 つま だん), 흥화 오씨(興和こうわ ), 주호 처 모씨(しゅとら つま かや), 유신지 처 문씨(兪新 つま 聞氏), 이오 처 유씨( つま りゅう), 마영(うますぐる), 조씨 딸 옥아(ちょう おんな だま), 풍숙안(馮叔やす), 이군진 처 왕씨(くんしん つま おう), 야율홀도불화 처 이랄씨(耶律ゆるがせはな つま うつり剌氏), 조와아(ちょう哇兒), 사문사문(こと聞), 주숙신(しゅよししん), 갈묘진(かずらみょうしん), 외씨 세 딸(かしこ さんじょ), 장매노 처 왕씨(ちょうかいやつ つま おう), 왕의 처 노씨(おうよし つま ), 장의부(ちょうよし), 정백문 처 정씨(ていはくぶん つま ちょう), 갈효녀(かずら孝女こうじょ), 조미 처 왕씨(ちょうよし つま おう), 이동아(ふゆ), 혜고아 처 이씨(めぐみだか つま ), 옹고자 탈탈니(雍古とげ だつだつあま), 이세안 처 왕씨(世安よやす つま おう), 조빈 처 주금가(ちょうあきら つま しゅにしき哥), 왕씨 딸 안가(おう おんな やす哥), 몽고 귀가(こうむ 哥), 태숙령 처 유씨(たい叔齡 つま りゅう), 이지정(さとしさだ), 채삼옥(蔡さんたま), 황백영 처 옹씨(はくえい つま 雍氏), 당두보 처 문씨(からつま ぶん), 마영 처 왕씨(うまえい つま おう), 김여안(きむなんじやす), 진도안 처 서씨(ちんみちやす つま じょ), 한양가 처(かんりょう つま), 당축아(からうし), 류씨 딸(やなぎ おんな), 전자순 두 딸(ぜにじゅん 二女じじょ), 한궤 처 형씨(かんつま 邢氏), 안양 소씨(安陽あんよう しょう), 마서향(うま瑞香みずか), 초삼 처 역씨(こげさん つま えき), 곤산 장씨(こんやま ちょう), 계부 처 황씨(とみ つま ), 곤산효절부(こんやまこう節婦せっぷ)
권245 열전142 열녀(れつおんな) 중 태원 백씨(ふとしげん しろ), 호효녀태(えびす孝女こうじょやすし), 임중문 처 임씨(にんなかぶん つま りん), 영거빈 처 독길씨(やすしきょあきら つま どくよし), 한균 처 유씨(かんつま りゅう), 부하 처 진씨(でん つま ちん), 유사지 처 서씨(りゅう つま じょ), 고우 장씨 딸(こうちょう おんな), 고우 고씨(こうだか), 이경문 처 서씨(けいぶん つま じょ), 진윤부 처 시씨(はたじゅんおっと つま しば), 정기 처 나묘안(ていつま たえやす), 진숙진(ちんよししん), 좌유백 처 용씨(ひだりようしろ つま りゅう), 초사렴 처 왕씨(こげれん つま おう), 유공익 처 소씨(りゅうこうつばさ つま しょう), 가절부 진씨(柯節 ちん), 월아(つき娥), 정씨(ちょう), 종절부(たね節婦せっぷ), 유기지(りゅう冀之), 의열녀 타나(義烈ぎれつおんな 朶那), 보녕 한씨 녀(やすし かん おんな), 호묘단(えびすみょうはし), 양왕 딸(はりおう おんな), 여승노(おんなそうやつ), 연첩목아 처 탈탈회 씨(つばめじょう つま だつだつふところ), 신유 처 부씨(からしつま でん), 사오 처 서씨( つま じょ), 장춘아(ちょうはる), 진필 처(しんひつ つま), 오묘녕(たえやすし), 공서 처 주씨(あなつま あまね), 장정(ちょうさだ), 오양정(良正よしまさ), 가선 처 송신(賈善 つま そうしん), 하부 하씨(なに ), 비원수(もと璓), 양절부 오씨(楊節 ), 육도부 조씨(りく燾婦 ちょう), 서사견(じょしゃ蠲), 팽구만 처 이씨(彭九まん つま ), 황원규 처 유씨(もとけい つま 兪氏), 장미원 처 사씨(ちょうわたるどお つま しゃ), 임극성 처 진씨(はやしかつなり つま ちん), 유공익 처 소씨(りゅうこうつばさ つま しょう)
권246 열전143 열녀(れつおんな) 하 여항 요씨(くい 姚氏), 방녕 처 관성랑(ほうやすし つま かんせいむすめ), 맹지강 처 의씨(はじめこころざしつよし つま ころも), 조덕 처 후씨(曹德 つま こう), 왕염 처 반씨(おうつま はん), 오자공 처 장씨(きょう つま 蔣氏), 유중형 처 전씨(りゅうなかとおる つま でん), 이사제 첩 정씨(おもえひとし わらわ てい), 양휘 처 장씨(楊輝 つま ちょう), 탕기(琦), 유사연 처 동씨(兪士ふち つま わらわ), 혜사현 처 왕씨(めぐみげん つま おう), 비은 처 왕씨(かくれ つま おう), 주부 모씨(しゅう もう), 정상현 처 이씨(ちょう尙賢 つま ), 이순아(じゅん), 오수정 처 우씨(守正もりまさ つま 禹氏), 황중기 처 주씨(なかおこり つま しゅ), 풍씨(馮氏), 채씨(蔡氏), 흐흠찰 야선홀도(欽察 也先ゆるがせ), 여언능 처 유씨(りょ彦能 つま りゅう), 원씨 고녀(袁氏 おんな), 서윤양 처 반묘원(じょまことゆずる つま はんたええん), 왕기 처 채씨(おうつま 蔡氏), 조수 처 허씨(ちょうつま もと), 장정몽 처 한씨(ちょうただしこうむ つま かん), 계예 처 하씨(するど つま なん), 유씨 두 딸(りゅう 二女じじょ), 우동조 처 조씨(于同 つま 曹氏), 이중의 처 유취가(なかよし つま りゅうみどり哥), 이홍익 처 신씨(ひろしえき つま さる), 안씨(あん), 주여지 딸(しゅう如砥 おんな), 적항 처 서씨(狄恒 つま じょ), 이마아 처 원씨(うま つま 袁氏), 왕사명 처 이새아(おうあきら つま さい), 소기 처 화씨(邵琪 つま 華氏かし), 도종애(とうはじめ嬡), 도종완(とうはじめ婉), 왕숙(おうよし), 발라첩목아 처 고려씨(勃羅じょう つま だかうらら), 장눌 처 유씨(ちょうつま りゅう), 장사효 처 화씨(ちょうおもえこう つま 華氏かし), 몽고 복안적근(こうむ ぼくがおてききん), 안사도 처 유씨(安志あんじどう つま りゅう), 송겸 처 조씨(そうけん つま ちょう), 제소 처 유씨(ひとしわらい つま りゅう), 왕종인 처 송씨(おうそうひとし つま そう), 왕이겸 처 제씨(おうくつけん つま ひとし), 왕시 처 안정동(おう つま 安正やすまさどう), 서노두 처 악씨(じょ猱竇 つま だけ), 정서 처 김씨(ほどじょ つま きん), 패출원 처 뇌씨(孛朮どお つま かみなり), 무관영(たけかん嬰), 왕자온 처 제씨(王子おうじゆたか つま 諸氏しょし), 행당 포씨(こうから かば), 평양 조씨(たいらよう ちょう), 이종이 처 하씨(宗頤そうえん つま なつ), 이가(哥)
권247 열전144 환자(宦者) 이방녕(くにやすし), 장중저(ちょうなか翥), 야선첩목아(さきじょう), 조백안불화(ちょうはくがおはな), 박불화(ぼくはな)
권248 열전145 운남호광사천등처만이(くも南湖みなみここう四川しせんとうしょ蠻夷ばんい)
권249 열전146 외국(外國がいこく) 1 고려(高麗こうらい)
권250 열전147 외국(外國がいこく) 2 일본(日本にっぽん)
권251 열전148 외국(外國がいこく) 3 안남(やすみなみ)
권252 열전149 외국(外國がいこく) 4 면국(はるこく), 섬여라(暹與), 팔백식부(はちひゃく媳婦)
권253 열전150 외국(外國がいこく) 5 점성(うらないじょう), 조와(つま哇), 유구(ながれもとむ), 도이제국(しまえびす諸國しょこく)
권254 열전151 외국(外國がいこく) 6 서역(西域せいいき)
권255 열전152 외국(外國がいこく) 7 각아지(かくただ), 나마(うま), 소아매니아(しょうおもね昧尼), 아특이패점(おもねとく而佩うらない), 극아만(かつ漫), 해랍탈(うみひしげだっ), 토이기(みみもと), 인도(印度いんど)
권256 열전153 외국(外國がいこく) 8 목랄이(剌夷), 보달(ほうたち), 서리아(西里にしさと)
권257 열전154 외국(外國がいこく) 9 알라사(斡羅斯), 흠찰(欽察), 강리(かんさと), 마찰아(うまさつ), 파란(なみらん)

외부 링크[편집]

상:(1권/본기1 - 111권/열전15)하:(112권/열전16 - )(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