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by https://www.hiragana.jp/)
대한민국 민법 제16조: 두 판 사이의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민법 제16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문법 띄어쓰기 및 문단 정리, using AWB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문헌|대한민국 민법}}
{{위키문헌|대한민국 민법}}
'''대한민국 민법 제16조'''는 [[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철회권]]과 [[거절권]]에 대한 [[민법총칙]]상 조문이다. 2011.3.7에 전문개정된 조문이다.
'''대한민국 민법 제16조'''는 [[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철회권]]과 [[거절권]]에 대한 [[민법총칙]]상 조문이다. 2011.3.7에 전문개정된 조문이다.

2022년 2월월 6일 (일) 16:39 판

대한민국 민법 제16조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철회권거절권에 대한 민법총칙상 조문이다. 2011.3.7에 전문개정된 조문이다.

조문

제16조(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철회권과 거절권) ① 제한능력자가 맺은 계약은 추인이 있을 때까지 상대방이 그 의사표시를 철회할 수 있다. 다만, 상대방이 계약 당시에 제한능력자임을 알았을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제한능력자의 단독행위는 추인이 있을 때까지 상대방이 거절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철회나 제2항의 거절의 의사표시는 제한능력자에게도 할 수 있다.

비교 조문

해설

학설

사례

판례

참고 문헌

  • 오현수, 일본민법, 진원사, 2014. ISBN 9788963463452
  • 오세경, 대법전, 법전출판사 , 2014 ISBN 9788926210277
  • 이준현 , LOGOS 민법 조문판례집, 미래가치, 2015. ISBN 9791155020869