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샤트리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샤트리야(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रिय)는 인도의 카스트 중 두번째 카스트전사 계급인 동시에 지배 계급이다. 불교 경전과 논서들에서는 찰제리(刹帝) 또는 찰리종(刹利しゅ)이라고 번역한다.[1][2][3] 상위 계급으로 성직자 계급인 브라만을 모시며, 하위계급인 바이샤(서민), 수드라(빈민) 계급을 통치하는 계급이다. 이러한 계급 제도는 베다 경전이 뒷받침하고 있다. 베다의 경전에 의하면 크샤트리야는 브라흐마의 오른손과 왼손에서 나왔다고 한다. 단, 실제 생활에서는 자티(Jāti)라는 계급 제도가 기능을 하고 있다. 이것이 오늘날 인도의 수천의 계급이 존재하는 카스트에 해당된다. 그러나 브라만은 그 신분 자체가 성직자이므로 정치에는 개입할 수 없어 인도는 크샤트리야가 다스리고 있다. 왕을 비롯하여 인도의 주요 관직은 모두 크샤트리야가 담당하고 있다. 왕, 총리, 의원은 물론 군 지휘관, 법관, 경찰 등의 공무원 계열의 직업도 모두 크샤트리야가 담당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구글 CBETA 검색, "찰제리". 2013년 4월 23일에 확인.
    "찰제리(刹帝):
    CBETA T01 No. 10《白衣はくいきん婆羅門ばらもん緣起えんぎけいまき3
    www.cbeta.org/result/normal/T01/0010_003.htm
    T01n0010_p0220c16(00)║また於地かいぜんさく守護しゅごため主宰しゅさいめい剎帝
    T01n0010_p0220c17(00)║此剎みかどめいだい墮於文字數もじすうちゅう
    T01n0010_p0220c18(04)║また ...
    CBETA T32 No. 1635《大乘だいじょうたから要義ようぎろんまき5 - CBETA 中華ちゅうか電子でんし佛典ぶってん協會きょうかい
    www.cbeta.org/result/normal/T32/1635_005.htm
    T32n1635_p0060b13(12)║ふくゆう剎帝旃陀乃至ないし長者ちょうじゃ旃陀じん。 ...
    T32n1635_p0060b22(06)║しょとくにん菩薩ぼさつ訶薩おう受剎みかどおう灌頂及富らく受用じゅよう
    CBETA T01 No. 38《おう七寶しっぽうけいまき1
    www.cbeta.org/result/normal/T01/0038_001.htm
    T01n0038_p0821a24(05)║ゆう剎帝だい灌頂おう——やめ受灌いただきとく王位おうい, ...
    T01n0038_p0821b01(05)║かれ剎帝だい灌頂おう寶出ほうでやめこころだい歡喜かんき, ...
    CBETA T13 No. 411《大乘だいじょうだいしゅう地藏じぞうじゅうりんけいまき4
    www.cbeta.org/result/normal/T13/0411_004.htm
    T13n0411_p0739c23(16)║拔濟如是にょぜ剎帝旃荼乃至ないし婆羅門ばらもん旃荼れい趣向しゅこうあいだ
    地獄じごく。 T13n0411_p0739c24(00)║なんじふつつげ地藏じぞう菩薩ぼさつ訶薩ごと善男ぜんなん
    CBETA T31 No. 1602《顯揚けんよう聖教せいきょうろんまき8 - CBETA 中華ちゅうか電子でんし佛典ぶってん協會きょうかい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2_008.htm
    ろく剎帝。 T31n1602_p0520a05(01)║なな婆羅門ばらもんはちほえしゃきゅう戍達じゅうじょじゅういちなん
    。 T31n1602_p0520a06(01)║じゅうおとこおんなじゅうさん下品げひんじゅうよんちゅうひんじゅう上品じょうひん
    CBETA T17 No. 758《佛說ぶっせつ諸行しょぎょう有為ゆういけいまき1 - CBETA 中華ちゅうか電子でんし佛典ぶってん協會きょうかい
    www.cbeta.org/result/normal/T17/0758_001.htm
    及部およべとういたり壽命じゅみょうつき決定けってい殞滅。 T17n0758_p0600b17(01)║わかかれせいそくとうめつ
    T17n0758_p0600b18(10)║わかかれ長者ちょうじゃ婆羅門ばらもん剎帝種族しゅぞく殊勝しゅしょうえらとうと自在じざいざいとみ。"
  2.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2권. p. T25n1509_p0073b13 - T25n1509_p0073b19. 찰리종(刹利しゅ)
    "とい曰: なんじあい剎利しゅきよしめし王子おうじ悉達,以是而大稱讚しょうさんごと一切いっさいさとし一切いっさいさとしじん也!こたえ曰: なんじなんじわるよこしま妒瞋ほとけさく妄語もうごじつゆう一切いっさいさとしじんなに以故?ふつ一切いっさい眾生ちゅうしょく顏貌かおかたち端正たんせい無比むひそうとくあかりしょう一切いっさいじんしょう人見ひとみ佛身ぶっしんしょうまた一切いっさいさとしじんなにきょう大人おとな?"
  3.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2권. p. 94 / 2698. 찰리종(刹利しゅ)
    "[문] 그대는 찰리종(刹利しゅ)182)을 사랑하기에 정반왕의 아들의 이름이 실달다라고 하는 것을 가지고 크게 칭찬해 일체지라 하지만, 일체지인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답] 그렇지 않다. 그대는 악하고 삿된 나머지 부처님을 질투하고 미워하여 망어를 한다. 실로 일체지를 갖춘 사람이 있다. 왜냐하면 부처님은 온갖 중생 가운데서 몸빛과 얼굴 모양이 단정하여 견줄 이가 없고, 공덕이 밝아서 온갖 사람을 능가한다. 작은 사람이 부처님의 몸 모습을 보아도 역시 일체지를 갖춘 분임을 알거늘 하물며 큰 사람이 모르겠는가.
    182) 범어로는 kṣatriya. 고대 인도의 4성 계급 가운데 왕족이나 무사에 해당한다."

참고 문헌[편집]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49(14-493), T.1509(25-57).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大智たいちろん)》. 대정신수대장경. T25, No. 150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