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유약 (유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유약 (유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약(ゆうわか BC518년-458년)은 자()는 자유(ゆう)로 노(魯)나라 사람으로 알려져있다. 공자의 제자이다.

당(とう) 현종(げんむね)은 '변백(汴伯)'으로 존칭한바있고,송(そう) 진종(真宗しんしゅう)은 '(평음후)ひら阴侯'로 봉한바 있으며, 명(あきら) 가정제(よしみやすしきゅうねん)는 선현(先賢せんけん) '유자(有子ゆうこ)'로 개칭하여 존칭하였다.

맹자 등문공 상(滕文こう じょう)에 전하는 바에 따르면, 유약(ゆうわか)이 공자와 (여러모로 행실을 따라) 닮았기에 공자의 사후 자하(なつ), 자장(ちょう), 자유(ゆう)등이 공자 대신 유약(ゆうわか)을 모시려고했지만, 자여(舆)가 이를 비판했다고한다.[1][2] 한편, 사기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다른 제자가 생전의 공자 언행에 대해 유약(ゆうわか)에 질문했지만 유약이 대답할 수 없는바가 있기에 공자를 대신할 수 없는바를 거론했다고 한다.[3]

논어와 유약[편집]

논어 안연제십이(かおふちだいじゅう)[4]

あいこうとい于有わか曰:“としひだるよう不足ふそく,如之なに?”

ゆうわかたい曰:“盍徹乎?”

(あいこう)曰:“われなお不足ふそく,如之なん徹也てつや?”

(ゆうわか)たい曰:“百姓ひゃくしょうあしきみ孰與不足ふそく百姓ひゃくしょう不足ふそくきみ孰與あし?”

(노나라)애공이 유약에게 물었다 : 올해에는 기근이 들었습니다. 나라살림이 어렵습니다. 어떻게할까요?
유약이 대답하였다: 모든세금을 (줄여서 하나로) 합치시지요?
애공 말했다: (지금의 세금이) 두배라도 오히려 나는 부족하오, 그처럼 세금을 어떻게 합니까?
유약이 대답하였다: 백성이 족한데 임금이 어찌 더불어 부족하겠습니까? 백성이 부족한데 어찌 임금이 더불어 족하겠습니까?

논어 학이제일(論語ろんご がく而第いち)[5]

有子ゆうこ曰禮もちいため先王せんおうみち斯爲しょうだい由之よしゆきゆうしょくだり知和ちわ而和以禮ぶしまた不可ふかぎょう也 (논어, がく而第いち , 1-12)

유자가 말했다. “예의 쓰임은 화합을 귀중히 하는 것이다. 옛 임금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다 여긴 것이다. 크고 작은 일들이 여기에서 비롯된다. (화합을) 가지고도 행하지 않는 바가 있는데, 화합을 알고 화합하되 예로써 이를 절제하지 아니하면 또한 행할 수가 없다.”

有子ゆうこ曰信きん於義げんふく也恭きん於禮どお恥辱ちじょく也因しつ其親またむね也 (논어, がく而第いち ,1-13)

유자가 말했다. “신의(信義しんぎ)가 도의(道義どうぎ)에 가깝다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れい)에 가깝다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 의지(ささえ)하여도 그 친함을 잃지 않으면 또한 존숭(尊崇そんすう)받는 자가 될 수 있다.”

有子ゆうこ曰其ためじん孝弟こうてい而好はんじょうしゃ鮮矣このみはんじょう而好さくらんしゃひつじゆう也君つとむほん本立ほんたて而道せい孝弟こうてい也者其爲仁之ひとしほんあずか (논어, がく而第いち ,1-2)

유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위인(ためじん)이 효도하고 공경하면서도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 것이니,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지 아니하면서도 난리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있지 아니하다. 군자는 근본에 힘을 쓰는 것이니,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기는 것이다.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이에 어짊(ひとし)의 근본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孟子もうこ·滕文こうじょう)「われ聞用なつへんえびすしゃ未聞みもんへん於夷しゃ也。ちんりょうすわえさん也;えつしゅうこうなかこれどうきたがく於中こく北方ほっぽう學者がくしゃのうあるこれさき也。かれ所謂いわゆる豪傑ごうけつ也。兄弟きょうだいごとすうじゅうねん而遂ばいむかししゃ孔子こうしぼつさんねんそと門人もんじんにんしょうにゅう揖於みつげあいこう而哭,みなしつごえしかこうみつぎはん,筑室於場,獨居どっきょさんねんしかこう日子にっしなつちょうゆう以有わか聖人せいじんよく以所ごと孔子こうしごとつよ曾子。曾子曰:『不可ふか江漢こうかん以濯あきよう以暴,皜皜乎不可ふかなおやめ。』こん南蠻なんばん鴃舌げきぜつこれにん先王せんおうみちばい而學また於曾矣。われ聞出きけいで幽谷ゆうこく、遷于喬木きょうぼくしゃ未聞みもん喬木きょうぼく而入於幽谷ゆうこくしゃ。魯頌曰:『えびす狄是膺,荊舒懲。』しゅう公方くぼう且膺まなべまたため不善ふぜんへん矣。」「したがえ許子もとここれどうすなわち賈不こくちゅうにせ;雖使しゃくわらわてき,莫之ある欺。布帛ふはく長短ちょうたんどうのり賈相わかあさ縷絲絮輕おもどうのり賈相わか五穀ごこく多寡たかどうのり賈相わか;屨大しょうどうのり賈相わか。」曰:「おっとぶつひとしものじょう也。あるあいばい蓰,あるあい什百,あるあいせんまん而同らん天下でんか也。きょ屨小屨同賈,にんあに為之ためゆき哉?したがえ許子もとここれどうそうりつ而為偽者にせもの也,あくのう國家こっか?」
  2. 맹자(孟子もうし)에 언급하기를 공자(孔子こうし)사후에 자하(なつ), 자장(ちょう), 자유(ゆう)가 '성인(聖人せいじん)이 살아있다면 자유(ゆう)같을것이다 그로써 대신하자하니 증자가 불가하다고 했다'라고 평하였다.(위키백과)孟子もうしいい孔子こうし歿後ぼつごなつちょうゆう以為ゆうわか聖人せいじんよく以所ごと孔子こうしごと,曾子以為不可ふか。(しょう孟子もうこ·滕文こうじょう》)ゆうわかこれ,魯悼こう曾前往弔唁,足見たるみ其為同門どうもん及魯じんところしげる
  3. (사기 열전 なか弟子でし列傳れつでん ゆうわか)https://ko.wikisource.org/wiki/%EC%82%AC%EA%B8%B0/%EA%B6%8C067
  4. 논어,안연제십이(かおふちだいじゅう) https://ko.wikisource.org/wiki/%EB%85%BC%EC%96%B4/%EC%95%88%EC%97%B0%EC%A0%9C%EC%8B%AD%EC%9D%B4
  5. (논어 학이제일)https://ko.wikisource.org/wiki/%EB%B2%88%EC%97%AD:%EB%85%BC%EC%96%B4/%ED%95%99%EC%9D%B4%EC%A0%9C%EC%9D%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