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양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양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웅

양웅(あげゆう, 楊雄, 기원전 53년 ~ 기원후 18년)은 중국 전한 말기의 사상가이며 문장가이다. 는 자운(くも)이다. 촉군 성도에서 태어났다.

생애

[편집]

젊어서부터 박식하였으나 말을 더듬었기 때문에 서적만을 탐독하며 사색을 하였다. 30여 세에 비로소 대사마(だい司馬しば)인 왕음(おうおん)에게 문재를 인정받아 성제(なりみかど)의 급사황문랑(きゅうごと黃門こうもんろう:궁중의 제사를 관장하는 관원)이 되어, 왕망(おう莽)과 유흠(りゅう歆)과 동렬에 있었다. 나중에 궁정 쿠데타로 왕망이 (しん)의 왕실을 일으키매, 노년의 선비로서 대부(大夫たいふ)라는 직책에 취임하여 죽는 해까지 머물렀다. 이 점에 대해 송대(そうだい) 이후의 절의관(節義せつぎかん)으로부터 비난을 받았거니와 원래 정세와 함께 부침하면서 일신을 보전하는, 말하자면 권력에는 겸유(けんやわら)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것 같다.

사상

[편집]

그는 《태현경(ふとしげんけい)》에 보이는 것과 같이 당대의 고문가(古文こぶん)에 영향을 준 고풍적이고 난해한 문체를 사용하였다. 전국 시대의 제자(諸子しょし)의 사상가에 비교하여 독창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지배층에 현저하였던 음양5행설(陰陽いんようぎょうせつ)에 의한 유교의 신비화에 불만을 품은 그는 《노자(老子ろうし)》와 《(えき)》에 의거하여 범신론적인 선진(さきしん)시대의 도가의 자연과 객관을 중시하는 경향을 발전시켰다. 《법언(ほうげん)》에서는 원시 유가의 인위적인 도덕 교화의 필요를 말하면서, 선악 양성의 인성론을 주장하였고 그에 상응하는 합리주의적인 윤리사상을 강조하였다. 또 이 책은 왕망의 위선적 성격을 비판하는 곳이 보인다. 그 외에 언어학상 귀중한 《방언(方言ほうげん)》, 〈훈찬편(くん纂篇)〉을 남겼고, 또 《난개천팔사(なんぶたてん八事やごと)》의 천문학설을 저작하였다.

저서

[편집]

《주역(しゅうえき)》을 모방한 《태현경》과 《논어(論語ろんご)》를 모방한 《법언》이 있고, 젊었을 때 동향의 선배 사마상여(司馬しばしょう如)를 사모하여 〈우렵(はねりょう)〉, 〈장양(ちょう楊)〉 등 장문의 부()와 〈해조(かいあざけ)〉,〈해난(かいなん)〉 등 산문의 사부를 남겨 세론을 풍자하였다.

가계

[편집]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