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궁내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궁내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궁내부(みや內府)는 조선 말기인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때 신설되어 왕실 업무를 총괄한 관청이다.[1]

개요[편집]

본래 조선 시대에 국정을 총괄하던 의정부는 국정 사무와 왕실 사무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다. 종친부의빈부, 돈녕부 등 왕실과 관련된 사무가 여러 부서에 흩어져 있기도 했다.

1894년의 통치기구 개혁으로 왕실과 관련된 행정을 일반 행정과 완전히 분리하여, 의정부에서 왕실 업무를 떼어내 궁내부에 맡겼다. 궁내부의 수장은 궁내부대신이 맡았다.

1899년에는 광무개혁을 통해 의정부를 정책 결정 기구로, 궁내부는 집행부로 삼아 대한제국의 양부 체제를 갖추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후 궁내부는 계속 확대되어 1902년에는 26개의 원(いん), 국(きょく), 사(つかさ)를 포함한 대관제(だい官制かんせい)가 되었다. 이는 대한제국 고종이 근대화와 관련된 사무를 궁내부에 배치시켜 자신이 직접 통제했기 때문이다. 1904년까지 계속된 광무개혁을 주도한 인적 자원도 궁내부 관리들이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로 해체되었고, 궁내부 본연의 업무인 왕실 관련 사무는 신설된 이왕직으로 이관되었다.

궁내부 소속관청[편집]

다음은 1902년(광무 6년) 기준 궁내부 소속 관청이다. 이러한 각 관청 이외에 궁내부 대신 직속으로 대신관방(大臣だいじん官房かんぼう, 비서실 겸 총무국)이 존재하였다.

  • 궁내부(みや內府)
칙임관: 특진관(特進とくしんかん)
주임관: 비서관(秘書官ひしょかん), 내사과장(內事課長かちょう), 외사과장(外事がいじ課長かちょう), 통역관(通譯つうやくかん), 조사과장(調しらべごと課長かちょう)
  • 시종원(侍從じじゅういん): 시종(侍從じじゅう)과 시강(侍講じこう)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
칙임관: 시강(侍講じこう)
주임관: 시종(侍從じじゅう), 봉시(たてまつさむらい), 승봉(うけたまわたてまつ)
판임관: 주사(主事しゅじ), 좌시어(ひだりさむらい), 우시어(みぎさむらい)
  • 비서원(秘書ひしょいん): 황명의 출납과 기록을 맡아본 관청.
칙임관: 경(きょう)
주임관: 승(すすむ)
판임관: 랑(ろう)
  • 규장각(奎章かく): 역대 임금의 어진(しん) · 어제(御製ぎょせい) 어필(ふで)과 왕실의 전적, 도서의 모각(かたぎこく) 등사(とうこと)를 관장하던 관청.
칙임관: 학사(學士がくし)
주임관: 직학사(ちょく學士がくし)
판임관: 직각(ちょくかく), 대제(まちせい), 주사
  • 홍문관(弘文こうぶんかん): 궁중의 경서(經書けいしょ) ·사적(史籍しせき)의 관리, 문한(ぶん翰)의 처리 및 황제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경연관(けいむしろかん)
주임관: 경연관
판임관: 시강
  • 장례원(てのひられいいん): 각종 의식과 제례(祭禮さいれい)의 여창 및 외국사절의 인접(引接いんせつ)을 관장하던 관청
칙임관: 경, 소경(しょうきょう)
주임관: 좌장례(ひだりてのひられい), 우장례(みぎてのひられい), 찬의(さん), 상례(あいれい)
판임관: 주사
  • 종정원(そうただしいん): 황실의 계보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칙임관: 경, 군(きみ)
주임관: 도정(みやこただし), 정(ただし), 부정(ふくせい)
판임관: 주사
  • 돈녕원(あつしやすしいん): 황제의 친척 ·외척에 대한 보첩(牒)을 관장한 관청
칙임관: 영사(領事りょうじ), 판사(判事はんじ), 지사(知社ちしゃ), 동지사(どう知事ちじ)
주임관: 검지사(檢知けんちごと)
판임관: 주사
  • 회계원(會計かいけいいん): 황실의 예산 및 지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칙임관: 경
주임관: 출납과장(出納すいとう課長かちょう)
판임관: 주사
  • 태의원(ふとし醫院いいん): 임금의 진찰과 어약(くすり)의 조화(調和ちょうわ)를 맡아보던 관아.
칙임관: 도제조, 경
주임관: 소경, 전의(てん), 지사
판임관: 주사
  • 내장원(內藏いん): 황실 경비의 예산·결산 따위를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경, 감독(監督かんとく)
주임관: 장원과장(ぞうえん課長かちょう), 종수과장(たねおさむ課長かちょう), 수륜과장(みず課長かちょう), 삼정과장(蔘政課長かちょう), 공세과장(みつぎぜい課長かちょう), 기록과장(記錄きろく課長かちょう)
판임관: 지사
  • 수륜원(みずいん): 관개(灌漑かんがい)·관수(灌水) 등의 일을 맡아본 관청
칙임관: 총재(總裁そうさい), 부총재(ふく總裁そうさい), 감독
주임관: 과장(課長かちょう), 지사, 국장(局長きょくちょう)
판임관: 주사, 지수(えだしゅ)
  • 경위원(警衛けいえいいん): 대궐 안팎의 경비를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총관(摠管), 총무국장(總務そうむ局長きょくちょう)
주임관: 총무국장, 경무관(警務けいむかん)
판임관: 주사, 총순(そうじゅん)
  • 예식원(禮式れいしきいん): 외국과의 왕복 서류 따위의 번역을 맡아보던 부서
칙임관: 장(ちょう), 부장(副長ふくちょう)
주임관: 외사과장(外事がいじ課長かちょう), 번역과장(飜譯課長かちょう), 참서관(さんしょかん), 번역관(飜譯かん), 문서과장(文書ぶんしょ課長かちょう), 회계과장(會計かいけい課長かちょう), 박문과장(博文ひろぶみ課長かちょう)
판임관: 주사, 번역관보(飜譯かん)
  • 철도원(鐵道てつどういん): 철도업무를 관장하던 관청.
칙임관: 총재, 감독(監督かんとく), 부총재
주임관: 지사, 철도과장(鐵道てつどう課長かちょう), 회계과장, 문서과장
판임관: 주사, 지수
  • 박문원(博文ひろぶみいん): 국내외 온갖 서적의 보관을 맡은 관아.
칙임관: 장, 부장, 찬의
주임관: 도서
판임: 기사
  • 평식원(たいらしきいん): 도량형 통일 업무를 관장하던 기구.
칙임관: 총재, 부총재
주임관: 총무과장, 검정과장(檢定けんてい課長かちょう), 지사
판임관: 주사, 지수
  • 수민원(綬民いん): 외국여행권을 관장한 관청
칙임관: 총재, 부총재, 도감
주임관: 총무국장(總務そうむ局長きょくちょう), 참사관(參事官さんじかん)
판임관: 주사, 위원
  • 어공원(御供ごくういん): 황실의 토지 개간, 종식(たねうえ)•천택(かわさわ)•강해(こううみ)•제언(つつみせき)•어렵(漁獵ぎょりょう) 및 임금에게 진상하는 각종 물품에 관한 일을 담당하던 관청.
칙임관: 경
주임관: 서무과장(庶務しょむ課長かちょう)
판임관: 위원(委員いいん), 주사
  • 비원(いん): 창덕궁 안의 공원을 관리하던 관청
칙임관: 장, 부장
주임관: 검무관(けんつとむかん), 감동(かんただし)
판임관: 주사
  • 제실제도정리국(帝室ていしつ制度せいど整理せいりきょく): 황실 제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총재, 의정관(議定ぎていかん)
주임관: 비서(秘書ひしょ)
판임관: 기사(記事きじ)
  • 서북철도국(西北せいほく鐵道てつどうきょく): 서울~신의주 간의 철도를 놓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
칙임관: 총재, 도감, 국장
주임관: 국장, 지사
판임관: 주사, 지사
  • 봉상시(たてまつつねてら): 제사(祭祀さいし)와 시호(諡號しごう)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칙임관: 도제조(ひさげ調ちょう), 제조(ひさげ調ちょう)
주임관: 부제조(ふくひさげ調ちょう)
판임관: 주사
  • 전선사(てんぜん): 궁중의 연회·음식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제조
주임관: 부제조, 장
판임관: 주사
  • 상의사(尙衣): 임금의 의복과 궁내의 일용품, 보물 따위의 관리를 맡아보던 관아.
칙임관: 제조
주임관: 장, 직조과장(みやつこ課長かちょう), 지사
판임관: 주사, 지수
  • 주전사(おも殿どの): 전각의 수호와 수리를 맡아보던 관아
주임관: 장
판임관: 주사
  • 영선사(營繕えいぜん): 황실의 토목, 건축, 영선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부서.
주임관: 장, 지사
판임관: 주사
  • 물품사(物品ぶっぴん): 궁중에서 쓰는 물건을 사들이고 건물을 수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부서.
주임관: 장
판임관: 주사
  • 태복사(ふとしぼく): 임금이 타는 말과 수레를 관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주임관: 장, 지사
판임관: 주사, 내승(內乘)
  • 통신사(通信つうしん): 전화와 철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주임관: 장, 지사
판임관: 주사
  • 제용사(すみよう): 식료품 및 그 밖의 특산물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장
주임관: 부장(副長ふくちょう), 이사(理事りじ), 검찰관(檢察官けんさつかん)
판임관: 주사
  • 관리서(管理かんりしょ): 사찰과 산림 및 성보(しろ堡) 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관리(管理かんり), 부관(ふくかん)
주임관: 부관, 이사
판임관: 주사
  • 광학국(こうがくきょく): 광산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국장, 감독
주임관: 부관, 이사
판임관: 주사
  • 황후궁(皇后こうごうみや): 황후에 관련된 일을 맡아 하던 관청.
칙임관: 대부(大夫たいふ)
주임관: 이사
판임관: 주사
  • 시강원(侍講じこういん): 황태자의 교육을 담당한 관청.
칙임관: 일강관(にちこうかん), 첨사(詹事), 서연관(しょむしろかん)
주임관: 부첨사(ふく詹事), 시독관(ためし讀官), 서연관
판임관: 시종관(侍從じじゅうかん)
  • 강서원(こう書院しょいん): 황제의 손자를 교육하는 일을 맡던 관청.
칙임관: 사(), 전(つて), 유선(さとしぜん), 일강관(にちこうかん)·유덕(さとしとく)
주임관: 익선(翊善), 권독(すすむ讀), 부유덕(ふくさとしとく)
판임관: 찬독(さん讀), 위종(まもるしたがえ)
  • 황태자비궁(皇太子こうたいしみや): 황태자비에 관한 일을 맡아 하던 관청.
주임관: 대부(大夫たいふ)
판임관: 주사(主事しゅじ)
  • 친왕부(親王しんのう): 황자의 보익(輔翼), 시강, 호종(まもるしたがえ)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총판(摠辦)
주임관: 영(れい), 찬위(さんじょう)
판임관: 전위(てんまもる), 전독(てん讀)
  • 황족가(皇族こうぞく): 황가의 사무와 회계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관청.
주임관: 가령(家令かれい)
판임관: 가종(いえしたがえ)
  • 종인학교(宗人むねと學校がっこう): 황족의 자제를 가르치던 학교.
칙임관: 교장(校長こうちょう), 도선(しるべぜん), 전훈(てんくん)
주임관: 전훈
판임관: 사회(つかさ誨), 전부(てん簿)
  • 원구단사제서(えんおかだん司祭しさいしょ): 원구단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
칙임관: 제조
판임관: 영, 참봉(さんたてまつ)
  • 종묘서(宗廟そうびょうしょ): 종묘의 수위를 맡아보던 관아.
칙임관: 제조
판임관: 영
  • 사직서(社稷しゃしょくしょ): 사직단(社稷しゃしょくだん)의 관리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
칙임관: 제조
판임관: 영, 참봉
  • 영희전(えい禧殿): 태조·세조·원종·숙종·영조·순조의 영정을 모셨던 전각.
칙임관: 제조
판임관: 영, 참봉
  • 묘전관(びょうてんかん)
칙임관: 제조(전라감사가 겸임)
판임관: 위장(진위대장군이 겸함)
  • 단묘관(だんはかかん)
판임관: 수봉관(もりたてまつかん)
  • 능원관(りょうえんかん)
판임관: 봉사, 참봉
  • 호위대(扈衛たい): 황제의 호위를 맡았던 군대.
칙임관: 총관(摠管)
주임관: 정위(せいじょう), 부위(ふくじょう), 참위(まいりじょう)
판임관: 향관(餉官), 정군관(せいぐんかん), 부군관(ふくぐんかん), 참군관(さんぐんかん), 참령(さんりょう)

시종원[편집]

시종원(侍從じじゅういん)은 1895년에 궁내부 산하에 신설된 기구이다.[2] 조선의 승정원갑오개혁 이후의 승선원의 역할을 이어받아, 왕의 시종과 시강 업무를 맡았다. 시종원 산하에는 왕의 비서 업무를 맡는 비서감과 왕의 건강 상태를 전담하는 전의사를 두었다. 1895년에 궁내부 조직이 대폭 축소되면서 경연청, 시강원내의원이 폐지되어 해당 기능이 시종원으로 이관되었다. 시종원의 수장은 시종원경이다.

관원[편집]

궁내부의 소속된 관원은 궁내부대신 1인, 협판 1인, 참서관 3인, 통역관 2인, 주사 10인, 특진관 15인 이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

  • 신동준 (2007년 11월 9일). 〈제17장 고종 - 광무개혁〉.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서울: 살림. ISBN 9788952207395. 

각주[편집]

  1. 윤치호는 자신의 영문 일기 《윤치호 일기》에서 궁내부를 'Household Department'로 표기하였다. 일반적으로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 또는 'Imperial Household Department',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라고 한다.
  2. 이근호 (2001년 3월 3일). 〈가 - 궁내부〉.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사전》. 서울: 청아출판사. ISBN 8936800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