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변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변계(あまねけい)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두루 ~라고 헤아린다', '널리 ~라고 헤아린다', '일반적으로 또는 보편적으로 ~라고 헤아린다'이다.[1] '헤아린다'라는 뜻의 한자어 (けい)는 전통적인 용어인 계탁(けい) 또는 계탁분별(けい分別ふんべつ)의 줄임말이다. 계탁분별을 줄여서 그냥 분별(分別ふんべつ)이라고도 한다.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을 순한글로는 일반적으로 헤아림이라고 한다.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은 특히 제6의식의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사물에 대해 생각[りょう]하고 사유(思惟しい: 특히 심사숙고)하고 구별[分別ふんべつ]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2][3][4] (이하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을 가리키는 낱말로서 '계탁분별'을 사용한다.)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르면 계탁분별본질적 성질본질제6의식상응하는 산혜(とし) 즉 산란된 지혜이다. 그리고 산란된 지혜[とし]는 선정[じょう]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또는 선정에 든 상태일 때 나타나는 '바른 지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지혜를 말한다.[5][6]무루혜가 아닌 유루지혜문혜 · 사혜 · 수혜3혜 또는 여기에 생득혜를 더한 4혜를 말한다.

계탁분별의 정의인 '생각하고 사유하고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 그 자체에는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선정[じょう]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즉 무루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 일반에서는 계탁분별이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변계(あまねけい)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 즉 계(けい· 계탁 · 분별 · 헤아림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인 그릇된 헤아림의 뜻으로 사용된다.

즉, 변계(あまねけい)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미혹한 상태의 제6의식, 즉 깨닫지 못한 상태의 제6의식, 즉 아직 전의(うたて: 識이 さとし로 바뀌는 질적 변형)를 획득하지 못한 제6의식을 토대로 무상한 존재인 사람[ひと: 즉 5온의 가화합]과 (ほう)에 대해 실아(じつ)가 존재하고 실법(じつほう)이 존재한다라고 두루[あまね] 헤아리는 것, 즉 자신과 주위의 모든 사물에 대해 보편적으로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고 믿으며 또한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바탕으로 대상을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7][8] 달리 말하면, 제6의식이 자신의 인식대상일체만법에 대해 보편적으로 언제나 아집(我執がしゅう)과 법집(ほう)의 2가지 집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9][10] 이런 뜻에서 계(けい·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을 보통 불교 일반에서는 허망한 분별 또는 그릇된 분별이라고 한다.[10][11][12][13]

한편,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제7말나식계탁을 하지만, 두루 즉 '주위의 일체의 모든 것'에 대해 보편적으로 항상 계탁하지는 않는다.[7] 대신, 제7말나식은 '아뢰야식견분(見分けんぶん)'을 자신의 실아라고 여기는 근본 무명을 비롯한 4번뇌를 항상 일으킨다.[14][15]

변계(あまねけい)라는 낱말이 사용된 불교 용어로는, 변계소집성(あまねけいところせい· 변계소기색(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 능변계(のうへんけい· 소변계(ところへんけい) 등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あまねけ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あまねけい:
    あまね 두루 편
    1. 두루 2. 모든, 전면적인(全面ぜんめんてき-) 3. 번, 횟수(回數かいすう) 4. 두루 미치다 5. 두루 퍼지다 6. 널리 퍼져 있다 7. 널리 ~하다 8. 보편적(普遍ふへんてき)으로 ~하다
    けい 셀 계
    1. 세다 2. 셈하다, 계산하다(計算けいさん--) 3. 헤아리다 4. 꾀하다 5. 수학 6. 산수 7. 셈"
  2. 곽철환 2003, "계탁분별(けい分別ふんべつ)". 2013년 3월 2일에 확인
    "계탁분별(けい分別ふんべつ): 삼분별(さん分別ふんべつ)의 하나. 대상을 구별하여 사유하고 판단함."
  3. 운허, "けい分別ふんべつ(계탁분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けい分別ふんべつ(계탁분별): 또는 추탁분별(推度分別ふんべつ)ㆍ분별사유(分別ふんべつ思惟しい). 3분별의 하나. 널리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세에 걸쳐 현전(現前げんぜん)에 보는 사실을 여러 가지로 생각하고 분별하는 것."
  4. 星雲せいうん, "けい分別ふんべつ".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けい分別ふんべつ: 梵語ぼんご abhinirūpanā-vikalpa。そく分別ふんべつ計量けいりょう推度。さん分別ふんべついちまたさく推度分別ふんべつ分別ふんべつ思惟しいいい於所えんさかい計量けいりょう推度,かかりあずか意識いしき相應そうおうてきとし分別ふんべつ作用さようおもね達磨だるま俱舍ろんまきだいきゅうはちちゅう):「いいじょう意識いしき相應そうおうとしめいためけい分別ふんべつ。」〔だい毘婆すなろんまきよんじゅう大乘だいじょうおもね達磨だるまざつしゅうろんまき〕(まいり閱「さん分別ふんべつ」531)p3954 "
  5.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권. p. T29n1558_p0008a27 - T29n1558_p0008b08. 계탁분별(けい分別ふんべつ)
    "わか五識身有尋有伺。如何いかとくせつ無分別むふんべつ耶。頌曰。
      せつ無分別むふんべつ  よしけいずいねん
      以意とし  しょねんためたい
    ろん曰。傳說でんせつ分別ふんべつりゃくゆうさんしゅいち自性じしょう分別ふんべつけい分別ふんべつさんずいねん分別ふんべつよし五識身雖有自性而無餘二。せつ無分別むふんべつ。如一足馬名為無足。自性じしょう分別ふんべつたいただひろこうしんしょちゅうとうべんしゃくあまり分別ふんべつ如其次第しだい意地いじとししょねんためたいいいじょう意識いしき相應そうおうとしめいためけい分別ふんべつわかじょうわか意識いしき相應そうおうしょねんめいためずいねん分別ふんべつ。"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27 / 1397. 계탁분별(けい分別ふんべつ)
    "만약 5식신이 유심유사라고 한다면 어떻게 그것을 무분별(無分別むふんべつ)이라고 설할 수 있는 것인가?27)
    게송으로 말하겠다.
      다섯 가지 식을 무분별이라고 설한 것은
      계탁(けい)과 수념(ずいねん) 때문으로,
      그것은 의지(意地いじ)의 산혜(とし)와
      의지의 온갖 염(ねん)을 본질로 한다.
      せつ無分別むふんべつ よしけいずいねん
      以意とし しょねんためたい
    논하여 말하겠다. 전설(傳說でんせつ)에 따르면 분별에는 간략히 세 가지 종류가 있으니, 첫째는 자성분별(自性じしょう分別ふんべつ)이고, 둘째는 계탁분별(けい分別ふんべつ)이며, 셋째는 수념분별(ずいねん分別ふんべつ)이다. 즉 5식신은 비록 자성분별을 갖을지라도 나머지 두 가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무분별이라 설한 것으로, 이를테면 다리가 한 개 밖에 없는 말[うま]을 일컬어 다리가 없는 말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28)
    여기서 자성분별은 그 본질이 오로지 바로 심(ひろ)일 뿐으로, '심'에 대해서는 뒤(권제4와 권제12)에 심소를 설하는 도중에 응당 자연히 분별 해석하게 되리라. 그 밖의 두 가지 분별은 순서대로 의지(意地いじ)29)의 산란된 혜[とし]와 온갖 염(ねん)을 본질로 한다. 여기서 '산란'이란 말하자면 정(じょう)이 아닌 것으로,30) 바로 의식상응의 산란된 혜를 일컬어 계탁분별이라고 한다. 그러나 만약 정에 있든, 혹은 산란에 있든 의식과 상응하는 온갖 염을 일컬어 수념분별이라고 한다.
    27) 전5식을 보통 무분별(無分別むふんべつ, avikalpika,)이라고 한다. 그런데 5식이 유심유사로서 심·사의 심소와 상응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어째서 그것을 유분별(ゆう分別ふんべつ)이라고 하지 않는가, 다시 말해 5식상응의 '심'은 바로 분별(사유작용)이기 때문에 5식을 무분별(불확정적인 사유)라고 할 수 없지 않는가 하는 난문.
    28) 여기서 5식은 심(ひろ)·사(伺)를 본질로 하는 자성분별(즉 감성적 지각)일 뿐이고, 그것은 혜(とし)를 본질로 하는 계탁분별(즉 추리 판단의 오성적 지각)과 제6식 상응의 염(ねん)을 본질로 하는 수념분별(즉 기억이나 재인식)에 의해 확실한 사유[ゆう分別ふんべつ, savikalpa]가 된다. 그러나 논주 세친은 경량부설에 따라 심·사의 개별적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하는 설[傳說でんせつ]로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본론 권제4, p.185 참조.)
    29) 의지(意地いじ, mano-bh mi). 여기서 '지'는 소의(ところ)의 뜻이므로 '의지'란 의()로서 소의가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문에서의 뜻은 '제6의근을 소의로 삼아 상응하는'의 뜻.
    30) 선정 중에서는 능히 대상을 재고 헤아릴[けい] 수가 없기 때문이다."
  7. 운허, "のうあまねけい(능변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のうあまねけい(능변계): ↔소변계(ところへんけい). 모든 법에 대하여 두루 계탁(けい)한다는 뜻. 계탁이란 자기의 미정(迷情)을 토대로 생멸 변화가 무상한 사람과 법에 대하여, 실아(じつ)가 있고 실법(じつほう)이 있다는 허망한 생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계탁하는 것은 마음이거니와, 마음 가운데서도 두루 계탁하는 것은 제6식이다. 제7식도 허망하게 계탁은 하지만 두루하지는 않는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9818DE8A888rowno1 のうあまねけい(능변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8. 星雲せいうん, "あまねけいところせ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あまねけいところせい:  梵語ぼんご parikalpita-svabhāva。乃唯識宗しょりつさんせいいちまたたたえあまねけいところあい分別ふんべつせい分別ふんべつしょう、妄計自性じしょう、妄分べつせい略稱りゃくしょうあまねけいところけいしょところせい凡夫ぼんぷ於妄じょうじょうあまねけいおこりせいほう,乃產せいじつ有我ありがじつゆうほう妄執もうしゅうせいよし此一妄執性所現之相,僅能そん於妄じょうちゅう,而不そん於實理之まさゆきちゅうしょうじょう有理ゆうりこれほう、「からだせいこれほう。此種分別ふんべつけい妄執もうしゅうせい乃周へん一切いっさいさかいしゃ以「あまねけいしょう。〔かいふかみつ經卷きょうかん瑜伽ゆがろんまきななじゅうよ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はち〕(まいり閱「さんせい」563) p5617"
  9. 星雲せいうん, "のうあまねけ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のうあまねけい:  「ところへんけい對稱たいしょうだいろく識、だい七識普遍計度諸法而妄執有實我、じつほうしょうのうへんけい唯識ゆいしきさんせいちゅうへんけいしょせい自性じしょうがかりよしのうあまねけいあずかところあまねけいところども形成けいせいよりどころ大乘だいじょうろんほんまき中之なかのせつ意識いしきそく是能これよしあまねけい,此因意識いしきのうくだり名言めいげんかおる習為種子しゅしふく於無これぎょうしょう生起せいき分別ふんべつ作用さようたい一切萬法亦產生普遍的分別計度之作用。於諸識之ちゅうあんとしいい舉凡ゆうこれ八識均為能遍計;護法ごほうそく主張しゅちょうまえ五識與第八識無所執著,僅有だいろくだいなな二識方屬能遍計。〔瑜伽ゆがろんまきななじゅうよんなり唯識ゆいしきろんまきはちなり唯識ゆいしき論述ろんじゅつまき一本いっぽん〕(まいり閱「まつ識」1941、「意識いしき」5449) p4298"
  10. 운허, "ろくななのうあまねけい(육칠능변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ろくななのうあまねけい(육칠능변계): ↔ 오팔무집(はち). 유식종에서는 8식 중 경계에 대하여 허망 분별을 일으켜 아()다, 법(ほう)이다라고 집착하는 능변계(のうへんけい)의 뜻이 있는 것은 제6식과 제7식뿐이라고 하는 말. 제7식은 제8식의 견분(見分けんぶん)을 반연하여 아집(我執がしゅう)을 일으키고, 제6식은 온갖 법경(ほうさかい)에 대하여 아집ㆍ법집을 일으킴. 그러나 전5식과 제8식은 아집ㆍ법집이 없고 능변계하는 뜻도 없다 함. 이는 호법(護法ごほう)의 학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9818DE8A888rowno5 ろくななのうあまねけい(육칠능변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1. 운허, "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변계소기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변계소기색): 법처소생색(ほうしょしょ生色せいしょく)의 하나. 제6의식의 허망한 분별에 의하여 변현한 색. 곧 거북의 털, 토끼의 뿔, 허공의 꽃 등과 같이 변괴로 생긴 것들로 주관에 그려지는 바 실체가 없는 그림자."
  12. 곽철환 2003, "변계소기색(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 2013년 3월 2일에 확인
    "변계소기색(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 그릇된 분별에 의해 일어나는 환영(幻影げんえい)."
  13. 星雲せいうん, "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 2013년 3월 2일에 확인
    "あまねけいところおこりしょく:  ため唯識ゆいしきむね所說しょせつほうしょしょいろしゅいちゆびだい六意識之妄分別所變現之影像,如空はな水月すいげつとう實體じったいしょ色相しきそう。(まいり閱「ほうしょしょいろ」3389) p5617 "
  14.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4권. p. T31n1585_p0022a24 - T31n1585_p0022b06. 4근본번뇌(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
    "此意相應そうおうゆういくしんしょ。且與よんしゅ煩惱ぼんのうつね俱。此中俱言あらわ相應そうおういいしたがえはじめいたりてん此意にんうんつねえんぞう識與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相應そうおう。其四しゃなにいいわが我見がけん并我慢我あいめいよんしゅわがしゃいい無明むみょう於我しょう迷無わがわが我見がけんしゃいい我執がしゅう。於非我ひがほう妄計ためめい我見がけん我慢がまんしゃいい倨傲きょごう。恃所わがれいしんだか舉。めい我慢がまんわがあいしゃいいわがむさぼ。於所わがふかなまふけちょわがあい。并表慢愛ゆう慢俱。さえぎ餘部あまるべ相應そうおう。此四常起擾濁內心令外轉識恒成雜染。有情うじょうよし此生不能ふのう出離しゅつりめい煩惱ぼんのう。"
  15.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4권. pp. 216-217 / 583. 4근본번뇌(よん根本こんぽん煩惱ぼんのう)
    "이 말나식과 상응하는 심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202) 우선 네 가지 번뇌와 항상 함께한다. 여기서 ‘함께한다’는 말은 상응의 의미를 나타낸다. 아득한 옛적부터 아직 전의를 이루지 못한 지위에 이르기까지, 이 말나식은 자연적으로 항상 장식을 반연하고, 네 가지 근본번뇌와 상응한다. 그 네 가지란 무엇인가? ‘아치(わが)와 아견(我見がけん) 및 아울러 아만(我慢がまん)과 아애(わがあい)’를 말한다. 이것을 네 가지 근본번뇌라고 이름한다. ‘아치(わが)’는 무명을 말한다. 자아의 양상에 어리석어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다. 따라서 아치라고 이름한다.203) ‘아견’은 아집을 말한다. 자아가 아닌 법에 대해서 망령되게 계탁하여 자아로 삼는다. 따라서 아견이라고 이름한다.204) ‘아만’은 거만함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를 믿어서 심왕으로 하여금 높이 올린다. 따라서 아만이라고 이름한다.205) ‘아애’는 아탐(わがむさぼ)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에 대해서 깊이 탐착(ふけちゃく)을 일으킨다. 따라서 아애라고 이름한다.206) (제5게송에서) ‘아울러[幷]’라고 말한 것은, 아만 · 아애가 아견 · 아만과 함께하는 일이 있음을 나타냄으로써, 다른 부파가207) 상응하는 뜻이 없다고 집착하는 것을 부정한다. 이 네 가지가 항상 일어나서208) 안으로 심왕209)을 어지럽히고 혼탁하게 하며, 밖으로 전식(6식)을 항상 잡염되게 한다. 유정이 이것(번뇌)으로 인해 생사에 윤회하여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번뇌라고 이름한다.
    203) 아치(わが, ātmamoha)는 자기 본질의 이치[無我むが]를 모르는 근본적인 무지(無知むち) 곧 무명(無明むみょう)을 말한다. 무명은 초기불교 이래 4성제, 연기의 도리에 무지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유가유식학파도 근본적으로 이런 입장에 있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 아치(わが)야말로 근본적인 무명이며, 그것이 항상 말나식과 함께 작용한다고 하였다.
    204) 아견(我見がけん, ātmadṛṣṭi)은 자아(ātman)가 실재한다고 집착하는 것으로서, 살가야견(薩迦耶見, satkāya-dṛṣṭi:ゆう)이라고도 한다. 말나식이 아뢰야식을 대상으로, 의식이 5취온을 대상으로 해서 자아로 착각하여 나[· 나의 소유[わがところ]로 삼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205) 아만(我慢がまん, ātmamāna)은 아견에 의해 설정된 자아를 의지처[ところ]로 삼아서 자기는 존재한다고 교만하게 뽐내는 것이다. 부파불교시대에 아만은 5취온을 나 · 나의 소유로 집착하여 교만한 것을 뜻하였다. 유가유식학파에서는 말나식이 아뢰야식을 자아로 인식함으로써 자아를 더욱 대상화하고, 대상화된 자기를 근거로 교만하게 뽐내는 것을 근본적인 아만으로 생각하였다.
    206) 아애(わがあい, ātmasneha)는 일상생활에서 갖가지 고통을 야기하는 원인이다. 또한 죽음의 공포를 부추기는 근본원인이 된다.
    207) 설일체유부를 가리킨다.
    208) 아치(わが)가 근본원인이 되어서 아견→아만→아애(わがあい)의 순서로 생겨난다.
    209) 제7식과 제8식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