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청안군 (1851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청안군 (1851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제국군 부장 예복을 입고 있는 청안군 이재순

청안군 이재순(せいやすしくん じゅん,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おん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ろうほらみや) 사손(嗣孫)이다. 1899년 사도장헌세자장조 의황제로 추존되면서, 그해 9월 왕족의 예로서 청안군에 책봉되었다. 자는 덕일(德一とくいち), 초명은 순달(じゅんたち), 시호는 문충(文忠ふみただ)이다.

철종의 이복 서형인 영평군 경응의 양자로 입양, 음서로 관료생활을 하던 중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1899년 왕족 자격으로 군에 봉작되었다.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재순(じゅん), 자는 덕일(德一とくいち), 초명은 순달(じゅんたち), 시호는 문충(文忠ふみただ)이다.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おん彦君)의 증손이며, 철종의 양 조카이다. 아버지는 영평군 이경응(えいたいらくん けいおう)이며, 생부는 선조의 9남 경창군의 9대손으로 음직 부사 판서 이휘응(徽應)[1]이며, 어머니는 안동인(安東あんどうじん) 김재협(きむざいきょう)의 딸 안동 김씨(安東あんどう きむ)이다.

양부 영평군 이경응은 본부인 평산신씨에게서 자녀가 없어, 사후에 청도인 김재협(きむざいきょう)의 딸 김재협의 딸 청도김씨와 재혼하였다. 그러나 딸 1명만을 보았다. 영평군 경응은 곧 양자를 들이게 되었고 그가 낙점되었다.

이휘응의 아들로 1851년(철종 2) 10월 24일 탄생하였다. 음서로 출사하여 사용을 역임하였다.

관료 생활[편집]

사용으로 재직 중 1868년(고종 5) 왕족에게 실시하는 특별 과거인 종친정시문과(そうちかしにわためし文科ぶんか) 을과로 급제하자, 고종이 전교하길 "이 가문에 과거 급제의 명성이 성대하니 매우 기특하고 기쁘다. 전계 대원군(ちょんけい大院君たいいんくん)의 사우(ほこら宇)에 정경(せいきょう)을 보내어 전작례(奠酌れい)를 섭행(くだり)하게 하라." 하였다. 이해 4월 11일 홍문관 부교리(弘文こうぶんかんふくこう)를 거쳐 헌납(獻納けんのう)을 지내고, 1871년(고종 8) 부교리(ふくこう)를 거쳐 1872년(고종 8) 부사과(ふくつかさはて)를 지내고, 다시 부교리(ふくこう)를 거쳐 1873년(고종 10) 교리(こう)가 되었으며, 1876년(고종 13) 종친부정(そうちかしただし)이 되었다.

1877년(고종 14) 집의(よし)를 거쳐 1878년(고종 15) 병조참의(兵曹へいそう參議さんぎ)를 역임하고, 부호군을 거쳐 1880년(고종 17) 4월 30일 성균관 대사성(なりひとしかんだいつかさしげる)에 제수되었다. 1882년(고종 19) 종정경(そうただしきょう)을 거쳐 1888년(고종 25) 6월 30일 이조참판(吏曹さんばん)을 거쳐 이해 11월 22일 사헌부 대사헌(だいつかさけん)에 제수되고, 이해 12월 선원보략(璿源りゃく)을 수정할 때 감인 당상(かんしるし堂上どうじょう)을 지냈다.

1890년(고종 27) 종정경(そうただしきょう)되고, 1892년(고종 29) 도승지(うけたまわむね)를 거쳐 6월 23일 한성부 판윤(かん城府じょうふばんいん)이 되고, 이해 8월 15일 형조 판서(けい曹判しょ)를 거쳐 이해 10월 30일 의정부 우참찬(みぎさんさん)을 거쳐 1893년(고종 30) 10월 12일 예조 판서(れい曹判しょ)를 역임하였다.

1895년(고종 32) 4월 27일 형조 판서(けい曹判しょ)를 거쳐 5월 25일 시종원경 겸 시종장(侍從じじゅういんきょうけん侍從じじゅうちょう)에 제수되고, 이해 7월 28일 특파대사(特派とくは大使たいし)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이해 10월 12일 시종원경으로 있으면서 친일정권에 포위되어 불안에 떨고 있는 국왕을 궁성 밖으로 모셔 나와 친일정권을 타도하고 새 정권을 수립하고자 춘생문사건(春生はるおもん事件じけん)을 일으켰다.

시종 임최수(はやしさい洙), 탁지부 사계국장(支部しぶけい局長きょくちょう) 김재풍(きむざいゆたか), 참령 이도철(みちとおる), 정위 이민굉(敏宏としひろ), 전의원(ぜん議員ぎいん) 이충구(ただしもとむ), 중추원의관 안경수(やす?ことぶき) 등과 합작 모의하여 정동파(さだほら) 인사들인 이범진(はんすすむ이윤용(まことよう이완용(かんよう윤웅렬(いんつよしれつ윤치호(いん致昊) 등의 호응을 받아, 친위제1대대소속 중대장 남만리(みなみ萬里ばんり)와 친위제2대대 소속 중대장 이규홍(奎泓)이 인솔한 800명의 군인들로 하여금 건춘문(けんはるもん)으로 입궐을 시도하게 하였으나 실패하고, 삼청동 쪽에 있는 춘생문에서 담을 넘어 입궐을 시도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 계획에 협력하기로 약속하였던 친위대 대대장 이진호(軫鎬)가 서리군부대신(しょ軍部ぐんぶ大臣だいじん) 어윤중(さかなまことちゅう)에게 밀고 함으로써 어윤중의 선무공작(宣撫せんぶ工作こうさく)으로 거사에 실패하고 말았다. 이로 인하여 대부분의 가담자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11월 15일에 열린 특별법원의 판결에서 태(むち) 100대, 징역 3년의 형을 받았으나 종친이었던 까닭으로 3년의 징역을 면제받고 3년 기한의 향리방축(鄕里放逐ほうちく)의 벌을 받았다.

1896년(고종 33, 건양 1) 2월 11일 방축향리 죄인(放逐ほうちく鄕里罪人ざいにん)이었던 그를 사면해주고, 궁내부 대신(みや內府大臣だいじん)에 제수하였다. 이해 3월 1일 혼전(たましい殿どの)의 향관(とおるかん)에 임명되고, 이해 10월 19일 경소전(けいあきら殿どの)을 새로 지은 공로로 특별히 종1품으로 가자하였다. 1897년(광무 1) 3월 12일 홍문관 시강(弘文こうぶんかん侍講じこう)을 겸임(兼任けんにん)하고, 이해 7월 12일 규장각 학사(奎章かく學士がくし)를 겸임시키고, 이해 10월 1일 칙임관 3등에 서임하고, 이해 10월 12일 대행 황후 개명정 서사관(だいくだり皇后こうごうあらためめい書寫しょしゃかん)에 임용되었다.

1898년(광무 2) 4월 30일 궁내부 특진관(みや內府特進とくしんかん)에 임용하고 칙임관 1등에 서임하고, 이해 7월 11일 궁내부 대신(みや內府大臣だいじん)에 임용되어 칙임관(みことのり任官にんかん) 1등에 서임(敍任じょにん)되고, 이해 10월 11일 궁내부 특진관(みや內府特進とくしんかん)이 되었다. 이해 11월 9일 경효전 제조(けいたかし殿どのひさげ調ちょう)를 거쳐 이해 11월 30일 종정원 경(そうただしいんきょう)에 임용되어 칙임관(みことのり任官にんかん) 3등에 서임(敍任じょにん)되고, 이해 12월 21일 궁내부 대신(みや內府大臣だいじん)에 제수되었다.

1899년(광무 3) 2월 22일 규장각 학사(奎章かく學士がくし)를 겸임하고, 이해 5월 14일 부장(副將ふくしょう)이 되었다.

봉작 이후[편집]

1899년 6월 5일 독일とくこく〕 친왕(親王しんのう)이 오늘 대한제국 항구에 도착할 때에 영접하였고, 이해 7월 13일 겸임 표훈원의정관(兼任けんにんひょうくん院議いんぎ政官せいかん)을 거쳐, 이해 7월 20일 임시서리군부대신사무(臨時りんじしょ軍部ぐんぶ大臣だいじん事務じむ)에 임용되고, 이해 사도세자장종으로 추존되면서 그도 이해 9월 21일 승습의 예에 따라 청안군(せいやすしくん)으로 봉작하였다.

1900년(광무 4) 1월 9일 궁내부 특진관(みや內府特進とくしんかん)에 임용하고 칙임관(みことのり任官にんかん) 1등에 서임(敍任じょにん)하고, 이해 4월 22일 종친(そうちかし)으로서 일찍이 대사(大使たいし)의 직함을 띠고 이웃 나라에 파견되어 기록할 만한 공적을 세워 특별히 훈(くん) 1등에 서훈(敍勳じょくん)하고 태극장(太極たいきょくあきら)을 하사하였다. 이해 6월 25일 행로명정서사관(行路こうろめい書寫しょしゃかん)이 되었다. 1901년(광무 5) 2월 6일 판돈녕원사(はんあつしやすしいんごと)에 임용하고 모두 칙임관(みことのり任官にんかん) 1등에 서임하고, 이해 3월 19일 징계가 풀려 이해 4월 23일 궁내부 특진관(みや內府特進とくしんかん)에 임용하고 칙임관(みことのり任官にんかん) 1등에 서임(敍任じょにん)되고, 이해5월 5일 호위대 총관(扈衛たいそうかん)의 사무를 서리(しょ)하였다.

아들이 없어서 소현세자의 후손 이한용을 양자로 들였다. 그러나 양자 이한용 역시 자녀 없이 1890년 15세에 사망하여 결국 덕흥대원군 13대손 군수(こおりまもる) 이건용(けん鎔)의 아들 해승을 양손자로 들였다.

1904년(광무 8) 1월 2일 거상 중에 불러내어 벼슬을 시키고 다시 청안군(せいやすしくん)에 봉군하였다. 그러나 곧 병석에 누웠고, 수일간 신병으로 고생하였다 한다. 이해 3월 2일 상오 1시, 향년 54세로 별세하였다. 사망 당시 그의 직책은 숭록대부 판돈령원사 겸 장례원홍문관학사 규장각학사 시강원시강관이었고, 대한제국 육군부장직도 겸하고 있었다.

사후[편집]

시신은 양주군 홍제원(ひろずみいん) 답동(くつほら, 후일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일대)에 안장됐다가 뒤에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かみあなめん) 진관리(ひろしさと, 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 산 47-1번지 북한산의 지산 이말산(莉茉さん)에 이장되었다가 1964년 경에 전계대원군회평군 명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포천군 포천읍 선단리(현 포천시 선단동) 산 11번지로 이장되었다. 전계대원군 묘에서 오른쪽 숲길 따라 250m 지점에 소재해 있다. 묘비는 1904년(광무 8년)에 건립되었으며 글은 윤용구(いんようもとむ)가 지었고, 글씨는 이헌형(きん+けんひさし)이 썼다.

고종황제가 조령(みことのりれい)을 내리길, "이 종신(そうしん)은 천성이 진중하고 후덕하며 몸가짐이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서 가까운 종친들 가운데서도 가장 깊은 관심을 가졌었다. 또한 임오년(1882)과 을유년(1885) 양년에 높은 충성을 다한 수고로 말하면 역사에 기록될 만한 것이다. 한창 등용하던 도중에 갑자기 부고를 받고 보니 슬프기 그지없다. 졸한 청안군 이재순의 상사(ごと)에 장생전(長生ながお殿どの)에서 관 1부를 보내 주고, 장례비는 궁내부(みや內府)로 하여금 되도록 넉넉하게 보내주도록 할 것이며, 특별히 대광보국숭록대부(だいただし輔國たかし祿ろく大夫たいふ)로 추증하고 시호(諡號しごう)는 장사를 지내기 전에 시장문(おくりなじょうぶん)이 올라오기를 기다리지 말고 의논하도록 하라. 성복일(なりふく)에는 치제(致祭)할 수 없을 것이니, 장일(そう)에 비서원 승(祕書ひしょいんすすむ)을 보내어 치제하게 하라. 제문은 직접 지어 내려보내겠다." 하였다. 이해 3월 8일 시호는 문충(文忠ふみただ)에 추증되었다.

1909년(융희 3) 8월 27일 황후가 인정전(仁政じんせい殿どの) 동쪽 행각에서 청안군(せいやすしくん) 부인 정경부인 홍씨(ひろし)에게 특별히 훈 2등에 서훈하고 서봉장(みずおおとりあきら)을 하사하였다.

1910년(융희 4) 8월 21일 황후(皇后こうごう)가 청안군(せいやすしくん) 부인 정경부인(さだけい夫人ふじん) 훈(くん) 2등 홍씨(ひろし)에게 훈 1등에 서훈(敍勳じょくん)하고 서봉장(みずおおとりあきら)을 하사하였다.

가족관계[편집]

  • 할아버지(양 조부) : 전계대원군(ちょんけい大院君たいいんくん, 1785년 4월 29일 ~ 1841년 12월 14일)
  • 아버지(양부): 영평군 이경응(えいたいらくん けいおう, 1828년 - 1901년), 전계대원군의 서자였으나 승적하여 봉사손이 되었다.
  • 어머니(양모): 정경부인 평산신씨(1832년 7월 22일 - 1857년 5월 8일), 신재준(さるざいじゅん)의 딸
  • 어머니(양모): 정경부인 청도김씨(さだけい夫人ふじん 淸道きよみちきん, 1839년 3월 23일 - 1921년)
    • 양 누이: 숙부인 이씨(淑夫としおじん , 1866년 - 1913년), 군수(こおりまもる) 황연수(えんじしゅう)에게 출가.
    • 양 매제 : 선산군수(こおりまもる) 황연수(えんじしゅう, 1866년 - 1949년), 응교 황보연(ひろしふち, 창원 황씨)의 아들[2][3]
  • 아버지(생부): 이휘응(徽應), 선조의 서 9남 경창군(けいあきらくん)의 9대손.
  • 어머니(생모): 안동김씨(安東あんどう きむ), 안동인(安東あんどうじん) 김재협(きむざいきょう)의 딸.
  • 부인: 정경부인 풍산홍씨(さだけい夫人ふじん 豊山とよやまひろし, 1853년 3월 14일 ~ ?), 풍산인 홍경모(ひろしけい謨)의 딸
    • 아들(양자): 풍선군 이한용(ゆたかよしくん かん鎔, 1875년 - 1890년), 인조의 적장남 소현세자 8대손이자 음서로 영(れい)을 지낸 이재철(とおる)의 아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경창군의 서차남 창흥군(あきらきょうくん)의 8대손
  2. “창원황씨세보 (あきらげん)”. 《FamilySearch》. 2021년 2월 8일에 확인함. 
  3. “창원황씨세보, 봉교공파 (あきらげん たてまつきょうおおやけ)”. 《FamilySearch》. 2021년 2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