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인궤(りゅうひとし軌, 602년 ~ 685년 3월 2일)는 중국 당나라(とう)의 무장(武将ぶしょう)이다. 자는 정칙(正則せいそく)으로, 변주(汴州) 울지현(じょうけん) 사람이다.

약력[편집]

(ずい) 인수(ひとし寿ことぶき) 2년(602년)에 태어났다. 어려서는 집안이 가난하였으며 학문을 좋아하였다고 한다.[1] 당이 세워진 뒤인 무덕(武徳ぶとく) 연간에 식주참군(いきしゅうさんぐん)이 되었고, 훗날 진창위(ひねくらじょう)로 전임하였는데, 절충도위(折衝せっしょうじょう) 노령(魯寧)이라는 자가 멋대로 난폭한 짓을 일삼자 유인궤는 그를 채찍으로 때려 죽였다. 태종이 이를 힐문하자 「폐하의 신하가 수치를 당하였기에 죽였습니다」라며 숨김없이 대답하였기에, 태종은 그를 마음에 들어하여 함양승(咸陽すすむ)으로 임명하였다. 급사중(きゅうごとちゅう)이라는 지위까지 올랐으나, 당시의 권신 이의부(よし)에게 미움을 사서 청주자사(あおしゅう刺史しし)로 좌천되었다.

나이가 현경(あらわけい) 5년(660년)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조운을 맡았으나 풍랑으로 배가 전복되어 사상자가 많이 발생하였고 그에게 실패하였다는 책임을 물어서 59세의 나이로 일개 병졸로 강등당했다. 이 해에 소정방(定方さだかた)이 이끄는 당군이 백제의 사비성(泗沘じょう)을 쳤고, 유인궤의 부하 유인원(りゅうひとしねがい)[2]의자왕(よし慈王)을 잡는 공을 세웠다. 유인원은 소정방이 의자왕과 백제 왕족, 대신들을 포로로 데리고 돌아간 뒤에도 사비성에 남아 수비하는 임무를 맡았는데, 용삭(りゅうさく) 원년(661년) 백제의 옛 신하 귀실복신(おにしつぶくしん) 등이 부흥운동을 일으켜, 사비성을 사면으로 포위해 유인원과 휘하 웅진도독부 당군은 고립되었다. 이 무렵 유인궤는 자신이 지원해 검교대방주자사(検校けんぎょうたいかたしゅう刺史しし)로 임명되어 원군으로 나섰다.

용삭 3년(663년) 9월, 백제 부흥군을 지원하던 왜국(일본)의 가미쓰케누노 와카코(もうやや) 등 수군 2만 7천 명이 백강(白江しらえ)으로 나아가 당의 원병에 맞섰고, 8월에 양측은 백강 어귀에서 맞닥뜨렸다. 유인궤와 손인사가 지휘하는 당의 수군은 네 번의 전투에서 400여 척의 왜군을 불사르고[1] 주류성을 함락시켰으며, 부여풍은 고구려로 달아나고 백제의 왕자 충승(忠勝ただかつ) 등은 신라에 항복하였다(백강 전투). 백제 부흥군을 진압한 뒤 유인궤는 백제 옛 땅에 둔전(屯田とんでん)을 세우고 백제 유민들을 안무하기 위한 정책들을 폈다. 인덕(麟徳) 2년(665년) 고종(こうはじめ)이 태산(泰山たいざん)에서 봉선(ふうぜん)을 행할 무렵, 유인궤는 신라 ・ 백제 ・ 탐라(ふけ) ・ 왜국 4개 국의 수령들을 거느리고 봉선에 참가하였고, 대사헌(だいつかさけん)에 임명되었으며 우상(みぎしょう) 겸 검교태자좌중호(検校けんぎょう太子たいしひだりちゅうまもる)가 되고 낙성현남(らくじょうけんおとこ)에 봉해졌다.

총장(そうあきら) 원년(668년)에는 웅진도안무대사(くまどうやすなで大使たいし) 겸 패강도총관(浿江どうそうかん)이 되어 이적(勣)을 따라 고구려를 쳐서 멸망시켰다. 금자광록대부(きむむらさきこうろく大夫たいふ)에 임명되고 태자좌서자(太子たいしひだり庶子しょし) 동중서문하삼품(同中どうちゅうしょ門下もんかさんひん)이 되었다. 함형(咸亨) 5년/상원(うえもと) 원년(674년)에는 계림도대총관(にわとり林道りんどうだいそうかん)으로 임명되어 신라 공격에 나서서(나당전쟁) 이듬해 2월 호로하를 건너 신라 북쪽 변경의 칠중성(ななじゅうじょう)을 격파한 뒤에 돌아왔다. 이 해에 좌복야(ひだりぼくしゃ)가 되어 조정에 참가하였다.

수공(たれ拱) 2년 1월 22일(685년 3월 2일) 문창좌상(ぶんあきらひだりしょう) 동봉각란대삼품(どうおおとりかく鸞台さんひん)으로써 재직하던 중에 사망하였다. 향년 84세였다. 사후 측천무후는 유인궤에 대한 애도로써 사흘 동안 조회를 파하였고, 개부의동삼사(開府かいふどうさんつかさ) 병주대도독(并州だいとく)에 추증되었고 사후 낙성문헌공(らくじょう文献ぶんけんこう)에 봉해졌으며, 고종의 건릉(いぬいりょう)에 배장되었다. 그의 집안에는 실봉 3백 호가 하사되었다. 아들은 유도(りゅう滔), 유예(りゅう濬)가 있었다. 《구당서》, 《신당서》에 따르면 유인궤는 《행년기》(行年ぎょうねん记), 《えい徽留ほんつかさかくきさきほん》(えい徽留ほんつかさかくきさきほん) 11권을 지었다고 한다.

각주[편집]

  1. 《구당서》(きゅうとうしょ) · 유인궤열전(りゅうひとし軌列でん)
  2. 유인원과 유인궤는 이름이 비슷하지만 혈연관계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