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제남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제남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남군(すみみなみぐん)은 중국의 옛 이다. 원래는 박양군(ひろしぐん)이었는데, 제수 남쪽에 있다 하여 이름이 제남군으로 고쳐졌다. 여국(りょこく), 제천국(すみかわこく), 제남국(すみ南國なんごく)의 봉토가 되었다가 제남국이 폐지되면서 이름이 제남군으로 굳어졌다.

[편집]

진나라 통일 당시의 36군에는 속하지 않으나, 유물을 통해 진나라에서 박양군이 존재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 치소는 박양(ひろし)현이라고도 하는 박성(はくじょう)현 - 현재의 타이안 시 남동이다.[1] 속현으로는 박성·동평릉(東平とうへいりょう)·반양(般陽)·양추(りょう鄒)·어릉(於陵)·태산(泰山たいざん)·평양(たいらよう)·역성(れきじょう)·영(嬴)이 있었다.[2]

전한[편집]

《사기》에서는 한신에게 제나라를 거두었을 때 4군이 있었는데[3] 제도혜왕에게 제나라를 주었을 때 교서·교동·임치·제북·박양·성양 6군으로 늘어나기 때문에[4] 전한에서 박양군을 처음 설치했을 것이라 보기도 한다.[5] 박양군의 치소는 원래 제북군의 치소인 박양(ひろし)현 즉 박(ひろし)현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동평릉(東平とうへいりょう)으로 옮겨지면서 군의 이름도 제수 이남이라는 의미로 제남군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6] 제남군이란 이름은 고황후 치세에 여나라를 봉할 때 “제나라의 제남군 땅을 여나라 왕에게 봉토로 준다.”라 하여 처음으로 드러난다.[7] 여나라는 이후 기원전 180년 여씨에게서 혜제의 아들 유태에게로 넘어갔고 이름도 제천나라로 바뀌었으나, 이해에 여씨 정권이 패망하면서 제후국은 폐지되고 예전처럼 제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178년 제북국을 설치하면서 제남군은 제나라에서 제북나라로 옮겨졌고, 제북왕 유흥거의 모반으로 제북나라가 폐지되면서 전한의 직할령이 됐다. 기원전 164년에 제나라 지역에 왕국을 재배치하면서 제남나라가 새로 설치됐고, 유벽광이 왕으로 봉해졌다. 유벽광은 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기에 난이 끝난 후 자결했고, 제후국도 폐지되어 전한의 직할령이 됐다.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 무제제북나라에서 태산 일대를 받아 태산군을 신설하면서, 제남군의 박현 일대도 태산군으로 옮겨졌다.[6]

청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4만 761호, 64만 2884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 대략 오늘날의 지난시 중부와 동부, 빈저우 시 쩌우핑 현, 쯔보 시 서부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동평릉 東平とうへいりょうけん 지난시 공관과 철관이 있었다.
추평현 鄒平けん 빈저우 시 쩌우핑 현
평대현 平臺ひらだいけん 지난 시 북동
양추현 りょう鄒縣 빈저우 시 쩌우핑 현 북
토고현 つづみけん 지난 시 장추 시
어릉현 於陵けん 쯔보 시 도위가 다스린다.
양구현 おかけん 지난 시 장추 시 북
반양현 般陽けん 쯔보 시 남서
간현 すがけん 지난 시 장추 시 북서
조양현 朝陽あさひけん 빈저우 시 쩌우핑 현 북서
역성현 れきぐすくけん 지난 시 서 철관이 있었다.
효현 猇縣 지난 시 장추 시 북
저현 ちょけん 지난 시 지양 현
의성현 むべなるけん 지난 시 상허 현 남?

[8]

신나라[편집]

군의 이름을 낙안(らくやす)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평대(平臺ひらだい) 대치(たい)
어릉(於陵) 어륙(於陸)
반양(般陽) 제남정(すみみなみてい)
조양(朝陽あさひ) 수치(おさむ)
유(猇) 이성(利成としなり)

군수·태수[편집]

전한[편집]

각주[편집]

  1. きさき晓荣 (2009년 1월 1일). 《はただいせい地理ちり》. 北京ぺきん东城さき晓胡どう10ごう: 社会しゃかい科学かがく文献ぶんけん出版しゅっぱんしゃ. 108-109쪽. ISBN 9787509705704. 
  2. きさき晓荣. 《はただいせい地理ちり》. 285-289쪽. 
  3. 사마천: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제4
  4. 반고: 《한서》 권1 고제기제1
  5. 谭其骧: 《しんぐんしんこう》(しゅう鹤: 《西にし汉政地理ちり》에서 재인용)
  6. しゅう鹤 (1987년 8월). 《西にし汉政地理ちり》 [서한정구지리] (중국어). 北京ぺきん: 人民じんみん出版しゅっぱんしゃ. 
  7. 반고: 《한서》 권38 고오왕전제8
  8. 반고: 《한서》 권28 상 지리지제8 상
  9. 반고: 《한서》 권95 서남이양월조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