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WR 102k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WR 102k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R 102ka

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작약성운, 이 3색 적외선 합성 사진은 파란색의 3.6마이크로미터 파장대, 녹색의 8마이크로미터 파장대, 빨간색의 24마이크로미터 파장대로 구성된다. 작약성운은 작약성운 별을 둘러싸고 있는 흰색 원 안팎의 붉은 먼지 구름이다.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분점 J2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 17h 46m 18.12s[1]
적위 -29° 01′ 36.5″[1]
특성
진화 단계 빗금표 항성
스펙트럼 종류 Ofpe/WN9[2]
겉보기등급 (J) 13.0[1]
겉보기등급 (H) 10.3[1]
겉보기등급 (K) 8.8[1]
J−H 색지수 2.7[1]
J−K 색지수 4.2[1]
변광 종류
위치천문학
거리26,000[2] ly
(8,000[2] pc)
상세
질량~100[3] M
반지름92[2] R
광도2,950,000[3] L
유효온도25,100[2][3] K
나이~2[3] Myr
천체 명칭
작약 별,[4] 작약성운 별, WR 102ka, 2MASS J17461811-2901366, ISOGAL-P J174618.2-290136, MSX6C G000.0003-00.1743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WR 102ka작약 별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우리 은하에서 알려진 가장 광도가 높은 의 여러 후보 중 하나인 빗금표 항성이다.[5]

발견

[편집]

WR 102ka는 은하중심 근처에 존재하며 본질적으로 가시 영역에서 완전히 가려져 있어 먼지를 투과할 수 있는 더 긴 파장의 적외선으로 관찰해야 한다. WR 102ka는 2002년과 2003년에 적외선 조사를 통해 분류되었는데 이는 각각 1.2 μみゅーm, 1.58 μみゅーm, 2.2 μみゅーm의 근적외선 J, H 및 Ks 대역에서의 2MASS[1]μみゅーm, 15 μみゅーm의 젊은 항성체 후보에 대한 ISOGAL 측량에서 관찰되었다.[6]

μみゅーm 부근의 여러 스펙트럼 특징에 대한 협대역 적외선 관측 결과 WR 102ka는 분광형 WN10으로 분류되는 볼프-레이에별인 것으로 추정 되었으며[7] 밝은 청색변광성으로 제안되기도 했다.[8]

스피처 우주망원경은 2005년 4월 20일에 파장 3.6 μみゅーm, 8 μみゅーm, 24 μみゅーm에서 WR 102ka를 관측했으며 이 관측을 통해 이 극도로 빛나는 물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최초의 신뢰할 수 있는 계산이 가능해졌다.[2]

우리 은하의 다른 밝은 항성들

[편집]

더 가까운 별 WR 25는 WR 102ka보다 더 밝을 수 있으며[9] 19세기에 몇 년 동안 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었던 또 다른 가까운 별인 용골자리 에타는 WR 102ka보다 약간 더 밝은 것으로 보이지만 쌍성계로 알려져 있다. 또한 더 최근에 발견된 피스톨별도 있는데 이는 작약 별과 마찬가지로 속해있는 성운의 모양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성운은 아마도 강한 항성풍을 통한 막대한 질량 손실을 통해 생성되었을 것이고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찰한 돌출부를 생성한 1830년대–1840년대의 용골자리 에타의 폭발과 같은 유사 초신성이 일어났을 수도 있다.[10]

피스톨별, 용골자리 에타, WR 102ka의 광도는 전면의 은하 먼지에 의한 심한 가려짐으로 인해 모두 다소 불확실해지며 총 복사 전력을 또는 복사 광도를 추정하기 위해 겉보기 밝기를 줄이기 전에 그 영향이 보정되어야 한다.[11] 용골자리 에타와 WR 102ka는 모두 향후 수백만 년 내에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으로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어지며[12][9] 극도로 거대하고 빛나는 별의 전형적인 경우처럼 두 별 모두 원래 형성되었을 때의 초기 질량의 상당 부분을 밀도가 높고 거대한 항성풍으로 방출했다.[13][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krutskie, Michael F.; Cutri, Roc M.; Stiening, Rae; Weinberg, Martin D.; Schneider, Stephen E.; Carpenter, John M.; 외. (2006년 2월 1일). “The Two Micron All Sky Survey (2MASS)”. 《The Astronomical Journal》 131 (2): 1163–1183. Bibcode:2006AJ....131.1163S. doi:10.1086/498708. ISSN 0004-6256. S2CID 18913331. 
  2. Barniske, A.; Oskinova, L. M.; Hamann, W. -R. (2008). “Two extremely luminous WN stars in the Galactic center with circumstellar emission from dust and ga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6 (3): 971. arXiv:0807.2476. Bibcode:2008A&A...486..971B. doi:10.1051/0004-6361:200809568. S2CID 8074261. 
  3. Oskinova, L. M.; Steinke, M.; Hamann, W. - R.; Sander, A.; Todt, H.; Liermann, A. (2013). “One of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Galaxy may have formed in isolatio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36 (4): 3357. arXiv:1309.7651. Bibcode:2013MNRAS.436.3357O. doi:10.1093/mnras/stt1817. S2CID 118513968. 
  4. Hamann, Wolf-Rainer; Barniske, Andreas; Liermann, Adriane; Oskinova, Lidia M.; Pasemann, Diana; Ruehling, Ute (2011). “The most luminous stars in the Galaxy and the Magellanic Clouds”. 《Société Royale des Sciences de Liège》 80: 98. arXiv:1012.1875v1. Bibcode:2011BSRSL..80...98H. 
  5. Steinke, M.; Oskinova, L. M.; Hamann, W. -R.; Sander, A. (2015년 1월 1일). “The Wolf-Rayet stars WR102c and 102ka and their isolation”. 《Wolf-Rayet Stars》: 365. Bibcode:2015wrs..conf..365S. 
  6. Felli, M.; Testi, L.; Schuller, F.; Omont, A. (2002). “Young massive stars in the ISOGAL survey. II. The catalogue of bright YSO candidat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92 (3): 971–990. arXiv:astro-ph/9905296. Bibcode:2002A&A...392..971F. doi:10.1051/0004-6361:20020973. S2CID 18314394. 
  7. Homeier, N. L.; Blum, R. D.; Pasquali, A.; Conti, P. S.; Damineli, A. (2003). “Results from a near infrared search for emission-line stars in the Inner Galaxy: Spectra of new Wolf-Rayet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408: 153–159. arXiv:astro-ph/0306578. Bibcode:2003A&A...408..153H. doi:10.1051/0004-6361:20030989. S2CID 11814077. 
  8. Clark, J. S.; Larionov, V. M.; Arkharov, A. (2005). “On the population of galactic Luminous Blue Variables” (PDF). 《Astronomy & Astrophysics》 435 (1): 239–246. Bibcode:2005A&A...435..239C. doi:10.1051/0004-6361:20042563. 
  9. “WR 102ka – a Blue Supergiant Star - Assignment Point” (미국 영어).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10. Garner, Rob (2019년 7월 1일). “Hubble Captures the Galaxy's Biggest Ongoing Stellar Fireworks Show”. 《NASA》.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11. Zwicky, F. (1962). “1962IAUS...15..347Z Page 347”. 《Problems of Extra-Galactic Research》 15: 347. Bibcode:1962IAUS...15..347Z.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12. Elizabeth Howell (2022년 1월 26일). “Eta Carinae's epic supernova explosion comes to life in new visualization”. 《Space.com》 (영어).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13. “The turbulent heart of Eta Carinae”. 《www.mpg.de》 (영어).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