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코피스 - 나무위키

코피스

최근 수정 시각:
8
편집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IDC #96574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DC (AS7524) ITEC Hankyu Hanshin Co.,Ltd.
토론 역사
[ 펼치기 · 접기 ]
역사
문화
도시
종교
유물
건축
인물
낭설
[ 펼치기 · 접기 ]
아랍
고대 근동
페르시아
베르베르인
인도·남아시아
튀르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 개요[편집]

고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팔레스타인 지방의 고대 이스라엘(헤브라이 왕국 포함) 등 근동에서 폭넓게 사용된 S자형의 칼날을 지닌 외날 도검이며, 케페쉬, 코페시, 낫칼, 시클 소드등으로도 불린다.

그 기원은 펄션, 색스, 팔크스와 마찬가지로 농기구를 무기화 한 것으로 추정되며, 길이는 50~80cm 가량에 무게는 약 1.5~2kg 정도. 양손으로 쓰이는 일본도(약 1.5~2kg)나 롱소드(약 1.7kg)와 비슷하거나 더 무거운 중량에서 알 수 있듯이 코피스는 제법 묵직한 한손도검이며, 날 부분도 반월 형태로 구부러진 탓에 날에 체중을 실어서 내려치기 쉽게 되어있다. 때문에 도끼처럼 무게와 가속도를 이용해 찍어버리듯이 베어내는 무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적으로 이런 도검은 마체테, 쿠크리, 펄션처럼 아주 많았지만 코피스 쪽이 제일 선배일 듯. 한편 낫같은 외형 덕에 적의 방패를 갈고리처럼 걸어서 놓치게 만드는 기능도 있었다고 한다.

위 사진의 레플리카는 강철제지만, 원래 코피스는 청동검이었다. 신왕조 시대에 들어서 철제 코피스도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도 비슷한 이름(Kopis)을 가진 무기가 있었는데, 이는 팔카타를 일컫는 단어였다. 팔카타 또한 사용법이 비슷하기도 하고, 초기 그리스 문명이 이집트의 영향을 많이 받은 탓에 두 단어가 서로 관계가 있을 거라고 추측되는 경우도 많다. 구약 성경 시대 당시 유대인들 역시 이집트식 코피스를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학설들도 있다.

2. 대중매체[편집]

  • 모양이 플랑베르주, 쇼텔과 함께 특이하게 생긴 날을 가진 덕에 애니, 만화, 영화, 게임 등 가공 매체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 사실 코피스의 형태는 일관적이지 않아서, 제각각이다. 몇몇 코피스는 쿠크리와 매우 비슷하게 생겼으며, 몇몇은 그냥 후크처럼 보이기도 한다. 사실 이건 특정 칼이라기 보다는 환도처럼 뭉퉁그려 칭하는 감이 있어서...

2.1. 소설[편집]

2.1.1. 얼음과 불의 노래[편집]

도트락인의 아라크

2.2. 게임[편집]

2.2.1.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다이애나가 사용한다.

2.2.2. 드래곤 라자[편집]

타이번후치의 훈련을 위해 잠깐 불러낸 오우거가 들고 있는 무기로 묘사되는데, '코페쉬'라는 이름이다.

2.2.3. 워해머 판타지[편집]

툼 킹이 코페쉬를 사용한다. 코페쉬를 쓰는 대표적인 인물로 불멸의 세트라가 있다.

2.2.4.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편집]

배경이 이집트다 보니 주인공인 바예크도, 적들도 주요 근접무장으로 들고다닌다. 게임상에서의 이름은 낫칼. 플레이어가 사용할 경우 공격 속도가 느린 대신 위력이 일반 칼에 비해 훨씬 높으며, 상대에게 일정확률로 출혈 데미지를 부여한다.

2.2.5. 도미네이션즈[편집]

유물로 등장한다.

2.2.6. 배틀 브라더스[편집]

고대 군단이 사용하는 클리버로 등장한다. 방어구 파괴력이 높아서 일반 클리버보다 좋게 평가된다.

2.2.7. Project Moon 세계관[편집]

디아스의 사병 우제트가 사용하는 무기로 등장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최근 변경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