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우데게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우데게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데게어
사용 지역 러시아 극동
언어 인구 100명 (1991년)
언어 계통 퉁구스어족
 남퉁구스어파
  우데게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
언어 부호
ISO 639-3 ude 우데게어

우데게어(Udege)는 우데게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의 언어 중 하나이다. 우데게족 대부분이 더 이상 고유 언어를 사용하지 않아 현재는 사멸 위기 언어이다.

방언

[편집]
우데게어, 오로치어, 타즈어의 지리적 분포
  • 쿠르-우르미 방언(Kur-Urmi)
  • 북부 방언군
    • 호르 방언(Khor)
    • 아뉴이 방언(Anyuy)
    • 사마르가 방언(Samarga)
    • 훈가리 방언(Khungari)
  • 남부 방언군
    • 비킨 방언(Bikin)
    • 이만 방언(Iman)
    • 나문카 방언(Namunka)

연해(沿海えんかい, 프리모르스키)를 의미하는 '나문카'를 제외하면 방언 명칭은 모두 그것이 사용되는 지역의 강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남부 방언군은 케카르어(Kekar)나 캬칼라어(Kyakala)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1930년대 예브게니 슈나이더(Евгений Шнейдер)에 의해 북부의 호르 방언을 기반으로 한 라틴 문자 표기의 표준 문어(文語ぶんご)가 처음 만들어졌으나 그가 대숙청 중에 체포되어 사망한 이후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80년대 후반 키릴 문자 표기의 우데게어 문어가 다시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크게 호르 방언을 바탕으로 한 북부판(하바롭스크 버전)와 비킨 방언을 바탕으로 한 남부판(페테르부르크 버전)이 있다.

어휘

[편집]

이 언어는 퉁구스어족의 여러 언어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예전 우데게어의 자리를 차지한 나나이어로부터 온 외래어를 다양하게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banixe] (감사합니다) / 나나이어 : [banixa] / 예전의 우데게어 : [usasa]

[dœlbo] (일하다/일)/ 나나이어 ; [dœbo] / 예전의 우데게어 : [etete]

[daŋsa] (책) / 나나이어 [daŋsa] / 이 나나이어 단어 자체도 중국어 檔子[발음 : dāngzi, 원래 '문서'을 의미한다.]로부터 온 외래어이다.

일반적으로 이 두 언어[우데게어, 나나이어]의 높은 수준의 동화는 비킨 지방에서 발견되어 왔다. 우데게 어는 또한 비킨 지방의 나나이 어 사투리에 음운학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영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이중모음의 단모음화, 비강 모음의 denasalization(비음의 후반부가 구음화하는 현상 : 코로 내는 소리가 입으로 내는 소리로 변화), 줄여진 마지막 모음의 소멸,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없도록 하기 위해 모음을 추가적으로 넣어주는 것, 그리고 모음 사이에 있는 [w]발음의 소멸 등이다).

문자

[편집]

1931년 ~ 1937년 알파벳.

A a Ā ā B в Є є D d Ӡ ӡ E e Ē ē
Æ æ F f G g H h I i Ī ī J j K k
L l M m N n Ņ ņ Ŋ ŋ O o Ō ō Ө ө
P p R r S s T t U u Ū ū W w X x
Y y Z z

음운 체계

[편집]

모음

[편집]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i iː y yː u uː
중모음 e eː ø øː ə əː o oː
저모음 æ æː a aː

자음

[편집]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 b t d k ɡ ʔ
마찰음 s x ɣ[a] h
파찰음 (t͡s) (d͡z) t͡ʃ d͡ʒ[b]
비음 m n ɲ ŋ
접근음 w j
설측음 l
  1. 코르 방언에는 별도의 음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2. 남부 그룹에서는 각각 /ts//dz/로 구현됩니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