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북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북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십사사
이름 저자 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배인 100
후한서 유송·범엽·배송지 120
삼국지 서진·진수·배잠 65
진서(すすむしょ) ·방현령·배행검 등 130
송서 ·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ひねしょ)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50
수서 당·위징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200
신당서 ·구양수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토크토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송렴 210
명사 ·장정옥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536
v  d  e  h

북사(きた)는 중국 북조의 역사서로 이대사에 의해 편찬이 시작되었고, 그의 아들인 이연수에 의해 완성된 이십사사 중의 하나인 역사서이다. 전체 100권이며, 본기 12권, 열전 8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의 북조에 해당하는 왕조인 북위, 서위, 동위, 북제, 수나라의 역사를 담고 있다. 조령이나 상주문을 배제하고 서사에 중점을 두고 기술하였으며, 총량은 단대사인 《위서》, 《북제서》, 《주서》, 《수서》를 합한 절반 정도이며, 단대사 4서에는 볼 수없는 내용도 적지 않다. 특히 위서에 기록되지 않은 서위의 인물에 대한 증보 부분이 크다.

내용

[편집]

본기

[편집]
### 제목 시기(음력) 비고
(たかし)
권1 위 본기1 제1 태조 도무제(ふとし どうたけみかど)
태종 명원제(ふとしそう あきらもとみかど)
220년 ~ 423년 11월
(신원제(かみもとみかど) 원년 ~ 태상(たいつね) 8년)
권2 위 본기2 제2 세조 태무제( ふとたけみかど)
공종 경목제(きょうそう けいきよしみかど)
고종 문성제(こうそう 文成ふみなりみかど)
현조 헌문제(あらわ けんじぶんみかど)
423년 11월 ~ 471년 8월
(태상(たいつね) 8년 ~ 황흥(すめらぎきょう) 5년)
권3 위 본기3 제3 고조 효문제(高祖こうそ 孝文たかふみみかど) 471년 8월 ~ 499년 4월
(연흥(のべきょう) 원년 ~ 태화(ふとし) 23년)
권4 위 본기4 제4 세종 선무제(むね せんみかど)
숙종 효명제(肅宗 孝明たかあきみかど)
499년 4월 ~ 528년 4월
(태화(ふとし) 23년 ~ 무태(たけやすし) 원년)
권5 위 본기5 제5 경종 효장제(たかしそう たかしそうみかど)
절민제(ふし閔帝)
폐제(廢帝はいてい)
효무제(こうたけみかど)
서위 문제(西にしたかし ぶんみかど)
서위 폐제(西にしたかし 廢帝はいてい)
서위 공제(西にしたかし きょうみかど)
동위 효정제(あずまたかし こうせいみかど)
526년 8월 ~ 556년 12월
(북위 효창(孝昌たかまさ) 2년 ~ 서위 공제(きょうみかど) 3년)
(ひとし)
권6 제 본기うえ 제6 고조 신무제(高祖こうそ 神武じんむみかど)
세종 문양제(むね ぶんじょうみかど)
525년 ~ 549년 8월
(북위 효창(孝昌たかまさ) 원년 ~ 동위 무정(たけじょう) 7년)
권7 제 본기なか 제7 현조 문선제(あらわ 文宣ふみのぶみかど)
폐제(廢帝はいてい)
숙종 효소제(肅宗 孝昭たかあきみかど)
549년 8월 ~ 561년 11월
(동위 무정(たけじょう) 7년 ~ 황건(すめらぎけん) 2년)
권8 제 본기した 제8 세조 무성제( たけしげるみかど)
후주(こうぬし)
유주(幼主ようしゅ)
561년 11월 ~ 577년 1월
(태녕(ふとしやすし) 1년 ~ 승광(うけたまわひかり) 원년)
(しゅう)
권9 주 본기うえ 제9 태조 문제(ふとし ぶんみかど)
효민제(こう閔帝)
세종 명제(そうあきらみかど)
534년 1월 ~ 560년 4월
(북위 영희(えい熙) 3년 ~ 무성(たけしげる) 2년)
권10 주 본기した 제10 고조 무제(高祖こうそ たけしみかど)
선제(せんみかど)
정제(せいみかど)
560년 4월 ~ 581년 2월
(무성(たけしげる) 2년 ~ 대정(だいじょう) 원년)
(ずい)
권11 수 본기うえ 제11 고조 문제(高祖こうそ ぶんみかど) 580년 2월 ~ 604년 7월
(북주 대상(だいぞう) 2년 ~ 인수(ひとしことぶき) 4년)
권12 수 본기した 제12 양제(煬帝)
공제(きょうみかど)
604년 7월 ~ 618년 5월
(인수(ひとしことぶき) 4년 ~ 의녕(よしやすし) 2년)

열전

[편집]

후비 열전

[편집]
후비 열전
### 부제 인물 비고
권13 열전1 후비(后妃こうひ) じょう <위 후비( 后妃こうひ)>
신원두황후(かみもと皇后こうごう), 문제봉황후(ぶんみかどふう皇后こうごう), 환제유황후(桓帝おもんみ皇后こうごう), 평문왕황후(平文へいぶんおう皇后こうごう), 소성모용황후(あきらなり慕容皇后こうごう), 헌명하황후(けんじ明賀あすが皇后こうごう), 도무모용황후(みちたけ慕容皇后こうごう), 도무선목유황후(みちたけせんきよしりゅう皇后こうごう), 명원소애요황후(あきら元昭もとあきあい皇后こうごう), 명원밀두황후(明元あけもとみつもり皇后こうごう), 태무혁련황후(ふとしたけ赫連皇后こうごう), 태무경애하황후(ふとしたけたかしあい皇后こうごう), 경목공욱구려황후(けいきよしきょういくひさ皇后こうごう), 문성문명풍황후(文成ふみなり文明ぶんめい皇后こうごう), 문성원이황후(文成ふみなりもと皇后こうごう), 헌문사이황후(けんじぶんおもえ皇后こうごう), 효문정임황후(孝文たかふみさだはやし皇后こうごう), 효문폐풍황후(孝文たかふみはい皇后こうごう), 효문유풍황후(孝文たかふみかそけ皇后こうごう), 효문문소고황후(孝文たかふみ文昭ふみあきだか皇后こうごう), 선무순우황후(せんたけじゅん皇后こうごう), 선무고황후(せんだか皇后こうごう), 선무영호황후(せんれいえびす皇后こうごう), 효명호황후(孝明たかあきえびす皇后こうごう), 효무고황후(こうたけだか皇后こうごう), 문을불황후(西にしたかしぶんおつどる皇后こうごう), 문도욱구려황후(西にしたかしぶん悼郁ひさ皇后こうごう), 폐제우문황후(廢帝はいてい宇文うぶん皇后こうごう), 공제약간황후(きょうみかど若干じゃっかん皇后こうごう), 효정고황후(こうせいだか皇后こうごう)
권14 열전2 후비(后妃こうひ) した <제 후비(ひとし 后妃こうひ)>
신무명황후 누소군(かみ武明たけあき皇后こうごう 婁昭くん), 연연공주 욱구려씨(蠕蠕公主こうしゅ いくひさ閭氏), 문양경원황후 원씨(ぶんじょうけいもと皇后こうごう), 낭야공주 원옥의(琅邪公主こうしゅ もとたま), 문선황후 이조아(文宣ふみのぶ皇后こうごう 娥), 단소의(だんあきら), 효소원황후(孝昭たかあきもと皇后こうごう), 무성호황후(たけしげるえびす皇后こうごう), 홍덕이부인(ひろしとく夫人ふじん), 후주곡률황후(しゅ斛律皇后こうごう), 후주호황후(しゅえびす皇后こうごう), 후주황후 목야리(しゅ皇后こうごう きよしよこしま), 후주좌황후 풍소련(しゅひだり皇后こうごう 馮小憐)
<주 후비(しゅう 后妃こうひ)>
문제원황후(ぶんみかどもと皇后こうごう), 문선질노황후(文宣ふみのぶしかやつ皇后こうごう), 효민황후 원호마(こう皇后こうごう もとえびす), 명경독고황후(あきらたかしどく皇后こうごう), 무성아사나황후(たけしげるおもね皇后こうごう), 무제황후 이아자(たけみかど皇后こうごう 娥姿), 선제황후 양여화(せんみかど皇后こうごう 楊麗はな), 선제황후 주만월(せんみかど皇后こうごう滿月まんげつ), 선제황후 진월의(せんみかど皇后こうごう ひねがつ), 선제황후 원악상(せんみかど皇后こうごう もとらく尙), 선제황후 위지번치(せんみかど皇后こうごう じょうおそしげるおき), 정제황후 사마영희(せいみかど皇后こうごう 司馬しばれいひめ)
<수 후비(ずい 后妃こうひ)>
문헌황후 독고가라(文獻ぶんけん皇后こうごう どく伽羅きゃら), 선화진부인(せんはなひね夫人ふじん), 용화채부인(ようはな蔡夫じん), 양민소황후(煬湣しょう皇后こうごう)

위 열전

[편집]
위 열전
### 부제 인물 비고
권15 열전3 위 종실(諸宗しょしゅうしつ) <신원제 자손(かみもとみかど 子孫しそん)>
상곡공 흘라(上谷うえたにこう 紇羅), 건덕공 영문(建德けんとくこう 嬰文), 진정후 륙(じょうこう りく), 무릉후 인(たけりょうこう いん), 장락왕 수락(長樂ながらおう ひさしらく), 망도공 퇴(望都もとおおやけ 頹), 곡양후 소연(きょくこう もとのべ), 순양공 욱(じゅんこう いく), 의도왕 목진(むべおう たつ), 목제장자 육수(きよしみかど長子ちょうし ろくおさむ), 길양남 비간(よしようおとこ ), 강하공 여(江夏えなつこう りょ)
<평문제 자손(平文へいぶんみかど 子孫しそん)>
고량왕 고(こうすずかおう ), 서하공 돈(西河にしかわこう あつし), 사도 석(つかさ せき), 무위장군 위(たけまもる將軍しょうぐん いい), 회릉후 대두(淮陵こう 大頭おおと), 하간공 제(河間こうまこう ひとし), 부풍공 처진(扶風こう しょしん), 문안공 니(ぶんやすおおやけ どろ)
<소성제 자손(あきらなりみかど 子孫しそん)>
탁발식군(つぶせばつまことくん), 진명왕 한(はた明王みょうおう 翰), 상산왕 준(つね山王さんのう 遵), 진류환왕 건(ひねとめ桓王 けん), 비릉왕 순(毗陵おう じゅん), 요서공 의열(りょう西にしこう れつ), 탁발굴돌(つぶせばつくつ咄)
권16 열전4 도무제 7왕(みちななおう) 청하왕 소(淸河きよかわおう 紹), 양평왕 희(陽平ようへいおう 熙), 하남왕 요(河南かなんおう 曜), 하간왕 수(河間こうまおう おさむ), 장락왕 처문(長樂ながらおう しょぶん), 광평왕 련(廣平ひろへいおう れん), 경조왕 려(きょうちょうおう はじむ)
명원제 6왕(明元あけもとろくおう) 낙평여왕 비(樂平よしひらもどおう 丕), 안정상왕 미(安定あんてい殤王 わたる), 낙안선왕 범(らくやすせんおう はん), 영창장왕 건(永昌えいしょうそうおう けん), 건녕왕 숭(たてやすしおう たかし), 신흥왕 준(新興しんこうおう しゅん)
태무제 5왕(ふとしおう) 진왕 복라(すすむおう ふく), 동평왕 한(東平とうへいおう 翰), 임회선왕 담(臨淮せんおう たん), 광양간왕 건(廣陽こうよう簡王 けん), 남안은왕 여(みなみやすかくれおう あまり)
권17 열전5 경목제 12왕(けいきよしじゅう二王におう) じょう 양평유왕 신성(陽平ようへいかそけおう 新成しんせい), 경도강왕 자추(きょうちょうかんおう 推), 제음선왕 소신성(すみかげせんおう しょう新成しんせい), 여음영왕 천사(なんじかげれいおう たかしたまもの), 낙랑여왕 만수(らくなみ厲王 まんことぶき), 광평상왕 낙후(廣平ひろへい殤王 らくこう)
권18 열전6 경목제 12왕(けいきよしじゅう二王におう) した 임성강왕 운(にんじょうやすしおう くも), 남안혜왕 정(みなみあんめぐみおう 楨), 성양강왕 장수(城陽じょうようやすしおう 長壽ちょうじゅ), 장무경왕 태락(あきらたけたかしおう ふとしらく), 낙릉강왕 호아(らくりょうやすしおう えびす), 안정정왕 휴(安定あんていやすしおう きゅう)
권19 열전7 문성제 5왕(文成ふみなりおう) 안락여왕 장락(安樂あんらく厲王 長樂ながら), 광천장왕 략(廣川ひろかわそうおう りゃく), 제군순왕 간(ひとしぐんじゅんおう 簡), 하간효왕 약(河間こうまこうおう わか), 안풍광왕 맹(あんゆたかただしおう たけし)
헌문제 6왕(けんじぶんろくおう) 함양왕 희(咸陽おう 禧), 조군영왕 간(ちょうぐんれいおう みき), 광릉혜왕 우(廣陵こうりょうめぐみおう ), 고양문목왕 옹(こうぶんきよしおう 雍), 팽성무선왕 협(彭城たけせんおう 勰), 북해평왕 상(北海ほっかいひらおう しょう)
효문제 6왕(孝文たかふみろくおう) 폐태자 순(はい太子たいし まこと), 경도왕 유(きょうちょうおう 愉), 청하문헌왕 역(淸河きよかわ文獻ぶんけんおう 懌), 광평무목왕 회(廣平ひろへいたけきよしおう ふところ), 여남문선왕 열(なんじみなみ文宣ふみのぶおう えつ), 원조(もと恌)
권20 열전8 위조(まもるみさお), 막함(莫含), 유고인(りゅうひとし), 위고진(じょうしん), 목숭(きよしたかし), 해근(奚斤), 숙손건(叔孫けん), 안동(やすどう), 유업연(庾業のべ), 왕건(おうけん), 나결(ゆい), 누복련(ろうふくれん), 여대비(閭大こえ), 해목(奚牧), 화발(ばつ), 막제(莫題), 하적간(狄干), 이률(ぐり), 해권(奚眷)
권21 열전9 연봉(つばめおおとり), 허겸(もとけん), 최굉(ちぇひろし), 장곤(ちょう衮), 등언해(鄧彦うみ)
권22 열전10 장손숭(ちょうまごかさ), 장손도생(ちょうまご道生みちお), 장손비(ちょうまごこえ)
권23 열전11 우율제(于栗磾)
권24 열전12 최령(ちぇたくまし), 왕헌(おうけん), 봉의(ふう懿)
권25 열전13 고필(弼), 장려(ちょうはじむ), 유결(りゅうきよし), 구퇴(おかうずたか), 아청(娥淸), 이후(珝), 을괴(おつ瑰), 주기(しゅういく), 두대전(まめ代田だいだ), 차이락(くるまらく), 왕낙아(おうらく), 차노두(くるま路頭ろとう), 노노원(魯元), 진건(ちんけん), 내대간(らいだい), 숙석(宿やどせき), 만안국(まん安國やすくに), 주관(しゅうかん), 위발(じょうばち), 육진(りくしん), 여낙발(りょらく拔), 설표자(薛彪), 위원(じょうもと), 모용백요(慕容しろ曜), 화기노(其奴), 구퇴(苟頹), 우문복(宇文うぶんぶく)
권26 열전14 송은(そうかくれ), 허언(もと彦), 조옹(刁雍), 신소선(からし紹先), 위랑(韋閬), 두전(もり銓)
권27 열전15 굴준(こごめ遵), 장포(ちょうがま), 곡혼(こく渾), 공손표(公孫こうそんひょう), 장제(ちょうわたる), 이선(さき), 가이(賈彝), 두근(竇瑾), 이흔(訢), 한연지(かん延之のぶゆき), 원식(袁式), 모수지(もう修之のぶゆき), 당화(から), 구찬(寇贊), 역범(酈範), 한수(かんしげる), 요훤(堯暄), 류숭(やなぎたかし)
권28 열전16 육사(りく俟), 원가(みなもと), 유니(りゅう), 설제(薛提)
권29 열전17 사마휴지(司馬しばきゅう), 사마초지(司馬しばすわえ), 유창(りゅうあきら), 소보인(しょうたから夤), 소정표(しょうせいひょう), 소지(しょう祗), 소퇴(しょう退すさ), 소태(しょうやすし), 소휘(しょう撝), 소원숙(しょうえん肅), 소대원(しょうだい圜)
권30 열전18 노현(げん), 노유(やわら), 노관(かん), 노동(どう), 노탄(誕)
권31 열전19 고윤(こうまこと), 고우(こうゆう), 노조(曹)
권32 열전20 최감(ちぇ鑒), 최변(ちぇべん), 최정(ちぇてい)
권33 열전21 이령(れい), 이순(じゅん), 이효백(たかしはく), 이예(裔), 이의심(よしふかし)
권34 열전22 유아(ゆうみやび), 고려(こう閭), 조일(ちょういつ), 호수(えびす叟), 호방회(えびすかたかい), 장담(ちょうじん), 단승근(だんうけたまわ), 함인(闞駰), 유정명(りゅうのべあきら), 조유(ちょうやわら), 색창(さくたかし), 송요(そう繇), 강식(こうしき)
권35 열전23 왕혜룡(おうとしりゅう), 정희(てい羲)
권36 열전24 설변(薛辯), 설치(薛寘), 설징(薛憕)
권37 열전25 한무(かんしげる), 피표자(かわひょう), 봉칙문(ふう敕文), 여나한(りょ羅漢らかん), 공백공(あなはくきょう), 전익종(田益たますむね), 맹표(はじめひょう), 해강생(奚康せい), 양대안(楊大), 최연백(ちぇのべはく), 이숙인(叔仁)
권38 열전26 배준(裴駿), 배연준(裴延雋), 배타(裴佗), 배과(裴果), 배관(裴寬), 배협(裴俠), 배문거(裴文きょ), 배인기(裴仁もと)
권39 열전27 설안도(薛安), 유휴빈(りゅうきゅうまろうど), 방법수(ぼうほうことぶき), 필중경(畢眾けい), 양지(ひつじ祉)
권40 열전28 한기린(かん麒麟きりん), 정준(ほど駿しゅん), 이표(ぴょう), 고도열(こう道悅どうえつ), 견침(甄琛), 장찬(ちょう纂), 고총(こうさとし)
권41 열전29 양파(楊播), 양부(楊敷)
권42 열전30 왕숙(おう肅), 유방(りゅうかおる), 상상(つね爽)
권43 열전31 곽조(かく祚), 장이(ちょうつね), 형만(邢巒), 이숭(たかし)
권44 열전32 최광(ちぇひかり), 최량(ちぇあきら)
권45 열전33 배숙업(裴叔ぎょう), 하후도천(なつこうどう遷), 이원호(李元りげんまもる), 석법우(せきほうとも), 왕세필(おう弼), 강열지(こうえつこれ), 순우탄(あつし于誕), 심문수(沈文しゅう), 장당(ちょう讜), 이묘(なえ), 유조(りゅう), 부영(でんひさし), 부수안(でんたて), 장열(ちょうれつ), 이숙표(叔彪), 노시경(みち恃慶), 방량(ぼうあきら), 조세표(曹世ひょう), 반영기(はんひさしもと), 주원욱(しゅもとあさひ)
권46 열전34 손소(まご紹), 장보혜(ちょうひろしめぐみ), 성엄(なり淹), 범소(はん紹), 유도부(りゅうもも), 녹여(鹿しか悆), 장습(ちょう熠), 유도빈(りゅうみちあきら), 동소(ただし紹), 풍원흥(馮元きょう)
권47 열전35 원번(袁翻), 양니(あま), 가사백(賈思はく), 조형(瑩)
권48 열전36 이주영(しかしゅさかえ)
권49 열전37 주서(しゅみずほ), 질렬연경(しかれつのべけい), 곡사춘(斛斯椿つばき), 가현도(賈顯), 번자곡(樊子くぐい), 후심(ほうふかし), 하발윤(拔允), 후막진열(ほう莫陳えつ), 염현(ねんけん), 양람(りょうらん), 뇌소(かみなり紹), 모하(もう遐), 을불랑(おつどるろう)
권50 열전38 신웅(からしゆう), 양기(楊機), 고도목(高道たかみちきよし), 기준(綦儁), 산위(やまえら), 유인지(りゅう仁之ひとし), 우문충지(宇文うぶん忠之ただゆき), 비목(きよし), 맹위(はじめ)

제 열전

[편집]
제 열전
### 부제 인물 비고
권51 열전39 제종실 제왕(ひとし宗室そうしつ 諸王しょおう) じょう <종실(宗室そうしつ)>
조군정소왕 침(ちょうこおり貞昭さだあきおう 琛), 청하왕 악(淸河きよかわおう たけし), 광평공 성(廣平ひろへいおおやけ もり), 양주공 영락(しゅうおおやけ 永樂えいらく), 양락왕 현국(じょうらくおう あらわこく), 상락왕 사종(上洛じょうらくおう おもえむね), 평진왕 귀언(たいらしんおう 彦), 장락태수 영산(長樂ながら太守たいしゅ 靈山れいざん)
<신무제 제자(神武じんむみかど 諸子しょし)>
영안간평왕 준(永安えいあん簡平おう 浚), 평양정익왕 엄(たいらようやすしつばさおう 淹), 팽성경사왕 유(彭城けいおもえおう 浟), 상당강숙왕 환(うえとうつよし肅王 きよし), 양성경왕 육(じょうじょうけいおう 淯), 임성왕 개(にんじょうおう 湝), 고양강목왕 식(こうようかんきよしおう 湜), 박릉간문왕 제(はくりょうぶん簡王 ずみ), 화산왕 응(はな山王さんのう しこり), 풍익왕 윤(馮翊おう じゅん), 한양경회왕 흡(かんけいふところおう ひろし)
권52 열전40 제종실 제왕(ひとし宗室そうしつ 諸王しょおう) した <문양제 제자(ぶんじょうみかど 諸子しょし)>
하남강서왕 효유(河南かなんやすし舒王 こう瑜), 광녕왕 효형(こうやすしおう たかし珩), 하간왕 효완(河間こうまおう こう琬), 난릉충무왕 효관(らんりょう忠武ただたけおう たかし瓘), 안덕왕 연종(安德あんとくおう のべむね), 어양왕 소신(りょうおう 紹信)
<문선제 제자(文宣ふみのぶみかど 諸子しょし)>
태원왕 소덕(ふとしげんおう 紹德), 범양왕 소의(范陽おう 紹義), 서하왕 소인(西河にしがわおう 紹仁), 농서왕 소렴(隴西おう 紹廉)
<효소제 제자(孝昭たかあきみかど 諸子しょし)>
낙평왕 백년(らくりょうおう ひゃくねん), 여남왕 언리(なんじみなみおう 彦理), 시평왕 언덕(はじめたいらおう 彦德けんどく), 성양왕 언기(城陽じょうようおう 彦基), 정양왕 언강(ていおう 彦康), 여양왕 언충(なんじおう 彦忠)
<무성제 제자(たけしげるみかど 諸子しょし)>
남양왕 작(南陽なんようおう 綽), 낭야왕 엄(琅邪おう げん), 제안왕 곽(ひとし安王やすおう くるわ), 북평왕 정(北平きたひらおう さだ), 고평왕 인영(高平たかひらおう ひとしえい), 회남왕 인광(淮南ワイナンおう ひとしこう), 서하왕 인기(西河にしかわおう ひとしいく), 낙평왕 인옹(樂平よしひらおう ひとし邕),
영천왕 인검(潁川おう ひとし儉), 낙안왕 인아(安樂あんらくおう ひとしみやび), 단양왕 인직(丹陽たんようおう ひとしじき), 동해왕 인겸(東海とうかいおう ひとしけん)
<후주 제자(しゅ 諸子しょし)>
동평왕 각(東平とうへいおう つとむ), 고선덕(こう善德ぜんとく), 고매덕(こうかいとく), 고질전(こうしつぜに)
권53 열전41 만사보(まん俟普), 가주혼원(しゅ渾元), 유풍(りゅうゆたか), 파륙한상(やぶろくかんつね), 김조(きむ祚), 유귀(りゅうたか), 채준(蔡儁), 위장명(じょう長命ちょうめい), 왕회(おうふところ), 임상(にんさち), 막다루대문(莫多婁貸ぶん), 사적회락(厙狄迴洛), 사적성(厙狄もり), 장보락(ちょうたもつらく), 후막진상(ほう莫陳しょう), 설고연(薛孤のべ), 곡률강(斛律羌), 장경(ちょう瓊), 송현(そうあらわ), 왕칙(おうそく), 모용소종(慕容紹宗), 질렬평(しかれつたいら), 보대한살(あゆみだいあせ薩), 설수의(薛脩よし), 모용엄(慕容げん), 반락(はんらく), 팽락(彭樂), 폭현(暴顯), 피경화(かわけい), 기련맹(綦連たけし), 원경안(もとけいやす), 독고영업(どくながぎょう), 선우세영(鮮于さかえ), 부복(でんふく)
권54 열전42 손등(まごあが), 고융지(こう隆之たかゆき), 사마자여(司馬しば如), 두태(竇泰), 위경(じょうけい), 누소(婁昭), 사적간(厙狄), 한궤(かん軌), 단영(だんさかえ), 곡률금(斛律きん)
권55 열전43 손건(まご搴), 진원강(ちん元康もとやす), 두필(もり弼), 방모(ぼう謨), 장찬(ちょう纂), 장량(ちょうあきら), 장요(ちょう耀), 왕준(おうたかし), 왕굉(おうひろし), 경현준(けいあらわ儁), 평감(ひら鑒), 당옹(から邕), 백건(はくけん), 원문요(もとぶんはるか), 조언심(ちょう彦深), 혁련자열(赫連えつ), 풍자종(馮子琮), 낭기(ろうもと)
권56 열전44 위수(おさむ), 위장현(ちょうけん), 위계경(けい), 위난근(らん)

주 열전

[편집]
주 열전
### 부제 인물 비고
권57 열전45 주 종실(しゅう宗室そうしつ) 소혜공 호(邵惠こう 顥), 기간공 연(杞簡こう れん), 거장공 낙생(莒莊こう らくせい), 우국공 중(おそれこくおおやけ なか), 광천정공 측(廣川ひろかわやすしおおやけ はか), 동평공 신거(東平とうへいおおやけ しんきょ)
권58 열전46 주실제왕(しゅうしつ諸王しょおう) <문제 10자(ぶんみかど じゅう)>
송헌공 진(そうけんじこう ふるえ), 위랄왕 직(まもる剌王 じき), 제양왕 헌(ひとし煬王 けん), 조참왕 초(ちょう僭王 招), 초효왕 검(譙孝おう 儉), 진혹왕 순(ひね惑王 じゅん), 조야왕 성(越野こしのおう もり), 대비왕 달(だい奰王 たち), 기강공 통(冀康おおやけ どおり), 등문왕 유(滕聞おう 逌)
<효민제 제자(こう閔帝 諸子しょし)/명제 3자(あきらみかど さん)>
기여왕 강(きの厲王 やすし), 필랄왕 현(畢剌おう けん), 풍왕 정(鄷王 さだ), 송왕 식(そうおう まこと)
<무제 6자(たけみかど ろく)>
한왕 찬(かんおう さん), 진왕 지(しんおう にえ), 조왕 윤(曹王 まこと), 도왕 충(みちおう たかし), 채왕 태(蔡王 兌), 형왕 원(荊王 もと)
<선제 2자(せんみかど )>
업왕 간(鄴王 衎), 영왕 술(郢王 じゅつ)
권59 열전47 구낙(寇洛), 조귀(ちょうたか), 이현(けん), 양어(りょう禦)
권60 열전48 이필(弼), 우문귀(宇文うぶんたか), 후막진숭(ほう莫陳たかし), 왕웅(おうつよし)
권61 열전49 왕맹(おうめい), 독고신(どくしん), 두치(竇熾), 하란상(らんさち), 질렬복구(しかれつふくかめ), 염경(閻慶), 사녕(ふみやすし), 권경선(けんけいせん)
권62 열전50 왕비(おうひぐま), 왕사정(王思おうしせい), 위지형(じょうおそ迥), 왕궤(おう軌)
권63 열전51 주혜달(しゅうめぐみたち), 풍경(馮景), 소작(綽)
권64 열전52 위효관(韋孝ひろし), 위전(韋瑱), 류규(やなぎ虯)
권65 열전53 달해무(いたる奚武), 약간혜(若干じゃっかんめぐみ), 이봉(怡峯), 유량(りゅうあきら), 왕덕(おういさお), 혁련달(赫連たち), 한과(かんはて), 채우(蔡祐), 상선(つねぜん), 신위(からし), 사적창(厙狄あきら), 양춘(りょう椿つばき), 양대(はりだい), 전홍(ひろし)
권66 열전54 왕걸(おうすぐる), 왕용(おういさむ), 우문규(宇文うぶん虯), 경호(耿豪), 고림(こう琳), 이화(かず), 이루목(婁穆), 달해식(いたる奚寔), 유웅(りゅうつよし), 후식(ほうしょく), 이연손(のべまご), 위우(韋祐), 진흔(ひね忻), 위현(げん), 천기(いずみくわだて), 이천철(遷哲), 양건운(楊乾うん), 부맹(扶猛), 양웅(ゆう), 석고(せきかた), 임과(にんはて)
권67 열전55 최언목(ちぇ彦穆), 양찬(楊纂), 단영(だんひさし), 영호정(れいきつねせい), 당영(からひさし), 류민(やなぎさとし), 왕사량(おうりょう)
권68 열전56 두로녕(まめやすし), 양소(楊紹), 왕아(おうみやび), 한웅(かんつよし), 하약돈(わかあつし)
권69 열전57 신휘(さる徽), 육통(りくどおり), 사적치(厙狄峙), 양천(楊荐), 왕경(おうけい), 조강(ちょうつよし), 조창(ちょうあきら), 왕열(おうえつ), 조문표(ちょうぶんひょう), 원정(もとじょう), 양표(楊摽)
권70 열전58 한포(かん褒), 조숙(ちょう肅), 장궤(ちょう軌), 이언(彦), 곽언(かく彦), 양흔(りょう昕), 황보번(すめらぎはじめ璠), 신경지(からし慶之よしゆき), 왕자직(王子おうじじき), 두고(もり杲), 여사례(りょおもえれい), 서소(じょ招), 단저(まゆみ翥), 맹신(はじめしん), 종름(そう懍), 유번(りゅう璠), 류히(やなぎかすみ)

수 열전

[편집]
수 열전
### 부제 인물 비고
권71 열전59 수종실 제왕(ずい宗室そうしつ 諸王しょおう) <종실(宗室そうしつ)>
채경왕 정(蔡景おう せい), 등목왕 찬(滕穆おう 瓚), 도선왕 숭(みちせんおう かさ), 위소왕 상(まもるあきらおう 爽), 하간왕 홍(河間こうまおう ひろし), 의성공공 처강(よしじょうきょうおおやけ しょつな), 양자숭(楊子ようじたかし)
<문제 4자(ぶんみかど よん)>
방릉왕 용(ぼうりょうおう いさむ), 진효왕 준(はたたかしおう しゅん), 서인 수(庶人 しゅう), 서인 량(庶人 りょう)
<양제 3자(煬帝 さん)>
원덕태자 소(もととく太子たいし あきら), 제왕 간(ひとしおう 暕), 조왕 고(ちょうおう 杲)
권72 열전60 고경(こう熲), 우홍(ぎゅうひろし), 이덕림(いさおりん)
권73 열전61 양사언(はり彦), 원해(もと諧), 우경칙(おそれけいそく), 원주(もと胄), 달해장유(いたる奚長儒), 하루자간(婁子みき), 사만세(まんさい), 유방(りゅうかた), 두언(もり彦), 주요(しゅうゆら), 독고개(どく揩), 걸복혜(乞伏とし), 장위(ちょうたけし), 화홍(かずひろし), 음수(かげことぶき), 양의신(楊義しん)
권74 열전62 유방(りゅう昉), 류구(やなぎ裘), 황보적(すめらぎはじめ績), 곽연(かく衍), 장형(ちょう衡), 양왕(楊汪), 배온(裴蘊), 원충(袁充), 이웅(つよし)
권75 열전63 조경(ちょう煚), 조분(ちょう芬), 왕소(おう韶), 원암(もといわお), 우문필(宇文うぶん弼), 이누겸(婁謙), 이원통(えんどおり), 곽영(かくさかえ), 농황(龎晃), 이안(やすし), 양상희(楊尙まれ), 장경(ちょう煚), 소효자(たかし慈), 원수(もとことぶき)
권76 열전64 단문진(だんぶん), 내호아(らいまもる), 번자개(樊子ぶた), 주라후(しゅう睺), 주법상(しゅうほう尙), 위현(まもるげん), 유권(りゅうけん), 이경(けい), 설세웅(薛世ゆう)
권77 열전65 배정(裴政), 이악(諤), 포굉(あわびひろし), 고구(こう構), 영비(さかえ毗), 육지명(りく知命ちめい), 양비(りょう毗), 류욱(やなぎ彧), 조작(ちょう綽), 두정(もりせい)
권78 열전66 장정화(ちょうじょう), 장윤(ちょう奫), 맥철장(むぎてつつえ), 권무(けん), 왕인공(王仁わにきょう), 토만서(吐まんいとぐち), 동순(ただしじゅん), 어구라(さかな俱羅), 왕변(おうべん), 진릉(ひねりょう), 조재(ちょうざい)
권79 열전67 우문술(宇文うぶんじゅつ), 왕세충(おうたかし), 단달(だんたち)

기타 열전

[편집]
열전
### 부제 목록 비고
권80 열전68 외척(外戚がいせき) 하눌(訥), 요황미(姚黃まゆ), 두초(もりちょう), 하미(迷), 여비(閭毗), 풍희(馮熙), 이혜(めぐみ), 고조(こうはじめ), 호국진(えびすこくちん), 양등(楊騰), 을불회(おつどる), 조맹(ちょうたけし), 호장인(えびすちょうひとし)
권81 열전69 유림(儒林) じょう 양월(りょうえつ), 노추(みにく), 장위(ちょうえら), 양조(りょう祚), 평항(平恆ひらつね), 진기(ひね), 유헌지(りゅうけんじこれ), 장오귀(ちょうわれたか), 유란(りゅうらん), 손혜위(まごめぐみ蔚), 마자결(馬子まごゆい), 석요(いし曜), 영휘(れいあきら), 서준명(じょ遵明), 동징(ただししるし), 이현(鉉), 풍위(馮偉), 장매노(ちょうかいやつ), 유궤사(りゅう軌思), 포계상(あわびしょう), 형치(邢峙), 유주(りゅうひる), 마경덕(うまたかしとく), 장경인(ちょうけいじん), 권회(けんかい), 장사백(ちょうおもえはく), 장조무(ちょう雕武), 곽준(かく遵)
권82 열전70 유림(儒林) した 심중(沈重), 번심(樊深), 웅안생(くまやすせい), 악손(らくへりくだ), 여경희(はじむけい熙), 기준(冀俊), 조문심(ちょうぶんふか), 신언지(からし彦之), 하타(なに妥), 소해(しょう該), 포개(つつみ愷), 방휘원(ぼうあきらとお), 마광(うまひかり), 유작(りゅう焯), 유현(りゅう炫), 저휘(褚暉), 고표(顧彪), 노세달(魯世たち), 장충(ちょうおき), 왕효적(おうたかしせき)
권83 열전71 문원(文苑ぶんえん) 온자승(溫子あつこます), 순제(荀濟), 조홍훈(おおとりくん), 이광(ひろ), 번손(樊遜), 순사손(荀士へりくだ), 왕포(おう褒), 유신(庾信), 안지추(かお推), 우세기(おそれもと), 류변(やなぎ䛒), 허선심(もと善心ぜんしん), 이문박(文博ふみひろ), 명극양(あきらかつゆずる), 유진(りゅう臻), 제갈영(しょかずら潁), 왕정(おうさだ), 우작(おそれ綽), 왕주(おう胄), 유자직(庾自じき), 반휘(はん徽), 상덕지(常德じょうとくこころざし), 윤식(いんしき), 유선경(りゅうよしけい), 조군언(君彦きみひこ), 공덕소(あなとく紹), 유빈(りゅうあきら)
권84 열전72 효행(孝行こうこう) 장손려(ちょうまごおもんばか), 걸복보(乞伏), 손익덕(まごえきとく), 동낙생(ただしらくせい), 양인(楊引), 염원명(閻元あきら), 오실달(悉達), 왕속생(おう續生ぞくせい), 이현달(あらわたち), 창발(くらばつ), 장승(ちょうます), 왕숭(おうたかし), 곽문공(かくぶんきょう), 형가(荊可), 진족(しんぞく), 황보하(すめらぎはじめ遐), 장원(ちょうはじめ), 왕반(おう頒), 제규(おとうと頍), 양경(楊慶), 전익(つばさ), 뉴인(ひもいん), 유사준(りゅうつかまつしゅん), 적보림(翟普りん), 화추(はなあき), 서효숙(じょたかし肅)
권85 열전73 절의(節義せつぎ) 어십문(於什もん), 단진(だんすすむ), 석문덕(いし文德ふみのり), 급고(汲固), 왕현위(おうげん), 누제(婁提), 유갈후(りゅう渴侯), 주장생(硃長生ちょうせい), 마팔룡(うまはちりゅう), 문문애(もんぶんあい), 조청(あきらきよし), 유후인(りゅうほうひとし), 석조흥(いしきょう), 소홍철(邵洪あきら), 왕영세(おうさかえ), 호소표(えびすしょうあや), 손도등(まごどうとう), 이기(いく), 장안조(ちょうやすし), 왕려(おう閭), 곽염(かく琰), 답용초(遝龍ちょう), 을속고불보(おつそくふつ), 이당(棠), 두숙비(もり叔毗), 유홍(りゅうひろし), 유원(ゆうはじめ), 장수타(ちょう須陀), 양선회(楊善かい), 노초(すわえ), 유자익(りゅう翊), 요군소(堯君もと), 진효의(ちんたかし), 장계순(ちょう珣), 두송윤(もりまつ贇), 곽세준(かくしゅん), 낭방귀(ろうかたたか)
권86 열전74 순리(循吏) 장응(ちょう膺), 노옹(みち邕), 염경윤(閻慶たね), 명량(あきらあきら), 두찬(もり纂), 두원(竇瑗), 소숙(よし), 장화원(ちょう華原かはら), 맹업(はじめぎょう), 소경(瓊), 노거병(みちやまい), 양언광(りょう彦光), 번숙략(樊叔りゃく), 공손경무(公孫こうそんけいしげる), 신공의(からし公義きみよし), 류검(やなぎ儉), 곽현경숙(かくあやけい肅), 유광(りゅう曠), 왕가(おうとぎ), 위덕심(とくふか)
권87 열전75 혹리(酷吏こくり) 우낙후(于洛こう), 호니(えびすどろ), 이홍지(ひろしこれ), 장사제(ちょう赦提), 조패(ちょう霸), 최섬(ちぇ暹), 저진(やしきちん), 전식(しき), 연영(つばめさかえ), 원홍사(元弘もとひろ嗣), 왕문동(おうぶんどう)
권88 열전76 은일(隱逸いんいつ) 휴과(眭誇), 풍량(馮亮), 정수(ていおさむ), 최곽(ちぇくるわ), 서칙(じょのり), 장문후(ちょうぶん詡)
권89 열전77 예술(藝術げいじゅつ) じょう 조숭(あきらたかし), 장심(ちょうふかし), 승화(そう), 은소(いん紹), 왕조(おうはや), 경현(耿玄), 유영조(りゅうれいすけ), 이순흥(じゅんきょう), 단특사(まゆみとく), 유오도영(ゆかりわれどうさかえ), 안악두(かおあくあたま), 왕춘(おうはる), 신도방(しんよし), 송경업(そうけいぎょう), 허준(もと遵), 오준세(遵世), 조보화(ちょう輔和), 황보옥(すめらぎはじめだま), 해법선(解法かいほうせん), 위녕(やすし), 기모회문(綦母ふところぶん), 장자신(張子はりこしん), 육법화(りくほう), 장승(蔣升), 강련(つよしねり), 유계재(庾季ざい), 노태익(ふとしつばさ), 경순(耿詢), 내화(らい), 소길(しょうきち), 양백추(楊伯みにく), 임효공(臨孝きょう), 유우(りゅうゆう), 장주현(ちょう胄玄)
권90 열전78 예술(藝術げいじゅつ) した 주담(しゅう澹), 이수(おさむ), 서건(じょ謇), 왕현(おうあらわ), 마사명(うま嗣明), 요승원(姚僧かき), 저해(褚該), 허지장(もとさとしくら), 만보상(まんたからつね), 장소유(蔣少ゆう), 하조(なに稠)
권91 열전79 열녀(れつおんな) 위최람 처 봉씨(たかしちぇらん つま ふう), 봉탁 처 유씨(ふうたく つま りゅう), 위부 처 방씨(つま ぼう), 호장명 처 장씨(えびす長命ちょうめい つま ちょう), 평원현여자 손씨(平原ひらばらけん女子じょし まご),방애친 처 최씨(ぼうあいおや つま ちぇ), 경주정녀 아씨(涇州貞女ていじょ ), 요씨 아내 양씨(姚氏 楊氏), 장홍기 처 유씨(ちょうひろしつま りゅう), 동경기 처 장씨(ただしけいおこり つま ちょう), 양니 처 고씨(あま つま だか), 사영주 처 경씨(ふみうつしゅう つま 耿氏), 임성국태비 맹씨(にんじょうこくたい はじめ), 구금룡 처 유씨(苟金りゅう つま りゅう), 정효여종(さだ孝女こうじょむね), 하동요씨 딸(河東かわとう姚氏 おんな), 조사준 처 노씨(刁思遵 つま 魯氏), 손도온 처 조씨(まごどうゆたか つま ちょう), 맹신 처 진씨(まごしん つま ちん), 난릉공주(らんりょう公主こうしゅ), 남양공주(南陽なんよう公主こうしゅ), 양성왕각비(じょうじょうおうつとむ), 화양왕해비(華陽かようおう楷妃), 초국부인 세씨(譙國夫人ふじん あらい), 정선과 모친 최씨(てい善果ぜんか はは ちぇ), 효녀 왕순(孝女こうじょ おうしゅん), 한기 처 우씨(かんつま 于氏), 육양 모친 풍씨(りくゆずる はは 馮氏), 유창 딸(りゅうあきら おんな), 종사웅 모친 장씨(かねゆう はは 蔣氏), 효부 담씨(こう 覃氏), 원무광 모친 노씨(げんつとむこう はは ), 배륜 처 류씨(裴倫 つま やなぎ), 조원해 처 최씨(ちょうもとつま ちぇ)
권92 열전80 은행(おん倖) 왕예(おう睿), 왕중흥(おうなかきょう), 구맹(寇猛), 조수(ちょうおさむ), 여호(茹皓), 조옹(ちょう邕), 후강(ほうつよし), 서흘(じょ紇), 종애(そうあい), 구낙제(かたきらくひとし), 단패(だん霸), 왕거(おう琚), 조묵(ちょうだま), 손소(まごしょう), 장종지(ちょう宗之むねゆき), 극붕(げきおおとり), 장우(ちょうゆう), 포의(だき嶷), 왕우(おうぐう), 부승조(苻承), 왕질(おうただし), 이견(けん), 진송(はたまつ), 백정(はくせい), 유등(りゅうあが), 가찬(賈粲), 양범(楊范), 성궤(なり軌), 왕온(おうあつし), 맹란(はじめ欒), 평계(ひら), 봉진(ふう), 유사일(りゅうおもえいっ), 장경숭(ちょうけいかさ), 모창(もうとおる), 곽수(かくしげる), 화사개(ひらく), 목제파(きよしつつみばば), 고아나굉(こうおもねひじ), 한봉(かんおおとり)
권93 열전81 참위부용(僭僞いさお) 하 혁련씨(なつ 赫連), 연 모용씨(つばめ 慕容), 후진 요씨(しん 姚氏), 북연 풍씨(きたつばめ 馮氏), 서진 걸복씨(西にししん 乞伏), 북량 저거씨(きたすずか 沮渠), 양 소씨(りょう しょう)
권94 열전82 고려(高麗こうらい), 백제(百濟くだら), 신라(しん), 물길(勿吉), (奚), 거란(ちぎり), 실위(しつ韋), 두막루(まめ莫婁), 지두간(まめ), 오락후(がらすらくこう), 유구(ながれもとむ), (やまと)
권95 열전83 (蠻), 요(獠), 임읍(はやし邑), 적토(赤土あかつち), 진랍(臘), 파리(ばば)
권96 열전84 (氐), 토욕혼(吐谷渾), 탕창(宕昌), 등지(鄧至), 백란(はくらん), 당항(とうこう), 부국(こく), 계호(稽胡)
권97 열전85 서역(西域せいいき) 선선(鄯善), 우전(于闐), 고창(こうあきら), 언기(焉耆), 구자(かめ茲), 오손(がらすまご), 소륵(疏勒), 열반(えつ般), 파락나(やぶらく), 속특(あわとく), 파사(なみ斯), 대월씨(大月おおつき), 안식(安息あんそく), 조지(じょうささえ), 대진(大秦たいしん)
권98 열전86 연연(蠕蠕), 흉노우문막괴(匈奴きょうど宇文うぶん莫槐), 도하단취육권(なんだんろく眷), 고차(こうしゃ)
권99 열전87 돌궐(突厥), 철륵(てつ勒)
권100 열전88 서전(じょでん)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