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망원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망원경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

망원경(望遠鏡ぼうえんきょう, 영어: telescope)은 렌즈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엑스선 ·전파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이다. 망원경으로 다루는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라서 광학 망원경, 전파 망원경 등으로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 망원경이라고 하면 가시광선을 보는 광학 망원경을 일컫는 경우가 많다. 망원경은 주로 천문학에서 많이 사용되며, 이 외에도 군용 및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허블 우주망원경

역사

편집

망원경("telescope")은 "멀리(tele)"라는 뜻의 그리스어 τたうλらむだεいぷしろん와 "본다(skopein)"는 뜻의 σκοπεῖνにゅー에서 유래했으며, 1611년에 그리스 수학자인 Giovanni Demisiani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시연한 관측기기를 일컬으며 처음 사용한 기록이 있다.[1][2][3][출처 필요] 최초의 망원경은 1608년에 네덜란드에서 한스 리퍼세이(Hans Lippershey) 등이 발명한 굴절 망원경이며,[4]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 후에 망원경을 개선하여 천문학 관측에 사용하였다.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대물렌즈(objective)를 거울로 바꾸면서 반사 망원경이 등장했다.[5] 굴절 망원경이 가진 구면수차색 수차를 줄일 수 있는 포물면 거울의 장점이 알려지면서 여러 가지 디자인의 반사망원경들이 등장하였다.[6] 1668년에는 아이작 뉴턴이 나중에 뉴턴식 망원경으로 알려진 첫 실용적인 반사망원경을 발명하였다.

1733년 이 후에는 일반 렌즈의 색 수차를 줄일 수 있는 색지움 렌즈(achromatic lens)의 발명 덕에 굴절망원경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반사망원경은 초기에는 거울의 도금물질이 쉽게 산화해버리는 문제가 있었지만, 1857년, 1932년에 각각 망원경 거울을 이나 알루미늄으로 도금하는 기술이 발명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된다.[7][8][출처 필요] 현재 깎을 수 있는 유리 렌즈의 최대 크기는 약 1미터정도에 불과하므로, 20세기에 만들어진 거의 대부분의 대형 망원경들은 모두 반사망원경으로 만들어졌다. 현재 가장 큰 광학 망원경의 크기는 10미터가 넘는다.

한편 20세기에 들어와서 비로소 가시광선 뿐 만 아니라, 다른 파장의 빛(전파부터 감마선까지)을 관측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전자기파 관측기기로서의 망원경이 개발되었다. 최초의 전파망원경은 1931년에 칼 잰스키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적외선 관측기술은 1960년대에 들어 크게 발전되었다. 이 후 망원경은 파장 대역, 분해능, 집광력 등의 면에서 엄청난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였다.

망원경의 원리

편집

망원경은 대물렌즈나 반사거울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모아 상을 만들고, 이 상을 접안렌즈로 확대해서 실제보다 크게 보이도록 하는 기구이다. 대물렌즈가 크면 클수록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많이 받게 되므로 상의 밝기가 증가한다. 밤하늘의 대상들은 그 거리가 무한대로 볼 수 있으므로 상은 항상 대물렌즈의 초점상에 맺히게 된다. 그러므로 대물렌즈에 의한 상의 크기가 크고 접안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물체를 크게 확대시켜 볼 수 있다.

망원경의 역할

편집

렌즈나 곡면 거울과 같은 광학 도구를 이용하면, 한 점에서 출발한 을 다른 한 점으로 초점이 맺게 할 수 있다. 즉 피사체와 동일한 모양의 상을 다른 위치에 만들 수 있다. 이때 렌즈나 곡면 거울의 두께와 곡률 등을 조절하여 피사체보다 더 큰 상을 만들게 되면 우리는 실물보다 더 크게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망원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집광능'과 '분해능'이다. 사람의 동공보다 훨씬 더 넓은 면적의 렌즈나 곡면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므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도 더 어두운 피사체를 볼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이 집광능이다. 또한 망원경의 광학계-렌즈 또는 거울-의 지름이 클수록 분해능이 높아지므로, 피사체를 더욱 세밀하고 뚜렷하게 볼 수 있게 해준다. 이 두 요소 덕분에 망원경은 멀리 떨어져서 희미하게 보이는 천체를 우리가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밝게 빛을 모아주는 동시에, 관측 대상의 상을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맺어 주기 때문에 천문 관측에 아주 적합한 도구이다. 망원경이 처음 발명된 직후부터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천문 관측에 이용되었고, 현대에도 지름 수 미터 이상의 대형 망원경들이 다수 제작되어 천문 관측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전적인 의미의 망원경은 , 즉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만을 모으는 역할을 해 왔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가시광선 영역 이외에도 지구에서는 관측하기 어려운 자외선, X선, 감마선, 적외선, 전파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관측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그 목적에 맞는 다양한 망원경들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현대의 망원경들을 통해 우리 인류는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우주의 모습을 넘어서, 더욱 더 다양한 천체와 우주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망원경의 종류

편집

망원경의 파장, 위치, 이용 목적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나 관측하는 파장에 따라 전자기파를 모으는 방식과 기술이 크게 달라지므로 망원경은 아래의 표와 같이 주로 관측하는 파장에 따라 분류한다. 망원경은 위치에 따라서 지상 망원경, 우주 망원경, 항공 망원경 (en:Airborne observatory)으로 나뉜다. 또한 누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천문학자들의 연구용 망원경, 그리고 아마추어 천문가의 망원경으로 나눌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망원경, 관측기기들로 구성된 운송수단(차량, 비행기, 기구, 위성)이나 캠퍼스를 천문대라고 한다.

파장에 따른 망원경의 분류

편집
파장대역 이름 망원경 천문학 분과 파장 주파수 광자의 에너지
전파(Radio) 전파 망원경 전파 천문학 > 1 mm 300 GHz - 3 Hzへるつ 1.24 meV - 12.4 feV
서브밀리미터(sub-mm) 서브밀리미터 망원경 전파 천문학 0.1 mm - 1 mm 3THZ-300GHz 1.24 meV - 12.4 meV
적외선(Infrared) 적외선 망원경 적외선 천문학 750 nm - 1 mm 405 THz - 300 GHz 1.24 meV - 1.7 eV
가시광선(Visible) 광학/근적외선 망원경 광학 천문학 390 nm - 750 nm 790 THz - 405 THz 1.7 eV - 3.3 eV
자외선(Ultraviolet) 자외선 망원경 자외선 천문학 10 nm - 400 nm 30 EHZ - 790 THz 3 eV - 124 eV
X-선 X-선 망원경 X-선 천문학 0.01 nm - 10 nm 30 PHz - 30 EHZ 120 eV - 120 keV
감마선(Gamma-ray) 감마선 망원경 감마선 천문학 < 0.01 nm > 10 EHZ 100 keV - 300 GeV

광학 망원경

편집
 
10m 켁(Keck) 반사 망원경

광학 망원경은 가시광선 대역의 빛을 초점으로 모아 확대된 상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망원경을 말한다. 광학망원경은 일반적으로 근적외선까지도 쓰인다. 이 확대된 영상을 눈으로 보거나, 사진을 찍거나, 또는 컴퓨터로 신호를 보내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광학 망원경은 주로 천문학에서 많이 쓰이며, 천문학 이외의 용도로는 측량기, 조준경, 쌍안경, 카메라 렌즈 등이 있다. 광학 망원경은 보통 유리로 만들어진 렌즈나 거울을 조합하여 빛을 모으는데,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전파 망원경

편집
 
미국 뉴멕시코 주에 있는 Very Large Array 전파 간섭계

전파 망원경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망원경이다. 광학 망원경과는 달리 긴 파장의 전파를 이용하므로, 같은 크기의 광학 망원경에 비해 분해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파 망원경은 광학 망원경보다 훨씬 큰 구경의 포물면 형태를 갖는 파라볼라 안테나(그 모양 때문에 흔히 '접시'라고 불린다.)를 사용한다. 현재 가장 큰 전파 망원경은 중국의 FAST (Five hundred meter Aperture Spherical Telescope)라는 지름 500m의 전파 망원경이다. 하지만, 건축 구조상 망원경 크기를 늘리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더 좋은 분해능을 얻기 위해서 다수의 작은 전파 망원경을 일정한 거리로 배열해서 그 배열 전체의 넓이와 같은 구경의 단일 망원경과 같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는 간섭계(interferometer)가 만들어졌다. 가장 유명한 망원경 배열(간섭계)은 미국에 있는 Very Large Array (VLA)이다.

X-선 망원경

편집
 
찬드라 X-선 망원경

X-선은 지구 대기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X-선 망원경은 로켓이나 위성을 이용해서 대기 밖에서 관측해야 한다. 또한 X-선은 거의 수직으로 입사할 경우 금속으로 만들어진 거울조차도 쉽게 통과해버리므로 X-선을 초점에 모으기 위해 볼터 망원경(Wolter telescope)이라는 특별한 디자인이 고안되었다. 이 볼터식 망원경은 거울을 X-선의 입사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하여, X-선이 거울에서 반사할 때마다 단지 몇 도(°)씩만 방향을 바꾸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거울을 겹겹이 고리 모양으로 배치하여 빛을 초점에 모아 X-선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9][10] 2012년 기준으로 작동 중인 X-선 망원경으로는 찬드라 X-선 망원경, XMM-뉴턴 망원경 등이 있다.

감마선 망원경

편집

감마선은 파장이 너무 짧고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가시광이나 X-선처럼 유리 또는 금속 거울을 이용해서 초점으로 빛을 모으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신 감마선 망원경은 감마선이 특별히 선택된 물질들과 반응(콤프턴 산란)하면서 내는 전하를 띈 입자나 광학 섬광을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출처 필요] 지구 대기가 감마선에 대해서도 불투명하므로 감마선 망원경은 기구, 로켓, 위성 등에 의해 실려서 대기 밖에 위치해야 한다. 이러한 감마선 망원경으로는 콤프턴 감마선 천문대(Compton Gamma-Ray Observatory, 2000년 퇴역), 페르미 감마선 망원경(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등이 있다. 반면 아주 높은 에너지(>30 GeV)를 가진 감마선들은 지상에서 간접적인 방법으로 검출한다. 이 감마선은 대기에 들어오면서 공기의 원자/분자들과 연쇄 반응하면서 수많은 우주선들을 만들어내고(air shower라고 한다),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이 상대론적 입자들은 체렌코프 복사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를 지상에서 검출하는 방식이다.[출처 필요] 이러한 종류의 망원경으로는 미국 아리조나 주에 위치한 VERITAS가 있다.

기타 망원경

편집

망원경의 설치

편집

망원경을 설치하는 방식에는 적도의(赤道あかみちただし)와 자오선 고정식(子午線しごせん固定こていしき)이 있다. 적도의는 지구의 자전축에 평행한 회전축(きょくじく이라 한다)과 이 축에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을 가지며, 후자에 직각으로 망원경을 고정시킨다. 거의 대부분의 천체망원경은 이 방식인데, 극축을 천구의 일주(にちしゅう)운동에 맞추어 동쪽에서 서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時計とけい裝置そうち에 의함), 한 천체를 장시간 시야에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를 실현하는 데는 독일형·영국형·포크형·요크형과 기타가 있다.

고정 방식은 자오환(うまたまき)·자오의·천정의(天頂てんちょう) 등 자오선 안에만 망원경을 돌릴 수 있는 것이며, 이것을 다시 변형시킨 것으로 사진천정통(寫眞しゃしん天頂てんちょうとう)·극(きょく) 망원경 등 완전히 천정·극으로 향해서 고정해 버린 것도 있다. 이 경우는 거꾸로 사진건판이 일주운동을 쫓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또 태양탑(太陽たいようとう) 망원경 등과 같이 2장의 거울(실로스태트, coelostat라고 한다)에 의해서 빛을 항상 고정된 망원경으로 이끄는 방식도 있다.

이들 이외에 연직·수평의 두 회전축에 망원경을 고정시키는 경위의(經緯けいい)라고 하는 방식이 측량용 지상망원경에는 많으나 천체 망원경에서 사용하는 일은 극히 드물다.[11]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른 지구대기의 불투명도

편집

지구 대기는 대부분의 전자기파에 불투명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관측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은 가시광선-근적외선과 전파로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X-선이나 원적외선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망원경을 대기 바깥의 우주공간에 띄워야 한다. 한편 가시광은 지상에서 관측이 가능하지만, 허블 우주망원경처럼 훨씬 좋은 시상 또는 분해능을 얻기 위해 망원경을 우주 궤도에 올려 보내기도 한다.

 
파장에 따른 지구 대기의 불투명도(opacity)와 각 파장에서 사용되는 망원경들.

같은 천체를 여러 가지 망원경으로 본 모습

편집

서로 다른 파장의 망원경들을 통한 관측에서 얻어지는 상호 보완적인 정보를 모으면 천체에 대해 보다 넓게 이해할 수 있다.

 
초신성 잔해인 게 성운을 여러 가지 파장에서 본 모습. 사진의 크기는 가로 세로 약 6이다. (원본 사진(영어))

망원경 가대에 따른 종류

편집

망원경의 가대는 지상 망원경을 지지해주는 기계적인 구조이다. 망원경의 가대들은 망원경의 무게를 지탱해주고 망원경이 별과 같은 천체를 정확하게 가리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망원경의 가대는 역사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 현재는 지구의 자전 속도에 맞춰, 별이 움직이는 것을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게 설계된다. 크게 다음과 같은 가대가 있다.

유명한 망원경들

편집

망원경에 관한 목록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rchive.org "Galileo His Life And Work" BY J. J. FAHIE
  2. Sobel (2000, p.43), Drake (1978, p.196)
  3. Rosen, Edward, The Naming of the Telescope (1947)
  4. galileo.rice.edu by Al Van Helden
  5. Stargazer - By Fred Watson, Inc NetLibrary, Page 109
  6. Attempts by Niccolò Zucchi and James Gregory (astronomer and mathematician) and theoretical designs by Bonaventura Cavalieri, Marin Mersenne, and Gregory among others
  7. “madehow.com - Inventor Biographies - Jean-Bernard-Léon Foucault Biography (1819-1868)”. 2012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8. Bakich sample pages Chapter 2, Page 3 "John Donavan Strong, a young physicist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was one of the first to coat a mirror with aluminum. He did it by thermal vacuum evaporation. The first mirror he aluminized, in 1932, is the earliest known example of a telescope mirror coated by this technique."
  9. Wolter, H. (1952). “Glancing Incidence Mirror Systems as Imaging Optics for X-rays”. 《Ann. Physik》 10: 94. 
  10. Wolter, H. (1952). “A Generalized Schwarschild Mirror Systems For Use at Glancing Incidence for X-ray Imaging”. 《Ann. Physik》 10: 286. 
  11.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망원경의 설치〉

추가 참고 도서

편집
  • 천체 망원경 -《사용과 관측》, 도서출판 마당, 1986
  • Louise Bell, 《The Telescope》, Dover, 198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