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여주 이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여주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주 이씨
驪州
나라한국
관향경기도 여주시
시조이인덕(仁德じんとく)
이은백(いんはく)
이세정(さだ)
집성촌충청남도 홍성군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함안군
평안남도 중화군
주요 인물이규보, 이행, 이몽가, 이자, 이언적, 이고, 이익, 이중환, 이가환, 이승훈, 이상의, 이종상, 이재교, 이능윤, 이맹휴, 이용휴, 이원경, 이한구, 이완구, 이원만, 이동찬, 이기백, 이기문, 이인성, 이태식, 이미경, 이필상
분파경주파(慶州けいしゅう), 교위공파(こうじょうおおやけ), 문순공파(ぶんじゅんおおやけ)
인구(2000년)71,711명 (105위)

여주 이씨(驪州)는 경기도 여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중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시조 및 역사

[편집]

여주 이씨(驪州 )에는 중시조를 달리하는 3파가 있다. 이들은 다같이 고려 중엽부터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잡아 세력을 떨치던 호족들이자 상층향리로서 지역을 다스리다가 개성으로 상경해 벼슬을 하였다. 이후 후손들은 시조는 달리하면서도 오랜 예전부터 서로 동족으로 알아 한 뿌리일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해 조선시대부터 대동보를 함께 만들어오기도 했다. 고려시대에는 대 문장가 이규보가 나오면서 가문의 명예를 크게 빛냈다. 조선시대에는 최고 영예인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이언적이 배출되면서 나라를 대표하는 국반(くにはん)으로 이름을 날렸다.

  • 교위공파(こうじょうおおやけ)는 고려 때 인용교위(ひとしいさみこうじょう)를 지낸 이인덕(仁德じんとく)을 시조로 한다. 조선시대 훈구파의 일원이었고, 이상의 이래 이른바 '정동이씨(さだほら)'로 불리는 등 기호 남인을 영도하는 명문거족으로 이름을 날렸다. 또한 이익을 비롯한 실학의 거장들을 배출했다.
  • 문순공파(ぶんじゅんおおやけ)는 고려 때 중윤(ちゅういん)를 지낸 이은백(いんはく)을 시조로 하고 고려시대 최고 문장가이자 정승인 이규보(奎報)를 중시조로 한다.

이밖에 상신 2명, 대제학 3명, 청백리 3명, 호당 2명, 공신 5명 등이 나왔다. 문과 급제자는 107명, 무과 급제자는 62명, 생진과 입격자는 275명이다.

정재계

[편집]
  • 이규보 - 고려 최고의 문인, 호 백운거사(白雲しらくも居士こじ), 문하시랑.
  • 이수룡 - 고종 때 정당문학, 지문하성사.
  • 이벽 - 충렬왕 때 홍문관대제학.
  • 이행 - 공민왕 때 예문관대제학 이조판서. 호 기우자(牛子うしこ), 시호 문절.

한말 및 일제

[편집]

현대

[편집]

본관

[편집]

경기도 여주를 근거지로 살았기 때문에 후손들은 여주를 본관으로 삼고있다. 그러나 3파의 본관을 각각 다르게 써오고 있는데 교위공파는 고려 때는 황려(驪)로 조선 때는 여흥(驪興), 여주로 사용하였으며 간혹 본관을 영의(えいよし)로 사용하는 지파도 있었다. 문순공파는 이규보의 후손 가운데 하음(河陰かいん. 지금의 강화)을 본관으로 사용한 지파가 있었다. 경주파는 여강(驪江)을 본관으로 사용해 왔었다. 그러나 현재는 본관을 여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주(驪州)는 본래의 지명은 골내근현(ほね乃斤けん)으로 고려 태조 23년(940년) 황려현(うさぎうまけん)이 된 후, 현종 9년(1018년) 강원도 원주에 영속되었다가 고종 1년(1214년) 영의(えいよし)로 개칭되었다. 고려 충렬왕 31년(1305년)에 여흥군(驪興ぐん)으로 승격한 후, 조선 태종 1년(1401년) 음죽현(かげたけけん)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태종 때에는 도호부(みやこまもる)가 설치되었고, 조선 예종 1년(1469년) 세종대왕 능인 영릉(えいりょう)을 현 능서면 왕대리(旺垈さと)로 옮기면서 천령현(かわやすしけん)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まき)으로 하고 목사(まき使)를 주재시켰다. 조선 연산군 7년(1501년) 여주목의 관할 구역을 없애고 충주부(ただしゅう)의 관할하에 두었다가 1895년 충주부 여주군으로 칭하였으며, 1914년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분파

[편집]

경주파 분파

[편집]
  • 장사공파(壯士そうしおおやけ)
  • 사직공파(司直しちょくおおやけ)
  • 지헌공파(とめのきおおやけ)
  • 판서공파(はんしょおおやけ)
  • 현감공파(けんかんおおやけ)
  • 무첨당파(かたじけなどう)
  • 양졸당파(やしなえつたなどう)
  • 설천정파(ゆきがわちん)
  • 수졸당파(まもりつたなどう)
  • 오의정파(むべちん)
  • 향단파(こうまゆみ)
  • 옥산파(玉山たまやま)
  • 경력공파(あんおおやけ)
  • 경산파(慶山けいざん)

교위공파 분파

[편집]

서예공파(しょげいおおやけ)

[편집]

5세 수산(秀山しゅうざん)을 파조로 한다. 현재 북한 지역에 거주한다.

  * 선천파(せんかわ): 수산의 장남인 헌(瀗)을 파조로 한다.

  * 상원파(さちはら): 수산의 차남인 상(さち)을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おおやけ)

[편집]

5せい 수해(しゅううみ)를 파조로 한다. 증손자대에서 삼형제에 의해 셋으로 나뉜다. 첫째 진(珎)의 증손자 계손은 감찰공파의 파조, 둘째 지(とめ)는 진주파를 세웠으나 단절되었다. 셋째 고(さつき)는 학사공파의 파조이다..

  • 경헌공파(たかしけんおおやけ): 11せい 계손(つぎまご)을 파조로 한다.
    • 감찰공파(監察かんさつこう):계손의 장남인 지임(これにん)을 파조로 한다.
    • 사평공파(つかさひょうおおやけ):계손의 차남인 지화(これ)를 파조로 한다.
    • 제천공파(つつみがわおおやけ):계손의 삼남인 지시(これ)를 파조로 한다.
      • 춘주공파(はるしゅうおおやけ): 16せい 상홍(尙弘)을 파조로 한다. 상홍은 상의, 상관 상신의 형이다.
      • 소릉공파(しょうりょうおおやけ): 16せい 상의(尙毅)를 파조로 한다. 상의의 증손자인 이익과 외증손유형원등 조선 후기 남인계열의 실학자들을 다수 배출하였다.
      • 순창공파(あつしあきらおおやけ): 16せい 상관(尙寬)을 파조로 한다.
      • 호산청은공파(湖山こやまきよしかくれおおやけ): 16せい 상신(尙信)을 파조로 한다. 춘천시를 세거지로 한다.
  • 판서공파(はんしょおおやけ): 13せい인 공림(おおやけ霖)을 파조로 한다.
  • 진주파(すすむしゅう): 8せい 지(とめ)를 파조로 한다. 그러나 단절되었다.
  • 학사공파(學士がくしおおやけ): 8せい 고(さつき)를 파조로 한다. 이고 이후 수원시에 거주하여 수원파라고도 한다.
    • 박천공파(ひろしがわおおやけ): 13せい이자 학사공의 장손인 학(づる)을 파조로 한다. 이들 중 주손인 감역공파를 중심으로 하여 세운 학교가 수원공업고등학교다.
      • 부사직파(ふく司直しちょく): 학의 장남인 승무(うけたまわたけし)를 파조로 한다. 승무는 자식이 없어 동생 승종의 삼남 치(緇)를 양자로 들였다. 치는 탄핵되어 물러났으나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백의종군하였다.
  • 감역공파(かんやくおおやけ): 18せい이자 박천공의 종손인 동일(ひがしいち)을 파조로 한다.
  • 황주공파: 학의 차남인 승종(うけたまわむね)을 파조로 한다.
  • 부윤공파: 학의 삼남인 승서(うけたまわいとぐち)를 파조로 한다.

 * 사직공파(司直しちょくおおやけ): 13せい 란(鸞)을 파조로 한다. 함안군을 세거지로 한다.    * 만묵당파: 16세 봉사공의 무후로 동생인 두곡공의 차남인 17せい 경무(けいしげる)를 파조로 한다.    * 삼열당파: 두곡공의 장남인 17せい 경번(けいしげる)을 파조로 한다.    * 군실공파: 두곡공의 삼남 17せい 경환(けい煥)을 파조로 한다.    * 광양공파(廣陽こうようおおやけ): 사직공의 차남계열로 16세 분형(賁亨)을 파조로 한다.

 * 천안공파(てんやすおおやけ): 13せい 응(鹰)을 파조로 한다. 그가 천안군수였기에 천안공파라는 이름이 붙었다. 남원시를 세거지로 한다.

 * 설헌공파(ゆきけんおおやけ): 9せい 중견(なかけん)을 파조로 한다.

 * 주부공파: 11せい 충(ただし)을 파조로 한다.

정당공파 (せいどうおおやけ)

[편집]

5세 수룡(しゅうりゅう)을 파조로 한다.   * 문절공파(文節ぶんせつおおやけ): 9せい 행(くだり)을 파조로 한다. 이 파는 훈구파 가문의 일원이다.

* 밀양파(みつ): 12せい인 증석(曾碩)을 파조로 한다.

   * 진사공파(進士しんしこう): 16せい 경승(けいうけたまわ)을 파조로 한다.

   * 금시당파(こんどう파): 15せい 광진(ひかり軫)을 파조로 한다.

   * 월연공파(つきふちおおやけ): 14せい 태(迨)를 파조로 한다.

 * 직장공파: 13せい인 사진(鎭)을 파조로 한다.

 * 포천공파: 12せい인 증약(曾若)을 파조로 한다.

  * 홍주파(ひろししゅう): 증약의 장남인 사원을 파조로 한다. 홍성군을 세거지로 한다.

  * 춘천파(春川はるかわ): 증약의 차남인 사침을 파조로 한다. 춘천시를 세거지로 한다.

    * 고창파(こうたかし): 증약의 삼남인 사경을 파조로 한다. 고창군을 세거지로 한다.

 * 여천군파(驪川くん): 10せい 몽가(ゆめ哥)를 파조로 한다.

 * 북청파(きたあお): 8せい 천배(てんつちかえ)를 파ㆍ조로 한다.


문순공파(ぶんじゅんおおやけ) 분파

[편집]

 * 판서공파(はんしょおおやけ): 이규보의 장남 함(涵)을 파조로 한다.

 * 사간공파(つかさ諫公): 이규보의 차남 징(きよし)을 파조로 한다.

 * 녹사공파(ろくごとおおやけ): 이규보의 삼남인 제(すみ)를 파조로 한다.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편집]

주요 집성촌

[편집]
  •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
  • 경북 영일군 신광면 우각동
  • 경북 포항시 기북면 오덕리
  • 경북 예천군 용궁면 무이리
  •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 경북 경주시 안강읍 하곡리
  • 경북 고령군 고령읍 중화동
  • 경남 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외암두곡리
  • 평남 중화군 수산면 은구리
  • 평남 중화군 풍동면 덕암리

항렬자

[편집]
  • 교위공파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